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2/26 15:01:09
Name sinjja
Subject 선수들의 전성기들
1.임요환
제1의전성기:2001년 한빛소프트배스타리그~2002년 스카이배스타리그
제2의전성기:2003년 프리미어리그 후반~2004년 에버스타리그
제3의전성기:2005년 So1스타리그

2.이윤열
제1의전성기:2002년 KPGA투어,파나소닉스타리그,GhamTV스타리그~2004년센게임MSL
제2의전성기:2005년 당골왕MSL,아이옵스스타리그
*제3의전성기:2006년 신한은행스타리그시즌2,3 (현재)

3.강민
제1의전성기:2003년 스타우트MSL,한게임스타리그~스프리스MSL
*제2의전성기:2005년 프로리그 후기리그~2006년 곰TVMSL (현재)

4.박정석
제1의전성기:2002년스카이스타리그,3차KPGA
제2의전성기:2003년마이큐브스타리그~2004년 에버스타리그
제3의전성기:2005년 우주MSL

5.최연성
제1의전성기:2003년 TG삼보MSL~2004년에버스타리그
제2의전성기:2005 신한은행스타리그

5.박성준
제1의전성기:2004년 질레트스타리그~2005년프리미어리그

6.박태민
제1의전성기:2005년당골왕MSL,아이옵스스타리그,프리미어리그

7.마재윤
*제1의전성기:2005년우주MSL~2007년신한은행스타리그S3 (현재)

8.홍진호
제1의전성기:2002년 코카콜라스타리그~TG삼보MSL

9.조용호
제1의전성기:2002년 KPGA4차,파나소닉스타리그
제2의전성기:2005년 당골왕MSL~2006년 신한은행스타리그S1

10.박용욱
제1의전성기:2003년마이큐브스타리그~2004년스프리스MSL

11.박경락
제1의전성기:2003년파나소닉스타리그~마이큐브스타리그

12.이병민
제1의전성기:2004년 스프리스MSL~2005년 에버스타리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제로벨은내ideal
07/02/26 15:02
수정 아이콘
솔직히 임 선수는 2001년 이후 가을마다 포스가 돌아왔다는 느낌...(제 생각으로는)
07/02/26 15:04
수정 아이콘
제로벨은내ideal님//

문제는 가을마다 임선수 포스만큼 플토 포스도 돌아왔다는거죠 ㅡㅡ;
StaR-SeeKeR
07/02/26 15:10
수정 아이콘
전성기라는 게 전적만으로 따지기보단 여러가지를 고려해야하닌 나감하기도 ~ㅅ~
마린의후예
07/02/26 15:13
수정 아이콘
홍진호 선수는 왜 없는거죠?
07/02/26 15:18
수정 아이콘
Adada님 댓글보고 피식~했습니다. ^^
07/02/26 15:19
수정 아이콘
마린의 후예 //
승자만 기억되는 거 아닐까요? 우승자만 썼다던지..
Architect
07/02/26 15:38
수정 아이콘
홍진호선수의 전성기는 상당히 길죠.

코크배 준우승 - 01스카이 4강 - 네이트 16강탈락 - 02스카이 4강 - 파나소닉 4강 - 올림푸스 준우승
엠비시게임에서도 KPGA 1,2차 준우승... TG삼보배 준우승

이후로 홍선수 부진의 늪으로 빠졌다가 간간히 포스회복하긴 했지만 신한1차시즌 4강 한동욱선수에게 지고나서부턴 계속 조용하네요.

전 개인적으로 홍진호선수의 최고전성기를 올림푸스-TG삼보라고 생각합니다. 이때 하나라도 우승했다면 저그의 역사가 달라졌을텐데.. 아쉽네요.
07/02/26 15:42
수정 아이콘
서지훈 선수는 너무 짧아서 빠진 걸까요? 흑흑
김연우
07/02/26 15:44
수정 아이콘
올림포스-TG삼보배가 정말 아까운건,

그때만큼은 저그가 정말 맵이 괜찮았거든요. 솔직히 그때까지는 테란에게 맵이 조금씩 기울어졌었는데,
올림포스 배의 경우 기요틴&노스텔이 개념, 비프로스트,개마고원이 약테란맵, TG삼보배의 경우 건틀렛,데토네이션(저그맵), 짐레(테란맵), 유보트(X테란맵) 정도로 그래도 할만 했거든요.

그때 테란전 승률 70%넘게 찍었는데....
체념토스
07/02/26 16:38
수정 아이콘
오영종은 2005 2006 가을만인가요 -_-
캐리건을사랑
07/02/26 17:52
수정 아이콘
박성준선수는 2005에버 우승에 신한1차까지 결승에 올라갔는데,,,,,,,,
프리미어까지라고 정한건 너무 짧지 않나 싶네요
그래도 마재윤 선수가 나오기 전까지 맵을 불리하게 만들었던 장본인인데..
07/02/26 18:02
수정 아이콘
박성준 선수 같은 경우 전성기 때는 포스가 정말 막강했지만 그 기간이 짧았다는 느낌이 들긴 듭니다.
달님지기☆Carpe
07/02/26 18:42
수정 아이콘
선수의 기준을 모르겠네요.. 이건 우승자만 있는것도 아니고.. 서지훈 선수와 오영종 선수가 없는 아쉬움에... 참 김동수 선수도 없군요.. 흠.
마술사
07/02/26 20:40
수정 아이콘
홍진호선수가 준우승한 코카콜라배 스타리그는 2001년이었던걸로 아는데요. 2001년 6월경부터 시작해서 9월에 결승을 치뤘었죠.
발업까먹은질
07/02/26 23:24
수정 아이콘
Adada 님 댓글 너무 웃기네요 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674 이 새벽 진영수를 위로한다! [32] Estrela3926 07/02/28 3926 0
29672 결승 보러 갑니다. 그를 응원하러. [16] SKY923773 07/02/28 3773 0
29670 이해해 주세요. [28] 연휘군4050 07/02/28 4050 0
29669 답답한 엠비씨 게임...... [44] 신병국6645 07/02/27 6645 0
29668 마재윤선수 경기의 재미있는 점과 그렇지 않은점. [44] 냠냠^^*5098 07/02/27 5098 0
29667 히어로 팀배틀 프로토스 VS 테란 3경기. 아카디아 2 감상기. [16] SKY925866 07/02/27 5866 0
29666 지금 입소해있는 김환중, 이재훈, 김선기 선수의 모습이 공개되었네요. [13] 풍운재기4432 07/02/27 4432 0
29665 이런이런...오늘 '히어로 팀배틀' 보셨나요????(스포일러) [15] 오우거5442 07/02/27 5442 0
29664 늦었지만 오프후기입니다 [2] Stay There4109 07/02/27 4109 0
29663 그래도 한동욱 이라면.. [22] 파하하핫4160 07/02/27 4160 0
29662 잃어버린 낭만을 회고하며... 가림토 김동수 [15] 옹정^^4352 07/02/27 4352 0
29660 기자님 마재윤 로열로더 된지 얼마 안됬어요~^^ [27] dkTkfkqldy6300 07/02/27 6300 0
29659 6인 테란의 3색 저그전 [26] 김연우6396 07/02/27 6396 0
29658 마재윤의 경기는 재미없어서 안본다?? [108] 마음속의빛5904 07/02/27 5904 0
29657 강민 선수 재계약 할 때 되지 않았나요? [92] 질롯의힘6737 07/02/27 6737 0
29656 본좌와 혁명 [7] 카알4006 07/02/27 4006 0
29655 본좌(本座)의 역사성,그리고 마지막 남은 최후의전쟁! [51] gipsy terran4783 07/02/27 4783 0
29654 내가 마재윤 선수의 경기를 보는 이유... [108] 무의선인5928 07/02/27 5928 0
29653 아직 발전할 수 있습니다. [15] JokeR_4007 07/02/27 4007 0
29652 우주배 결승 VOD를 다시 봤습니다. [21] 발업리버5098 07/02/27 5098 0
29651 임요환의 패러다임 그리고 마재윤의 패러다임 [14] 사탕한봉지5366 07/02/27 5366 0
29650 [잡담] 몇몇 선수들에게 부족한 2%...? [18] My name is J4059 07/02/27 4059 0
29648 [sylent의 B급칼럼] 마재윤 때려잡기(프로토스를 위한) [65] sylent9515 07/02/27 951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