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2/26 23:18:20
Name 삭제됨
Subject 잊혀진 게이머들 - 전설의 저그킬러 김슬기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gainStorm
07/02/26 23:23
수정 아이콘
이런 글이 나오는 이유는... 역시 마재윤 선수의 영향일까요?
07/02/26 23:25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떄문은 아니고... 저 아래 1.07글과 김대건 김정민 선수의 글을 보고 과거의 게이머들이 생각이 나서 적었습니다.
빌어먹을곱슬
07/02/26 23:34
수정 아이콘
sk가 슬기 의 약자인가요 ...?
그랬군요 ..-_-;;
관심이 없어서 생각을 못했네요 '-';
07/02/26 23:36
수정 아이콘
슬기 약자는 아니고 그의 아이디였던 SoulKey의 약자입니다.
Karin2002
07/02/26 23:39
수정 아이콘
계속 연재해주셨으면 하는 바람이 있네요. 글 잘봤습니다.
EmotionSickness
07/02/26 23:43
수정 아이콘
NPGL 시절 로템 12시 2시에서조차 sk테란을 고집하며 승리를 따내던 모습이 눈에 선하네요. 요즘은 더블 후 베슬 온리 테란이 sk 테란이라 불리고 있지만 오리지날 sk는 패 아카후 빠른 테크를 타는 본진 플레이였습니다. 김슬기 선수의 전성기 시절을 목격한 사람으로써, 쓸데없이 따지는 것일 수도 있지만 엄연히 오리지날 sk가 있는데 방송에서조차 더블 후 베슬 온리 테란을 sk 라고 부르는것이 약간 씁쓸하긴 합니다.
The Drizzle
07/02/26 23:44
수정 아이콘
당시 김슬기 선수가 마린 메딕으로 러커 잡는 모습은 지금 보면 그냥 양으로 막 들이 대는 것 같아 보일 것입니다만, 그때 당시에는 우와~ 하던 모습이었습니다. 러커 두기 때문에 탱크를 뽑아야 하던 시절이었으니까요.

지금이야 SK테란이 정착되고 발전해서 이모습이지만, 당시 SK테란을 보면 참 재밌습니다. 마린 메딕 베슬로 중앙에서 저그와 밀고 당기기를 해주면서 다수 스타포트에서 나오는 배틀로 피니쉬. 사실 SK테란 자체가 자원을 많이 남기는 전략(당시로써는)이었기 때문에 배틀피니쉬가 가능했을 겁니다만 너무나도 어려운 운영이었기 때문에 김슬기 선수가 아니면 정말 하기 힘든 전략이었습니다.
07/02/26 23:55
수정 아이콘
정통파 SK테란은 베슬후 앞마당 -> 끝없는 소모전의 양상이었죠.
지금 생각하면 히럴을 SK테란으로 잡아내기란 정말 어려운일인데(그 시절은 테란전은 곧 히럴이었습니다. 물론 그당시 저그유저들의 수준이 지금보다 너무 떨어지긴 합니다만)아무렇지도 않게 SK테란으로 저그들을 제압하던 그의 모습에서 그가 얼마나 뛰어난 저그전 기량을 갖추고 있었는지 쉽게 짐작할수 있습니다. 방송에서 많은 저그전을 보여줬다면 임요환 선수를 능가하는 저그킬러로 모든 사람들에게 기억됐을텐데... 참 아쉬운 부분입니다.
07/02/27 02:05
수정 아이콘
프로토스 상대로는 김동구식 마린+탱크에 의한 벙커링 조이기를 많이 사용했었죠. 근데 컨트롤이 워나게 뛰어났기에 허무하게 무너진적은 없었던것 같습니다.
포르티
07/02/27 02:54
수정 아이콘
직접 본 적은 없는 게이머지만 얘기만으로도 그의 전설을 알 것 같습니다.
일단 혼자 먼저 에게를 외쳐봅니다
남자의로망은
07/02/27 07:56
수정 아이콘
나모모와 게오동의 이름을 이곳에서 듣게 되다니.. 정말 그립군요.
WizardMo진종
07/02/27 09:55
수정 아이콘
저한테 노동드랍을 처음 보여줄 게이머입니다.

꽁안녕
07/02/27 10:33
수정 아이콘
나모모... 그리고 변태 Kkong -_-
서재영
07/02/27 11:51
수정 아이콘
againstorm// 마재윤선수랑은 별 상관없다고 생각되는데여;; 그렇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저뿐인가;;
07/02/27 17:03
수정 아이콘
이 선수의 전략은 참신했지만
강도경을 위시한 히드라+러커 물량이
이 전략을 당시에 사장시켜버렸죠.
히럴은 임요환의 드랍쉽 이윤열의 투팩에 의해
저럴로 바뀌고 디파일러가 등장하면서 다시 히럴이 등장하는 수순이랄까요.
요즘 저 테전은 물량보다 유닛조합이 우선인것 같습니다.
얼굴나무
07/02/28 00:29
수정 아이콘
김슬기 선수가 최연소 프로게이머로 경기출전한 선수 였는데. 작년에 갈린걸로 알고 있습니다. 염보성선수였나요.
깜찍쿄우
07/02/28 02:53
수정 아이콘
질문 하나 하겠습니다. 혹시 김슬기 선수가 꺼+져 란 아이디를 사용한 분 맞습니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702 맵 밸런스에 관한 폭언. [69] S&S FELIX7481 07/03/01 7481 0
29700 현역본좌 마재윤선수 이선수의 기세는 언제까지 갈까요? [45] KIDD7197 07/03/01 7197 0
29699 다음 스타리그에서 바라는 점 몇가지. [25] JokeR_4181 07/03/01 4181 0
29698 '스타 뒷담화' 얼마나 수용하시는지요? [48] 꽃을든저그6646 07/03/01 6646 0
29697 [PT4] 3차 예선 공지 [1] 캐럿.3708 07/03/01 3708 0
29695 온게임넷은 왜 완전섬맵을 꺼려하는가? [50] 제니스6563 07/02/28 6563 0
29694 이런...다들 너무 하시는거 아닌가요? [21] My name is J5938 07/02/28 5938 0
29693 테란은 x사기종족이 아니다 [31] sinjja4566 07/02/28 4566 0
29692 아...... 케스파컵 망했어요!!! [37] SKY927340 07/02/28 7340 0
29691 저그의 버로우개발의 유용성 [18] bookHunter7228 07/02/28 7228 0
29690 마재윤선수의 '뮤탈 7마리' (in Longinus2) [46] 체념토스8119 07/02/28 8119 0
29688 논쟁거리의 연속,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 3 [16] KuTaR조군4749 07/02/28 4749 0
29686 전용준 캐스터께서 요즘 자주 들려주시는 어투 [14] e-뻔한세상6486 07/02/28 6486 0
29684 스타크래프트 삭제된 테란미션 2개. [4] DeMiaN14605 07/02/28 14605 0
29683 마재윤 선수와 관련한 두가지 잡담. [53] 냠냠^^*6093 07/02/28 6093 0
29682 마재윤선수가 신한3차 스타리그 우승으로 달성한 것들 [16] 5106 07/02/28 5106 0
29681 맵밸런스를 어디로 맞추어야 할까? [43] 아유3855 07/02/28 3855 0
29680 마재윤식 저그운영법을 이기려면? [49] Bless4674 07/02/28 4674 0
29679 이윤열의 송양지인(宋襄之仁)??? [36] 발업리버4919 07/02/28 4919 0
29678 마재윤 옹호, 마재윤 추앙을 비판하는 분들이 계십니다만... [9] AgainStorm4426 07/02/28 4426 0
29677 안티 시청자의 마재윤 선수 경기 감상법. [20] S&S FELIX6031 07/02/28 6031 0
29676 마재윤 선수때문에 재미없어지고 있습니다 !? [13] donit24399 07/02/28 4399 0
29675 C&C 3의 데모가 공개되었습니다. [17] papercut5483 07/02/28 548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