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8/09 23:49:58
Name Geo&III]Lucifer
File #1 SCScrnShot_080908_234744.jpg (429.3 KB), Download : 21
File #2 SCScrnShot_080908_234818.jpg (440.7 KB), Download : 17
Subject 플라즈마 선기도?




아아... 별로 중요한 선기도는 아니지만,
전략적으로 활용될 여지가 있는 선기도인 것 같아서 올립니다.


첫번째 사진은 1시 에그 입구인데요,
노란색 마우스가 목표한 에그입니다.
그 에그를 강제공격시키면 이렇게 스캐럽이 빙빙 돌죠.
그런데...


두번째 사진은 9시 에그 입구입니다.
그런데 이게 왠일?
스캐럽이 옆으로 휙 지나가더니 뒤쪽의 에그를 깨더군요...
보시다시피 에그가 터졌죠.
쉽게 말해서 옆으로 스캐럽이 싹 지나가면서
뒤쪽의 에그가 공격 가능하도록 된 것이죠...
스샷을 보면 이해가 가실 겁니다.
(직접 리버로 뒤쪽에 있는 에그를 공격해 보시길 권장합니다)


뭐 솔직히 중요한 선기도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것조차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게 프로게이머.
그래서 혹여나 하는 마음에 올려 둡니다.
요점은,
1시와 (스샷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5시가 스캐럽이 빙빙 도는데
9시가 스캐럽이 빙빙 돌지 않는다면,
즉 뒤쪽에 있는 에그 공격이 가능하다면 문제가 되지 않을까... 싶어서 올립니다만...


친구들하고 놀면서 뻘짓하다가 깜짝 놀래서 올려봅니다.
제가 괜히 오버하는 걸까요? ^^;;;;;;;;




아아아, 그리고 중요한 걸 잊어먹었군요!
삼성전자의 우승을 축하드립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꿀호떡a
08/08/09 23:56
수정 아이콘
에그를 때릴수 있다는 이야기는 건너편의 유닛이나 건물을 타격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되는군요. 솔직히 그렇게 중요해보이진 않지만, 전체 게임 중에 한두 게임 정도는 활용될 여지가 있는 부분일 것 같기도 합니다. 시야 확보용 서플(or SCV)이나, 리버 대비용 미사일 터렛 부수는 정도?
08/08/10 00:07
수정 아이콘
승리의 광캐럽과 비슷한 건가요..
서성수
08/08/10 00:19
수정 아이콘
중요한 정보인듯 해요
지니-_-V
08/08/10 01:33
수정 아이콘
에그가 지나갈수 있으면 저글링도 지나갈수 있을건데요?
지니-_-V
08/08/10 01:34
수정 아이콘
예전 레퀴엠 생각하면 편하실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500 경남 STX컵 마스터즈 2008 결승전 STX Soul VS MBCgame Hero [175] SKY925489 08/08/19 5489 0
35499 Zergology 15-2. - 박태민 vs 강민. [8] 펠쨩~(염통)9081 08/08/19 9081 3
35498 너무도 강해서 얄미웠던 그들. 다시 얄미워 졌으면 좋겠다. [23] 윤하7443 08/08/18 7443 1
35497 프로토스의 대저그전 항쟁사 [80] 김연우15089 08/08/18 15089 57
35496 이제동 vs 마재윤. [23] 펠쨩~(염통)11030 08/08/18 11030 2
35494 서바이버 토너먼트 8조 경기가 끝났습니다 - 결과 및 관람한 경기의 짤막한 이야기 [13] The xian6952 08/08/17 6952 0
35493 경남 - STX컵 마스터즈 2008 결승전 엔트리 및 선봉이 발표되었습니다. [11] Carrier_Kim6819 08/08/17 6819 0
35492 WCG 스타크 결승, 3,4위전~ [167] SKY927639 08/08/17 7639 0
35490 [08~09] Pre Season이 진행되고 있었네요. [6] 달려라투신아~4817 08/08/17 4817 0
35489 객관을 가장한, 약간의 저징징 [52] 진리탐구자6507 08/08/16 6507 5
35488 이제동은 그랜드슬래머인가? [57] 삭제됨7907 08/08/16 7907 0
35487 WCG 금메달에 도전 [16] Akira6413 08/08/16 6413 0
35485 [중계글] 서바이버 토너먼트 6조, 마재윤 10연속 MSL 진출 도전! [213] 라울리스타6593 08/08/16 6593 2
35483 우와~ 방금 신상문선수의 플레이 보셨습니까??? [71] 박지완7062 08/08/16 7062 0
35482 WCG 2008 스타크래프트 부문 한국 국가대표 선발전 4강전~ [104] SKY925564 08/08/16 5564 0
35480 2008. 8. 16 (土) 19주차 pp랭킹 [6] 택용스칸4431 08/08/16 4431 0
35479 2회간의 팀배틀을 통해본 여러 논쟁들의 실례. [46] 펠쨩~(염통)6243 08/08/15 6243 0
35478 인크루트 스타리그 36강 F조. [281] SKY925612 08/08/15 5612 1
35477 프로리그 이런 방식은 어떨까요??? [7] 칼잡이질럿4489 08/08/15 4489 0
35476 경남 STX컵 마스터즈 2008 플레이오프 MBCgame VS SKT [300] SKY926294 08/08/15 6294 1
35473 어린 영웅의 마지막(?) 발자취... [16] 가을이횽의5457 08/08/15 5457 0
35472 프로리그 방식 제안합니다 - 홈어웨이, 챔스방식, 지명선수, 셧아웃 도입 [2] 오만과나태4013 08/08/15 4013 0
35471 삼황 오제 사천왕 -第十八章- [9] 설탕가루인형4543 08/08/14 454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