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8/10 19:53:06
Name ilikerain
Subject 그래도 이영호는 대단하다.
이번 결승전은 팬으로서 다소 실망스런 경기력이었습니다만,

결승전 경기 후 , 인터뷰 하는 모습을 보니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저 어린 선수가 어떻게 저런 마인드를 가지고 있는건지..

경기 패배가 상당히 아쉬울텐데

의연한 자세로 다음에 잘하면 되는거니까 괜찮다라고 하고..

매번 자신은 잘 하고 싶지만 경기 결과는 어쩔 수 없는 것이니까 .. 더 열심히 하겠다.

라고 하는 말을 들으니 정말 성숙한 자세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을 저절로 하게 되네요.

개인적으로 아마 이후에도 이영호 선수는 꽤 오랫동안 상위랭커의 위치를 고수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최고의 기량을 가지고 있으면서 긍정적이고 또 흔들림 없는 저런 자세를 가지고 있으니까요.

사실 이영호선수의 엄청난 기량과 압도적인 포스가 뿜어나오던 시절

팬의 입장이라기보다는 조금 신기하다라는 마음을 가지고 지켜봤었는데

이번 결승전 이후로 이영호 선수가 좋아지고 응원하게 될 것 같습니다..

3:0으로 끝나는 건 , 누가 이기든 좀 아쉬운 스코어이기는 합니다만

오늘 우승하신 이제동 선수의 우승 축하드리고

이영호선수의 앞으로의 선전도 기원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쳐지나가는
08/08/10 20:03
수정 아이콘
어리지만 인터뷰는 성숙했죠.

근데, 왜 결승이 다 3:0인건지 모르겠네요;;
저주가 걸렸나...
티드&이르
08/08/10 20:05
수정 아이콘
이영호 선수 분발합시다.
08/08/10 20:06
수정 아이콘
강구열의 저주
08/08/10 20:35
수정 아이콘
팬심이 가득 담긴 글
개념은?
08/08/10 20:39
수정 아이콘
음.. 전 오히려 정반대로 불안하던데요...
오영종 선수 ... 이윤열 선수한테 져놓고 괜찮다는식으로 인터뷰했죠.. 허나, 다음에 성적이 곤두박질 쳤던 기억이 있습니다 ...

더 독해져야 하지 않았을까요 ?? .,... 뭐 물론 이건 제 주관적인 생각이지만....
ilikerain
08/08/10 22:31
수정 아이콘
어제 프로리그와 오버랩 되서 더 그렇게 제가 생각한듯 합니다.
wAvElarva
08/08/11 00:43
수정 아이콘
개념은?님// 엄재경해설이 언제던가, 결승에서 언급했었죠. 오영종선수가 준우승하고 뭐 이정도면 만족한다 이런인터뷰를했고 그뒤로 내리막...... 어느정도 맞는말같지만 이영호선수는 준우승에 만족하는게 아니라 더 나은 성적을 기대하고 노력한다는 뜻이니 잘할거라 믿습니다!!
이영호 선수 화이팅이요^^
라울리스타
08/08/11 02:06
수정 아이콘
이영호 선수 첫 준우승입니다.

4강탈락도 아니고 준우승이 선수에게 주는 타격은 상당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앞으로의 행보는 본인에 달려있다고 생각합니다.
날으는씨즈
08/08/12 11:40
수정 아이콘
예전에 엄해설이 말씀하신것처럼 이정도에 만족한다는 마인드가 있으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분하고 억울하고 치가떨려서 잠을 못자고 연습하고 피나도록 노력해서 언젠가는 최고가 되도록 노력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490 [08~09] Pre Season이 진행되고 있었네요. [6] 달려라투신아~4810 08/08/17 4810 0
35489 객관을 가장한, 약간의 저징징 [52] 진리탐구자6497 08/08/16 6497 5
35488 이제동은 그랜드슬래머인가? [57] 삭제됨7902 08/08/16 7902 0
35487 WCG 금메달에 도전 [16] Akira6404 08/08/16 6404 0
35485 [중계글] 서바이버 토너먼트 6조, 마재윤 10연속 MSL 진출 도전! [213] 라울리스타6587 08/08/16 6587 2
35483 우와~ 방금 신상문선수의 플레이 보셨습니까??? [71] 박지완7060 08/08/16 7060 0
35482 WCG 2008 스타크래프트 부문 한국 국가대표 선발전 4강전~ [104] SKY925548 08/08/16 5548 0
35480 2008. 8. 16 (土) 19주차 pp랭킹 [6] 택용스칸4426 08/08/16 4426 0
35479 2회간의 팀배틀을 통해본 여러 논쟁들의 실례. [46] 펠쨩~(염통)6241 08/08/15 6241 0
35478 인크루트 스타리그 36강 F조. [281] SKY925602 08/08/15 5602 1
35477 프로리그 이런 방식은 어떨까요??? [7] 칼잡이질럿4489 08/08/15 4489 0
35476 경남 STX컵 마스터즈 2008 플레이오프 MBCgame VS SKT [300] SKY926280 08/08/15 6280 1
35473 어린 영웅의 마지막(?) 발자취... [16] 가을이횽의5454 08/08/15 5454 0
35472 프로리그 방식 제안합니다 - 홈어웨이, 챔스방식, 지명선수, 셧아웃 도입 [2] 오만과나태4012 08/08/15 4012 0
35471 삼황 오제 사천왕 -第十八章- [9] 설탕가루인형4540 08/08/14 4540 0
35469 아케이드 격투 게임 제전, 투극 2008이 열립니다. [20] 7254 08/08/14 7254 0
35468 프로리그는 팀매치 방식이 될 수 밖에 없다. [69] 프렐루드5211 08/08/14 5211 2
35467 김태형 해설에 대한 짤막한 비판글 [36] 라울리스타15220 08/08/14 15220 0
35466 제가 생각해본 예전 팀리그와 현 프로리그의 접목한 새로운 리그 방식 [14] 후딱4999 08/08/14 4999 8
35465 위메이드, 최초로 지역연고 프로게임단 추진 [45] 보름달7634 08/08/13 7634 0
35464 리그 브레이커 박지수. [32] 펠쨩~(염통)8224 08/08/13 8224 0
35463 경남 STX 컵 플레이오프 선봉 엔트리~ [10] SKY924867 08/08/13 4867 0
35462 과연 프로리그 게임방식에 관한 문제인가? [9] 씨빌라이져4081 08/08/13 408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