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8/09 23:49:58
Name Geo&III]Lucifer
File #1 SCScrnShot_080908_234744.jpg (429.3 KB), Download : 21
File #2 SCScrnShot_080908_234818.jpg (440.7 KB), Download : 17
Subject 플라즈마 선기도?




아아... 별로 중요한 선기도는 아니지만,
전략적으로 활용될 여지가 있는 선기도인 것 같아서 올립니다.


첫번째 사진은 1시 에그 입구인데요,
노란색 마우스가 목표한 에그입니다.
그 에그를 강제공격시키면 이렇게 스캐럽이 빙빙 돌죠.
그런데...


두번째 사진은 9시 에그 입구입니다.
그런데 이게 왠일?
스캐럽이 옆으로 휙 지나가더니 뒤쪽의 에그를 깨더군요...
보시다시피 에그가 터졌죠.
쉽게 말해서 옆으로 스캐럽이 싹 지나가면서
뒤쪽의 에그가 공격 가능하도록 된 것이죠...
스샷을 보면 이해가 가실 겁니다.
(직접 리버로 뒤쪽에 있는 에그를 공격해 보시길 권장합니다)


뭐 솔직히 중요한 선기도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것조차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게 프로게이머.
그래서 혹여나 하는 마음에 올려 둡니다.
요점은,
1시와 (스샷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5시가 스캐럽이 빙빙 도는데
9시가 스캐럽이 빙빙 돌지 않는다면,
즉 뒤쪽에 있는 에그 공격이 가능하다면 문제가 되지 않을까... 싶어서 올립니다만...


친구들하고 놀면서 뻘짓하다가 깜짝 놀래서 올려봅니다.
제가 괜히 오버하는 걸까요? ^^;;;;;;;;




아아아, 그리고 중요한 걸 잊어먹었군요!
삼성전자의 우승을 축하드립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꿀호떡a
08/08/09 23:56
수정 아이콘
에그를 때릴수 있다는 이야기는 건너편의 유닛이나 건물을 타격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되는군요. 솔직히 그렇게 중요해보이진 않지만, 전체 게임 중에 한두 게임 정도는 활용될 여지가 있는 부분일 것 같기도 합니다. 시야 확보용 서플(or SCV)이나, 리버 대비용 미사일 터렛 부수는 정도?
08/08/10 00:07
수정 아이콘
승리의 광캐럽과 비슷한 건가요..
서성수
08/08/10 00:19
수정 아이콘
중요한 정보인듯 해요
지니-_-V
08/08/10 01:33
수정 아이콘
에그가 지나갈수 있으면 저글링도 지나갈수 있을건데요?
지니-_-V
08/08/10 01:34
수정 아이콘
예전 레퀴엠 생각하면 편하실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469 아케이드 격투 게임 제전, 투극 2008이 열립니다. [20] 7271 08/08/14 7271 0
35468 프로리그는 팀매치 방식이 될 수 밖에 없다. [69] 프렐루드5213 08/08/14 5213 2
35467 김태형 해설에 대한 짤막한 비판글 [36] 라울리스타15244 08/08/14 15244 0
35466 제가 생각해본 예전 팀리그와 현 프로리그의 접목한 새로운 리그 방식 [14] 후딱5002 08/08/14 5002 8
35465 위메이드, 최초로 지역연고 프로게임단 추진 [45] 보름달7637 08/08/13 7637 0
35464 리그 브레이커 박지수. [32] 펠쨩~(염통)8237 08/08/13 8237 0
35463 경남 STX 컵 플레이오프 선봉 엔트리~ [10] SKY924875 08/08/13 4875 0
35462 과연 프로리그 게임방식에 관한 문제인가? [9] 씨빌라이져4083 08/08/13 4083 0
35461 [알림] 신규 운영진 소개. [19] 메딕아빠4365 08/08/13 4365 0
35460 팀리그와 프로리그의 교점 - 팀 서바이벌 [14] 점쟁이4286 08/08/13 4286 1
35459 완전하지 못해도 팀배틀은 분명히 여러가지 장점이 존재한다. [27] 스갤칼럼가5732 08/08/13 5732 5
35457 오늘보여준 E스포츠의 구원투수 -팀리그- 장단점 [11] 100_NO4769 08/08/13 4769 0
35456 오늘 팀리그를 보고 생각난 리그 방식 [10] ranmov4071 08/08/12 4071 0
35455 팀리그 방식에 대한 변론 1) 혹사 2) 경기질 저하 3)선수출전축소 [29] 정테란4784 08/08/12 4784 0
35454 프로리그 연습과정 [22] opscv5987 08/08/12 5987 1
35453 오늘 팀배틀 재미있습니까? [34] 펠쨩~(염통)8423 08/08/12 8423 2
35452 모든것을 불태운 그들이여... [10] 신우신권5587 08/08/12 5587 3
35450 경남 STX컵 마스터즈 준플레이오프 입니다. (삼성 vs SK텔레콤) [405] 핫타이크8808 08/08/12 8808 0
35449 저테전, 3헷의 변화. [32] CakeMarry7143 08/08/11 7143 0
35448 본좌 논란과 춘추전국 시대 [40] 피스5493 08/08/11 5493 0
35447 인크루트 스타리그 36강 D조입니다. [102] 보름달5260 08/08/11 5260 0
35446 폭풍 [暴風] 홍진호. 잊혀지지 말아다오. [19] 구름지수~5001 08/08/11 5001 1
35445 오늘 wcg 워크래프트 경기 재미있었습니다. ^^ [11] Mr.Children5703 08/08/11 570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