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2/27 21:18:58
Name 오우거
Subject 이런이런...오늘 '히어로 팀배틀' 보셨나요????(스포일러)
마봉춘 히어로팀이 후기리그에 이어 그랜드 파이널까지 우승해 버리면서 방송국 쪽에서 자사팀을 띄워주기 위한
하나의 쇼라고 생각했던 저의 선입견을 완전히 한방에 날려버린 경기를 보고야 말았습니다. 덜덜덜.....

지금은 귀국한 히어로팀이 푸켓으로 포상휴가 떠나기전 찍어두었던 "히어로 팀배틀"은 11개팀중에 가장 고른 3종족 라인을 보유한 팀 답게 종족별로 4명의 선수
<테란 - 염보성, 이재호, 민찬기, 강구열>
<저그 - 박성준, 서경종, 김동현, 고석현>
<프로토스 -  박지호, 김택용, 문준희, 김재훈>
들이 1조가 되어 5판 3선승제의 팀배틀 경기를 하는 방식이었죠....

지난주에 테란 vs 저그와 프로토스 vs 저그가 방송되었고, 결과는 다들 아시다시피 테란과 저그의 경기에선 염보성 선수의 2 Kill에 힘입어 테란의 3:1 승
프로토스와 저그의 경기에선 박성준 선수가 올킬을 해버리고 말았습니다.

사실, 여기까지는 제가 하나의 쇼, 말그대로 이벤트전이라고 취급해 버릴만큼 썩 수준급의 경기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오늘 테란과 프로토스의 경기에선 대박 경기가 나오고야 말았습니다.
이런 경기가 이벤트전에서 나와야 했었다는 게 다만 안타까울 뿐이더군요.

프로토스 진영에선 김택용 선수가 선봉이었고, 테란 진영에선 강구열 선수가 선봉으로 나왔습니다.
그럭저럭 경기가 진행되어 김택용 선수가 2 Kill을 해버리고 3경기 아카디아에서 이재호 선수가 출전하게 되었죠.
몇주전에 파포에서 이재호 vs 김택용 선수의 경기가 맵의 자원 다 파먹을때 까지 가는 명승부였다고 나왔길래 나름 기대를 하고 봤습니다.
아카디아같은 엄청난 부자맵에서 자원 다 파먹을때 까지 갔다면 진짜 엄청난 장기전이 되겠구나 하는 생각으로 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게 웬걸......

임성춘-박상현-하태기 조합이 그렇게 초흥분 모드가 아니었을 뿐 김철민캐스터나 김동준 해설이 있었다면 마이크가 파손되지 않았을까 싶을 정도의 난타전이었습니다.
단순한 반땅싸움도 아니고, 대규모 센터싸움도 거의 일어나지 않은채 양 선수가 동서전쟁을 벌이며 끊임없는 견제와 난전으로 치닫는 한판의 멋진 전쟁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특히나 그동안 이재호 선수의 멀티태스킹 능력은 자주 언급 되었던 적이 있는데 오늘 그능력을 가장 잘 보여준 날이 아닐까 싶습니다.
대 프로토스전에서 드랍쉽이 맵 전체를 활보하며 캐논을 피해다니며 끊임없이 프로브를 학살하는 능력은 정말 혀를 내두르게 하더군요...
하태기 감독은 원래 이재호 선수가 불리해지면 초인모드로 변한다고 했지만....

그 상황에서 그걸 다 막아내고 엄청난 리콜을 활용한 견제로 맞받아치는 김택용 선수도 대단하더군요...
이 정도 경기력이라면 감히 마본좌의 간담을 서늘하게 만들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늘 리콜이 도대체 몇번이나 나왔는지 모를정도로, 드랍쉽이 안 훑고 지나간 땅이 있었나 싶을 정도로 엄청난 난전에 엄청난 난타전이었습니다.

에휴...흥분모드로 쓰다 보니 안 그래도 떨어지는 필력이 밑천을 드러내 보인것 같습니다.

ps1> 오늘 이 경기를 보고 김택용 선수에게 내기를 걸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저그전이긴 하지만.....
ps2> 이런 선수들이 즐비한 히어로팀은 도대체 어디까지 갈 것인가???
ps3> 오늘 이 경기가 공식전이었다면 패자 평점 8점은 무난히 넘기겠더군요......
ps4> 테란전은 캐리어가야 된다는 걸 또 느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얀늑대
07/02/27 21:22
수정 아이콘
음..김택용 선수가 박성준 선수를 이겼다는 소식이었음 참 기쁠텐데요..박성준 선수 올킬이라..흑..
주말반
07/02/27 21:24
수정 아이콘
-_-b
Born_to_run
07/02/27 21:25
수정 아이콘
두 선수... 속된말로 '쩔었'습니다.
뉴타입
07/02/27 21:26
수정 아이콘
테란전과 저그전은 다르니까요..한동욱선수의 저그전과 토스전의 차이를 생각해본다면..- -;그래도 김택용선수 기대됩니다.
07/02/27 21:33
수정 아이콘
그경기를 현장에서 봤다는게 자랑스러울뿐 ..
몇년뒤 두선수가 이스포츠의 아이콘이 되면 아는 지인들에게 자랑하고 싶군요.
swflying
07/02/27 22:36
수정 아이콘
꼭 찾아 봐야겠군요. 칭찬이 자자하네요
kimbilly
07/02/27 22:57
수정 아이콘
쇼래도 좋습니다. 리그 안해서 심심 한 것 보다는 좋습니다.
07/02/27 22:59
수정 아이콘
저번에 몇주전에 그 경기 감상평을 어느 분이 올리셔서 그걸 보고 내용을 다 알아버리는 바람에..흑흑
프리랜서
07/02/27 23:34
수정 아이콘
두 선수 진짜 미칠 듯이 싸웠죠. 하태기 감독님의 적절한 해설과 더불어 진짜 대박 경기였습니다. 진짜 이벤트란 게 아까울 정도였어요.
07/02/28 00:51
수정 아이콘
마지막 경기만 봤는데...방송에서 팀플 빼고 엘리나온거 처음 보는것 같아요...엠비씨게임팀 성적 좋은 이유를 알겠네요..덜덜
07/02/28 01:24
수정 아이콘
정말 꼭 보세요 -0-;; 이게 공식전이였으면 진짜 과장 좀 섞어서 올해의 명경기에 꼽히는거는 거의 확정이였습니다 ;;
델마와루이스
07/02/28 02:01
수정 아이콘
우와- 저도 입소문 듣고 재방으로 지금 봤는데...세상에 테프전 이런 명경기 얼마만에 보나 싶네요. 이게 공식전이 아니라니 ㅠㅠ 이걸 kcm조합으로 못듣는게, 아니 캐리어가 나왔으니 엄전김 조합으로 못듣는게 너무 한스럽더군요. 하감독님 해설능력도 참 발군이시던데요. 역시 감독님이시다 보니 선수들이 어떤 선택을 할지 한발 앞서 짚어 내시고...
아 진짜 결과알고 보는데도..이재호가 이렇게 플레이 하는데 김택용이 어떻게 이기나?? 무슨 테프전에서 테저전처럼 드랍쉽을 쓰나?? 아비터의 리콜이야 말로 테프전 난전의 해답이구나... 역시, 캐리어는 갈수 밖에 없는 유닛이군. 등등 너무너무 재밌었어요.
07/02/28 02:09
수정 아이콘
보는 사람도 지칠정도인데 어떻게 저런 게임을 맨날 연습하죠 -_-;;
어쨌든 최고의 승부였습니다.
하태기 감독님 해설도 적절한 센스...
07/02/28 02:51
수정 아이콘
코맨드 센타 터지면서 엘리 .... 재방으로 봐도 재미있더군요^^
꽃을든저그
07/02/28 06:39
수정 아이콘
msl결승을 기다리고있는 저에게는 이재호vs김택용 선수의 경기보다 박성준선수의 프로토스올킬이 각인되는군요... 김택용 어떻해..흑흑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731 골수 토스빠 중의 한명으로서... [9] S_Kun4026 07/03/02 4026 0
29730 최연성과 마재윤은 닮았다. [11] seed5553 07/03/02 5553 0
29729 토스빠 다 어디로 갔나요??? [26] swflying6257 07/03/02 6257 0
29728 김택용은 마재윤에게 질수밖에 없는가? [47] 또치12375 07/03/02 12375 0
29727 한 번만 더 임요환 선수에게 부탁하고 싶어요 [12] 연아짱5371 07/03/02 5371 0
29726 업셋(UPSET)은 가능할 것인가?? 아니면 양대리그 최단텀 우승을 달성할 것인가?? [5] 김광훈4032 07/03/02 4032 0
29725 리그 파행을 막기 위한 제안 [25] homy4966 07/03/02 4966 0
29724 협회의 보이콧 가능한 일일까? [19] 아유5218 07/03/02 5218 0
29722 E-SPORTS or 스타크래프트의 공멸? [4] PRIDE OF4279 07/03/02 4279 0
29721 김택용선수가 마재윤선수 잡고 무조건 우승하길 기원합니다. [28] 김호철7586 07/03/02 7586 1
29720 [sylent의 B급칼럼] ‘팬심’으로 대동단결 vs 협회 [33] sylent5987 07/03/02 5987 0
29719 여기는 서울의 성수동쪽 R 사우나입니다. 이제 MSL 결승이 머지 않았네요. [11] SKY923878 07/03/02 3878 0
29718 주와 부 ( 게이머,방송국, 팬들 그리고 협회 ) [14] 종합백과4161 07/03/02 4161 0
29715 광고와 개인리그 보이콧을 들먹이기 시작한 협회 [88] 뜨와에므와7354 07/03/02 7354 0
29714 신한마스터즈 4강대진 확정되었네여~ [21] blackforyou6029 07/03/02 6029 0
29713 각 팀별로 수집(?)한 양대리그 결승전 결과 [11] 백야4614 07/03/02 4614 0
29712 온게임넷진행방식이야기(1) 지금까지의 방식. 도출된 문제점. [11] 信主NISSI4678 07/03/02 4678 0
29711 주력으로 보는 PvsZ [40] 김연우6942 07/03/02 6942 1
29710 이스포츠판에 마재윤은 분명히 임요환을 대체할만한 이슈메이커가 된것 같습니다. [47] 로베르트6532 07/03/01 6532 0
29709 MSL 결승 D-2 관련 데이터 정리 [14] KuTaR조군3865 07/03/01 3865 0
29707 [JobSeol] 대학교 과목과 스타크래프트 [17] kwikongja4204 07/03/01 4204 0
29706 [sylent의 B급칼럼] 협회의 ‘선택과 집중’ [30] sylent8118 07/03/01 8118 0
29705 이러다가 곰티비가 제 3의 게임방송국이 되는 거 아닙니까? [14] 김주인5737 07/03/01 573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