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5/02/27 16:07:51
Name becker
Subject [LOL] 프나틱 후니선수를 응원합니다.
이번시즌을 기점으로 해외로 진출한 한국 프로게이머들이 많은 가운데, 유독 저를 비롯해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락 내리락 하는 선수가 있습니다.

바로 프나틱의 탑라이너 후니(아마추어 시절 아이디 뚱후니) 선수인데요.

국내 프로무대에선 활동하지 않은 관계로 후니선수에 대해서 간단히 말씀드리면, 스스로 "차세대 루퍼가 될 남자"라고 얘기하는것처럼 루퍼같은 팔방미인형 탑솔러라고 볼수 있습니다. 라인전이 엄청나게 강한건 아니지만 소규모 교전/타워다이브 시 대처법등 탑라이너로서 가져야 할 많은 덕목을 지닌 선수인데요.

유럽에서도 이미 최정상급의 탑라이너로 자리매김했지만 후니선수가 사람들의 관심(애정쪽에 가까운 관심)을 많이 받는 이유는 그의 긍정적이고 팀에 융화하려는 성격에 있습니다.



처음 보이스챗이 나왔을때만 하더라도 레딧에서는 "저 친구 약 빤거 아니냐" 라는 반응이 주로 이루다가, 어느순간부터 "근데 진짜 귀엽다"라는 반응이 주를 이루더니, 요즘은 레딧의 필수요소로 자리매김했다고 봐도 될 정도로 대세가 되었습니다. 프나틱의 경기가 있는날이면 늘 후니의 보이스채팅을 편집한 장면이 나오고, 몇분도 채 되지않아 레딧에 인기게시글중 하나로 오르는, 그야말로 "레딧판 PDD"라고 봐도 될정도로 치트키에 가까운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후니선수에게 단순히 귀엽다를 넘어서 정말 응원하고 싶은 선수라고 느끼게 된것은 아래의 인터뷰를 보고 나서였습니다.



Q : 팬들의 많은 관심을 받는 것과, 영어로 의사소통 하는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 후니는 지금 "너무 유명해졌다"라고 할정도로 대세다. 이것이 맘에 드는가?
후니 : 물론이다. 팬들이 사랑해주는것에 대해서 많이 행복하고, 굉장히 과분한 응원을 받고 있다고 생각한다. 매우 기쁘고 흥분된다. 내 럼블이나 다른것들도 많이 좋아해주고... (좋다)

Q : 팬들이 너 엄청 귀엽다라고 생각한다!
후니 : 크크크 모든 팬들에게 고맙다.

Q: 어떻게 그렇게 영어를 빨리 늘릴수 있었나? 레인오버랑 연습했나?(주 : 레인오버 선수는 유럽진출전부터 영어를 원할하게 했는지 아주 훌륭한 영어를 구사중입니다)
후니 : 항상 영어를 쓰려고 노력한다. 완벽한 영어를 구사하진 못하지만, 레인오버가 내 영어를 빨리 향상시키게끔 도와주고 있다.

Q: 이제 막 스스로 오더를 내리기도 하던데. "나 텔포 있어!" 이러면서
후니: 흐흐 맞다. 게임 내에서는 말하는게 쉬워서. 짧은 단어들 위주의... 예를 들어 "나 텔포 있어" 같은? 한타때 얘기하는건 쉬운데 인터뷰는 아직 너무 어렵다.

Q: 게임상에서 가장 처음 배운 영어가 무엇인가?
후니 : 음... 게임에서 처음에 배운 영어? "텔포 있음" 크크크. 그리고 "우리 싸워도 돼", "용 가도 돼" (이런 것들)

비록 아직은 많이 서툴고 어리숙하지만, 후니는 최대한의 노력으로 있는 모든 대답을 영어로 해내려고 합니다. 문법도 아직은 부족하고, 다듬어지지 않은 문장들이지만, 많은 해외팬들은 이런 후니선수의 노력에 박수를 보내고 "해외에서 활동하는 한국 게이머들이 받아들여야 할 모범적인 사례" 라고 하며 칭찬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인 얘기를 잠깐 하자면, 저 역시 중학교를 중퇴하고 부모님과 떨어져서 기숙사 학교에서 생활하면서 청소년기의 절반을 보냈기에, 모국에서 떨어져서 홀로 생활한다는것이 어떤 느낌인지 잘 알고 있습니다. 입맛도, 문화도 다른데다가 무엇보다 언어도 제대로 되지 않아서 참 많이 애먹고 그랬었습니다. 이런 케이스의 한국유학생들은 저뿐만 아니라, 대부분이 겪는 고충이였습니다.

이런 고충을 크게 이기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었습니다. 그냥 해외에서 한국사람들과 한국에서 지내듯 생활하거나, 그것이 아니라면 스스로 발벗고 나와 부딪힐수 있을때 까지 부딪히면서 그들의 문화/언어를 익히던가.

후니선수는 후자를 택한것 처럼 보입니다. 아마 늘 웃고있는 모습만 보여주지만, 얘기가 잘 되지 않아서, 하고싶은 말이 있는데 제대로 하지 못해서 답답하고 짜증날때도 있을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해외에 진출하는 한국 게이머들이 무조건 급 높은 경기력을 보여줄수 없는것은, 다른것들도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그들은 기계가 아니기 때문에 환경과 문화차이에 영향을 받곤 합니다. 언어의 장벽이라는건 특히 롤이라는 게임에서 치명적으로 다가오겠죠.

단순하게 "텔포 있어" "용 가자" "한타하자" 같은 오더를 넘어서, 좀 더 고급적인 의사소통이 진행된다면 더 좋은 경기력이 나올 수 있다는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걸지도 모릅니다. 다만, 그렇게 까지 되기까지의 과정이라는게 쉬운게 아니니까요. 언젠가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나와서 미국 대학교에 들어간 특목고, 혹은 외고 출신들의 많은 인재들이 미국 내 대학에서 적응이 어려워 적지 않은 학생들이 한국으로 되돌아온다는 기사를 본적이 있습니다. 그래도 나름 어릴때 부터 공부 잘하고, 영특하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던 그런 친구들도 쉽지 않은게 타지에서의 생활인데, 가족도, 에이전트도 없는 어린 10대 선수들에겐 어쩌면 경기를 이기는 것 보다 더 힘든건 타지에서 생활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후니선수는 본인의 말대로 "너무 유명해져버려서" 이러한 고충을 직접적으로 이겨내려는것이 보이는 가장 뚜렷하게 케이스라 하더라도, 해외에 진출한 다른 모든 선수들도 이러한 고충은 있을것이고 그 나름대로의 갈길을 찾고 있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후니선수가 택한 이런 도전이, 우리가 생각한것 이상으로 힘들텐데 그것을 본인의 긍정적인 성격으로 잘 이겨내고 있는것이 (이런말 하면 좀 우습지만) 대견해 보입니다.그렇기 때문에 외국의 많은 사람들도 후니선수 팬이 된것이겠죠.


후니선수와 프나틱이 롤드컵에 진출하여, 이번 롤드컵에서 홈그라운드의 이점을 얻고 모든 관중들이 후니를 외치는 장면이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더불어 그 무렵이 되면 막힘 없이 아주 자연스러운 인터뷰를 할 수 있을 그의 모습도 함께 기대해보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6396 [스타2] 2015년 3월 첫째주 WP 랭킹 (15.3.1 기준) - 종족 1위 대거 변동! [2] Davi4ever6851 15/03/01 6851 3
56395 [스타2] 2013년 가장 재밌게 봤던 대회.avi [14] SKY928584 15/03/01 8584 4
56391 [기타] 게임 플레이와 리플레이 소유권 문제 [42] MDIR.EXE9631 15/03/01 9631 0
56390 [LOL] 벵기선수의 부활인가? 시야아이템 중심으로 [6] 딴딴9662 15/03/01 9662 4
56389 [기타] [스타1] 10년 전에 당골왕 결승이 있었습니다 [30] 빵pro점쟁이8654 15/03/01 8654 1
56388 [하스스톤] 다음 확장팩은 검은바위 산? (신카드 유출 루머) [20] 작은 아무무8331 15/03/01 8331 0
56387 [LOL] 3월 1일 (일) 리그 프리뷰 [3] 류시프3978 15/03/01 3978 2
56386 [LOL] LPL Spirng W6 - EDG vs OMG 2경기 분석 [5] 빠른별6623 15/03/01 6623 7
56385 [기타] [스타1] 이제동과 테란의 사투의 정점.avi [29] SKY9212868 15/02/28 12868 15
56380 [LOL] LCS EU 6주차 후기 - IEM 징크스? [16] 삭제됨6658 15/02/28 6658 2
56379 [스타2] 레이트 바이오닉에 대한 진지한 고찰 [9] 랜스7807 15/02/28 7807 0
56378 [히어로즈] 일리단은 왜 1티어가 됬는가? [15] 세이젤9122 15/02/28 9122 0
56377 [하스스톤] 다음 모험 모드로 검은바위 산이 나온다? [42] 저퀴7557 15/02/28 7557 0
56376 [스타2] 유일한 양대리거 넥라 이승현의 다음주 행보는? [12] SKY927221 15/02/27 7221 0
56375 [LOL] 2월 28일 (토) 리그 프리뷰 [5] 류시프4307 15/02/27 4307 5
56374 [기타] NHN 엔터가 한건 했네요 [39] Vich10205 15/02/27 10205 2
56373 [LOL] 프나틱 후니선수를 응원합니다. [21] becker9980 15/02/27 9980 6
56372 [기타] [마영전] 넥슨의 캐쉬템 확률 조작질이 유저들에게 걸렸습니다. [79] Starlight12027 15/02/27 12027 1
56371 [스타2] starcraft mass recall(스1 캠페인 리메이크)를 소개합니다. [10] 모선18362 15/02/27 18362 0
56370 [히어로즈] 인생 첫 브실골을 벗어나다. 히어로즈 베타 후기 [16] 헥스밤7496 15/02/27 7496 0
56369 [LOL] 꿀은 빨아야지 어떻게? 냠냠냠냠냠 [44] 빛돌v12316 15/02/27 12316 4
56368 [히어로즈] 히빅리그 16강 대진이 완성되었습니다. [16] 레가르6237 15/02/27 6237 3
56367 [LOL] 쪼렙과 자존심 [15] 뀨뀨6421 15/02/27 6421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