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7/21 18:02:46
Name 하성훈
Subject 우승을 노래하라, 음유시인이여...
2006년 시즌 저그에게는 저그를 뛰어넘는 초월한 존재가 한 명이 있었습니다. 그는 바로 저그의 거장, 지휘자 마에스트로 마재윤선수였습니다. 그는 프로리그, MSL, OSL를 넘나들며 최강의 기세와 포스를 내뿜었습니다. MSL을 두번 정복하고 2006년 말에는 마에스트로의 기운이 미치지 못 해왔던 OSL까지 정복하게 됩니다.

이에 모든 저그유저들은 저그의 시대를 활짝 열었으며, 그 시대를 지켜준 본좌에게 경의를 표했습니다. 허나 그 강했던 마에스트로도 2007년 시즌 모래성이 무너지듯 점차 무너져갔고, 그의 몰락과 함께 저그도 함께 무너져내리기 시작했습니다. 저그의 세상이었던 MSL에서는 프로토스의 젊은 혁명가가 나타나 저그의 마틀러를 굴복시키고 프로토스의 시대를 열어나가기 시작했으며, OSL도 다시 테란의 득세가 시작되고 있었습니다.

이제 세상은 프로토스와 테란의 라이벌구도로 흘러가고 있었으며, 저그는 아무런 힘도 쓰지 못할 지경에 이르렀을때, 그가 나타났습니다. 온갖 세상의 풍마에도 굴복하지 않는 커다랗고 넒은 마음씨를 가진 저그의 아름다운 시를 낭송하는 듯한 음유시인이...

그 역시 2006년 시즌 마에스트로와 함께 저그의 시대를 이끌었지만, 언제나 마본좌의 그늘에서 그리고 자신이 스스로 정해놓은듯한 16강이라는 벽에 가로막혀 커다란 활약상을 보이지 못 하였습니다. 허나 2007년 시즌에 들어 그는 달라졌습니다. 전보다 더 넒고 대인배다워져 돌아온 그는 이제 OSL 우승이라는 큰 타이틀을 향해 저그의 OSL 2연속 제패를 위해 노래를, 아름다운 가사의 시를 낭송하고 있습니다. 저그가 쓰러져갈때 다시 구원자가 되어 돌아온 그에게 그리고 오늘 그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경기를 앞두고 있는 대인배에게 저는 이런 말을 하고 싶습니다.

Ps. 저그의 시대를 다시 노래할 음유시인에게...

OSL 우승을 노래하라, 저그의 거장보다도 더 위대해질 저그의 음유시인이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oujours..
07/07/21 18:13
수정 아이콘
대인배 화이팅~~~~~~!!!!!
07/07/21 18:29
수정 아이콘
토스인이지만
오늘은 저그를 응원합니다.
대인배 화이팅!!!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591 차기시즌 시드권자 분석 1 - 곰TV MSL S3 6 ~ 10위 [6] 彌親男4751 07/07/24 4751 0
31590 스타크래프트의 현재 흐름에 대한 생각 [21] 카오스돋하4523 07/07/24 4523 0
31589 누가 팬텍EX를 스폰해 줄 것인가? [28] Fabolous5692 07/07/24 5692 0
31588 맵 벨런스. 개인의 극복과 종족의 극복. 그리고 변형태의 테저전. [14] Leeka5278 07/07/24 5278 0
31587 마재윤, 김준영 그리고 3해처리-하이브 운영 [43] Judas Pain9790 07/07/24 9790 0
31586 변형태 성장하다. [5] 히엔5481 07/07/24 5481 0
31585 방송사 그들이 맵으로 밸런스를 건들 자격이 있는가? [34] 독안룡5394 07/07/24 5394 0
31584 박정석, 강민 그리고 송병구와 투팩 [41] Judas Pain9971 07/07/24 9971 0
31583 분명하게 알겠다... [15] 까탈5869 07/07/24 5869 0
31581 프로리그 엔트리 이렇게 하면 어떨까요? [33] 메렁탱크5061 07/07/23 5061 0
31580 서바이버토너먼트와 듀얼토너먼트의 종족구성비 [5] 信主NISSI4241 07/07/23 4241 0
31579 07 프로리그 포스트시즌. 동족전에 대한 아쉬움.. [19] Leeka4276 07/07/23 4276 0
31578 아~~ 임요환 선수, 이번 서바이버 토너먼트 포기한다는군요. [28] 김광훈7629 07/07/23 7629 0
31577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플레이오프 엔트리 [57] JuVinT5384 07/07/23 5384 0
31575 @@ 조금 늦은 Daum 스타리그 후기. [9] 메딕아빠6848 07/07/23 6848 0
31574 우승자보다 더 우승자 같았던 그들... [50] 노맵핵노랜덤9367 07/07/23 9367 0
31573 역대 양대리그 4강 진출횟수 + (Daum & 곰TV S2) [16] 몽상가저그7547 07/07/23 7547 0
31572 솔직히 스커지는 사기아닌가요. [36] 히엔11605 07/07/22 11605 0
31571 IEF 춘천 사이버대전에 다녀왔습니다. [14] YZAK4035 07/07/22 4035 0
31570 양대리그라운드진출기준 랭킹 [8] 信主NISSI4794 07/07/22 4794 0
31569 신한은행 프로리그 플레이오프 맵순서 나왔습니다. [18] JuVinT4975 07/07/22 4975 0
31568 김택용선수...당했네요.. [62] GakToSs11316 07/07/22 11316 0
31565 2006년 당대 최강. 마재윤의 전적 다시 보기. [22] Leeka8914 07/07/22 891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