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7/22 23:53:49
Name 킹이바
Subject 역대최고의 죽음의 조 투표(?) 결과..
얼마 전에 제가 역대 최고의 죽음의 조에 관하여 글을 올린 적이 있습니다.
부족한글솜씨임에도 주제가 주제인지라.. 많은 댓글이 달려서 논쟁 및 토론이 있었습니다.
다시 한번 댓글 주신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 ^

그럼.. 역대 최고의 죽음의 조에 관한 여러분의 투표결과를 발표하겠습니다.
(애매하게 말씀하신분이나.. 죽음의 조 선정이 아닌 다른 내용을 언급하신 분들의 의견은 제외했습니다.)

1위  -  2003 올림푸스배 스타리그  (19표)
          이윤열 임요환 이재훈 박경락

2위  -  2003 마이큐브배 스타리그 (17표)
          홍진호 강  민 이윤열 조용호

3위  -  구룡쟁패 듀얼토너먼트F조 (4표)
          강  민 이윤열 마재윤 차재욱


곰TV3차 MSL - 김택용:이영호 이윤열:최연성 (3표)
질레트배스타리그A조 - 강  민 최연성 박정석 이병민 (2표)
2002스카이배스타리그B조 - 홍진호 강도경 박정석 조정현 (2표)
그외의 듀얼토너먼트 - 홍진호 김준영 한승엽 송병구 , 임요환 박정석 박성준 전상욱 (1표씩)

1,2위는 박빙이었고요.. 나머지조는 그 차이가 엄청나게 나는 바람에.. 투표의 의미가 무색되버렸습니다만;;
뭐 이는 1,2위의 2개조가 그만큼 역대최고의 죽음의 조임을 증명하는 게 되겠죠? ^ ^;

사실 이 글을 쓸까 말까 고민했습니다. 의도한 바는 아니지만, 이 전 글에서 죽음의 조 논쟁이 올림푸스vs마이큐브로 넘어가고
결국엔 이재훈선수와 박경락선수에 대한 논쟁으로 번졌기 때문입니다. 특히 이재훈선수 의견은 많은 의견충돌이 있었는데요..
그럴의도는 아니었으나 제가 떡밥을 던진 것같아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

스토브리그(... 요즘같은 상황도 스토브리그라고 말할수있나요..? 리그는 끝나진 않았는데 경기가 드문...;;;;)기간이라..
피지알도 뜸한데.. 제 글에 댓글 달아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 말씀을 드립니다.
모두 감기 조심하세요...!!! ^ ^ (여름 감기가 무섭더라고요;;)


p.s : 아.. 급수정입니다.. ^^; 적을려고 한게 있었는데; 깜빡잊고 안적었네요..;;;
       요즘 스타리그는 죽음의조가 은근히 안나오는 추세인데요..;
       다음 스타리그에서.. 도재욱 이영호 이제동 박성균 기대해봅니다........... 이러면 윗 조들에 버금가는 대박조겠죠? ^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FallenTemplar
08/07/22 23:55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 -_-;;
코파지마
08/07/23 00:01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 -_-;; (1)
가우스
08/07/23 00:03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 -_-;; (2)
아름다운돌
08/07/23 00:07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 -_-;; (3)
히라이예
08/07/23 00:07
수정 아이콘
하지만 지금은.
핫타이크
08/07/23 00:09
수정 아이콘
하지만 지금은. (2)
지니-_-V
08/07/23 00:17
수정 아이콘
언젠간 다시..
졸린쿠키
08/07/23 00:18
수정 아이콘
언젠간 다시.. (2)
08/07/23 00:23
수정 아이콘
올라가야..
스타대왕
08/07/23 00:55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 그러고보면 손꼽히는 죽음의 조에는 거의 대부분 들어가있었던 느낌이;;

굳이 여기없는 조도 몇개 더 있을듯.
08/07/23 01:13
수정 아이콘
광탈은 괜히 하는게 아니야 보노보노..(뽀로리야~)
로토키스트
08/07/23 09:29
수정 아이콘
언젠간 다시.. (3)
군대가기전에 강민 선수가 개인리그 한번 올라가는거 보고 갔으면 하네요...
응???? 나는 8월 11일 입대구나......
서성수
08/07/23 12:05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가 다 껴 있네요. 역시나 대단해~
당신은저그왕
08/07/23 13:24
수정 아이콘
크크크..이윤열...
공실이
08/07/23 19:19
수정 아이콘
1,2위는 스타리그니까 가능한 일이지만,

정말 3위는 지금 생각해도 어떻게 저런조가 나올 수가 있을까 싶네요. 피씨방 갓 탈출해서 듀얼1R에서 어떻게 저런조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312 김택용 선수의 눈물 [16] 메렁탱크8584 08/07/28 8584 0
35311 마재윤 [32] sylent8958 08/07/28 8958 3
35310 양대리그 통산 커리어 랭킹 (모든 라운드 적용) [21] Dementia-5375 08/07/27 5375 0
35309 When the Stork Drops the Egg- 1 [11] ROKZeaLoT3873 08/07/27 3873 0
35307 기적의 스파키즈 결승진출 축하합니다 [11] 신동v4640 08/07/27 4640 0
35306 [관전평] 온게임넷 스파키즈의 결승 진출을 축하합니다. [8] 레이4095 08/07/27 4095 0
35305 보이지 않았던 전상욱, 믿었던 투토스의 패배 [42] 랄프로렌7639 08/07/27 7639 0
35303 곰 TV 클래식 4강 손찬웅 VS 이영호 [137] SKY925533 08/07/27 5533 0
35302 SKT T1 VS 온게임넷 Sparkyz 플레이오프 (2) [378] SKY925286 08/07/27 5286 0
35301 양대리그 통산 커리어랭킹에 점수를 한번 부여해 봤습니다. [41] 테란이좋아요4609 08/07/27 4609 0
35300 문제는 저그유저 간의 실력차라고 생각합니다. [45] 戰國時代5569 08/07/27 5569 1
35299 SKT T1 VS 온게임넷 Sparkyz 플레이오프~ [434] SKY925679 08/07/27 5679 0
35298 갈길을 잃은 MSL [45] H.P Lovecraft7164 08/07/27 7164 2
35296 맵밸런스에 대한 생각 [35] 프렐루드4969 08/07/27 4969 0
35295 장문의 독백성 및 저징징성 글: '맵'과 '저그'의 관계 2 [25] wkdsog_kr8072 08/07/27 8072 5
35294 이번 엠겜맵 구성은 이상했습니다. [85] 펠릭스~7509 08/07/26 7509 2
35293 축하받을 자격있는 우승자, Never_V_ [12] vendettaz4928 08/07/26 4928 0
35292 MSL 결승전의 끝을 보면서. [3] The Siria4286 08/07/26 4286 0
35291 2008년 7월 26일 아레나 MSL 결승전 다시보기 [36] 질럿은깡패다6347 08/07/26 6347 5
35290 맵의 형평성에 대해.... [15] 자이너3817 08/07/26 3817 0
35289 맵 밸런스 논쟁에 관해. [50] 王天君5484 08/07/26 5484 0
35287 과연 르까프가 개인리그 결승 양대 팀킬을 만들어 낼것이냐 [22] 처음느낌5012 08/07/26 5012 0
35286 아레나 MSL 결승전 이제동vs박지수 [750] SKY929399 08/07/26 939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