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2/26 10:45:50
Name 아유
Subject 제4대 본좌냐? 스타크래프트 3세대의 서막이냐?
마재윤이 가지고 있는 갈림길은 하나라고 봅니다.
제4대 본좌가 되느냐? 아니면 스타크래프트 3세대의 서막을 여느냐?

스타크래프트 1세대는 임요환이 등장하기 이전 기욤패트리 등을 위시한 베틀넷 중심 유저들의 세대라고 보며

스타크래프트 2세대는 지금 본좌들이 시대라 봅니다.

마재윤의 갈림길은 바로 2세대의 또 다른 왕으로 남느냐 아니면 3세대를 여는 시조가 되느냐라고 봅니다.

임요환이 2세대를 열었다고 평가받은 이유는 그의 라이벌들도 한 몫 했다고 봅니다.
홍진호, 김동수
홍진호는 결승에서 임요환을 이기진 못했으나 멋있는 경기를 통해서 사람들에게 많은 각인을 받았다고 봅니다.
김동수는 황제의 3회 연속 우승을 저지한 유일한 선수로 기억되며 프로토스의 영웅으로 떠올랐기에 역시 각인을 받았습니다.

이윤열과 최연성의 본좌의 2대, 3대가 되었을지언정 새로운 시대를 열지 못한 이유는
그들 역시 임요환의 그늘 아래 있을 수 밖에 없었으며
또 그들의 라이벌 역시 임요환의 그늘 아래 있었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마재윤은 지금까지와의 본좌와는 약간 다른 시대에 살고 있다고 봅니다.
이윤열, 강민 등을 제외하고 마재윤과 호각지세를 이루었던 선수들은 임요환의 그늘 내에 있지는 않았습니다.
그리고 마재윤 그 자체가 임요환으로부터 자유로워 져 있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마재윤에게도 갈림길은 있습니다.
강민과의 성전을 강조하거나, 이윤열과의 대결을 강조하면 그 역시 이전 본좌들과 같은 길을 걷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선수들. 임요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선수들과의 대립관계가 구성되면 새로운 스타 3세대를 열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다고 봅니다.

지금까지의 본좌들은 임요환의 그늘 아래서 혼자서 독야청청한 스타일이 많았습니다.
마재윤도 독야청청만 한다면 본좌라는 이미지는 가질 수 있으나 새 시대를 열 수는 없습니다.
마재윤에게 필요한 것은 아니 방송이나 언론 그리고 커뮤니티에서 마재윤이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도록
새로운 선수들과의 대립관계를 부각시키는 것을 더 중점으로 해야 한다고 봅니다.

마재윤은 강민, 이윤열과는 이미 스코어차가 벌어져서 라이벌이라 할 수가 없습니다.
오히려 그와 비슷한 스코어를 기록하는 선수들은 임요환과의 거리가 멉니다.
이 점이 다른 본좌들과 마재윤의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죠.

임요환이 만들고, 이윤열, 최연성으로 이어져 내려온 2세대를 이어 받느냐
아니면 자신이 만들고 다른 선수들의 도움을 받아서 3세대를 여느냐
이게 마재윤에게 최고의 갈림길이라 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2/26 10:49
수정 아이콘
진영수, 변형태, 김택용 같은 선수들이 많이 거론되는건 그런 이유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상어이빨
07/02/26 10:51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 혼자 잘해서 되는 길은 아니군요 ^^;
다른 선수들이 따라와줘야 3세대가 열리는거군요.

제 생각은 다릅니다. 머릿속에 생각이 있긴 한데 글로 쓰기 참 힘드네요 ^^; 자기 생각을 이렇게 글로 잘 표현하는 분들은 참 부럽습니다. ㅠㅜ
냠냠^^*
07/02/26 19:55
수정 아이콘
근데 사실 혼자 잘하다보면, 다른 선수들이 따라와주게 됩니다. 그들 역시 프로이고, 스타급 센스를 가진 선수는 소수 있게 마련이니...

결국 그러면서 새로운 시대로 전환되죠. 임요환시대때 그랬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674 이 새벽 진영수를 위로한다! [32] Estrela3926 07/02/28 3926 0
29672 결승 보러 갑니다. 그를 응원하러. [16] SKY923773 07/02/28 3773 0
29670 이해해 주세요. [28] 연휘군4050 07/02/28 4050 0
29669 답답한 엠비씨 게임...... [44] 신병국6645 07/02/27 6645 0
29668 마재윤선수 경기의 재미있는 점과 그렇지 않은점. [44] 냠냠^^*5098 07/02/27 5098 0
29667 히어로 팀배틀 프로토스 VS 테란 3경기. 아카디아 2 감상기. [16] SKY925866 07/02/27 5866 0
29666 지금 입소해있는 김환중, 이재훈, 김선기 선수의 모습이 공개되었네요. [13] 풍운재기4432 07/02/27 4432 0
29665 이런이런...오늘 '히어로 팀배틀' 보셨나요????(스포일러) [15] 오우거5442 07/02/27 5442 0
29664 늦었지만 오프후기입니다 [2] Stay There4109 07/02/27 4109 0
29663 그래도 한동욱 이라면.. [22] 파하하핫4160 07/02/27 4160 0
29662 잃어버린 낭만을 회고하며... 가림토 김동수 [15] 옹정^^4352 07/02/27 4352 0
29660 기자님 마재윤 로열로더 된지 얼마 안됬어요~^^ [27] dkTkfkqldy6300 07/02/27 6300 0
29659 6인 테란의 3색 저그전 [26] 김연우6396 07/02/27 6396 0
29658 마재윤의 경기는 재미없어서 안본다?? [108] 마음속의빛5904 07/02/27 5904 0
29657 강민 선수 재계약 할 때 되지 않았나요? [92] 질롯의힘6737 07/02/27 6737 0
29656 본좌와 혁명 [7] 카알4006 07/02/27 4006 0
29655 본좌(本座)의 역사성,그리고 마지막 남은 최후의전쟁! [51] gipsy terran4783 07/02/27 4783 0
29654 내가 마재윤 선수의 경기를 보는 이유... [108] 무의선인5928 07/02/27 5928 0
29653 아직 발전할 수 있습니다. [15] JokeR_4007 07/02/27 4007 0
29652 우주배 결승 VOD를 다시 봤습니다. [21] 발업리버5098 07/02/27 5098 0
29651 임요환의 패러다임 그리고 마재윤의 패러다임 [14] 사탕한봉지5366 07/02/27 5366 0
29650 [잡담] 몇몇 선수들에게 부족한 2%...? [18] My name is J4059 07/02/27 4059 0
29648 [sylent의 B급칼럼] 마재윤 때려잡기(프로토스를 위한) [65] sylent9515 07/02/27 951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