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2/26 01:58:04
Name 狂的 Rach 사랑
Subject 승리를 축하하지만 뭔가 남은 아쉬움...
우선 이런글이 배부른 자의 여유라고 생각하시는 분이 없길 바랍니다.

우승했음 됐지 뭘바래. 이렇게 생각하시면 오해입니다...

팀의 승리도 중요하지만 한 선수의 승리도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게 느껴지거든요...

전 뭐 오늘 내내 기쁜마음으로 무한 댓글신공을 펼쳤기에

다들 아시겠지만 티원팬입니다.

따라서 모든 티원 선수들 다 좋아하고 아낍니다만은...

그래도 제가 유별나게 아끼는 선수가 있으니

박태민 선수와 임요환 선수입니다.

사실 나머지 다른 선수들은 개인리그에서의 경기라면

응원하지 않습니다.
(너무 잔인한 말인가요. 하지만 프로리그를 제외하곤 개인리그까진 특별히 응원하게 되지 않더군요.)

하지만 이 두선수는 다릅니다.

개인리그에서 지면 정말 화가 나고

이기면 반대로 정말 미칠듯이 기쁩니다.

사실 오늘 엔트리 발표됐을때 박태민 선수가 안나와서 아쉬움이 있었던 반면

임요환 선수가 오랜만에 프로리그 결승무대에 나온다는 사실이 기뻤습니다.

더군다나 맵은 알포인트. 상대가 테테전 강자이긴 하지만

요환선수도 테테전 특별히 못한다고 생각진 않기에 기대가 컸네요.

물론 팀이 우승할때마다 그 선수만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거 같아 사실 안타까웠구요.

이 기회에 주장의 능력을 보여달라고 응원했는데

결과는 패배. 생각보다 너무 무기력했습니다.

빌드의 차이가 컸다곤 하나... 아무튼 아쉬움이 너무 크더군요.

초반 경기석에서 많이 굳어있는 모습을 볼때 많이 안타까웠는데

뒤로 갈수록 팀 분위기가 좋아지자 많이 웃는거 같더군요.

근데 저만 느낀걸까요. 팀 우승 확정 이후 웃고 있지만 웬지 선수들 주위를

겉돌고 있다는 느낌이었습니다...

누구보다 주장의 책임을 잘 알고 승부욕 강한 선수이기에

이겨서 기쁜맘도 있는 한편 속도 상했을겁니다.

뭐 팀이 이기면 된거지, 그럼 된거야.

이렇게 그냥 넘어가고 싶진 않네요.

예전만큼의 열성팬은 아니지만 그래도 전 그런거 바라지 않습니다.

단순히 정신적인 지주 이런 말 듣는거 보다는

팀의 실질적인 에이스로서의 능력을 보여주길 원합니다.
(최연성 선수 나와서 하는거 볼때마다 대단하다는 감탄과 함께 웬지 모를 아쉬움이...
오해하지 마세요. 저 최연성 선수 안싫어합니다.)

요환선수는 아직 충분히 그럴 능력이 있지 않습니까.

아쉽게 2005시즌에서 팀의 활약을 이끈 선두에 서진 못했지만

새로이 시작될 리그에서 그것을 보여줬음 하네요.

화이팅입니다 ^^


*덧붙임; 티원 오늘 승리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더불어 함께 선전한 ktf 선수들에게도 감사드립니다. 힘내시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직신
06/02/26 01:59
수정 아이콘
1차전 그래도 임요환선수 그 상황에서 센스가.. 재밋었습니다.. 여튼.. 그분은 테테전을 해도 재미있게..ㅎ;
06/02/26 02:04
수정 아이콘
그래도 1경기 아무것도 못하고 지진 않았으니.. 잘했어요..ㅜㅜ 그 벌쳐를 어찌해서 막고 드랍해서 타격준 것만 해도..감탄스럽더라구요.. 저도 오늘 티원이 이겨서 좋은데.. 그분만은 오늘 정말 이겼으면 했는데.. 넘 안타까웠어요.. 좌석으로 돌아와서 기운없는 모습이.;; ㅜㅜ 그분.. 괜찮습니다.. 오늘 졌으면 다음 프로리그 때 배로 열심히 하면 되요..!! 기운 잃지 마세요!!
가루비
06/02/26 10:36
수정 아이콘
그..그래도 그 상황에 그만큼 끌고간것으로 위로를!!!!
ㅜㅜㅜㅜㅜ[ 왜그런겨 대체!!!! ]

태민선수가 7경기 에이스결정전을 그렇게 열심히
준비했다고 하는데 한편으론 또 박태민 그 멋진 운신 나올껄
생각하니 두근두근 하면서 아쉽기도 합니다. ^^

임요환선수, 자신이 강해지고 자신이 승부욕앞에
충실하다면, 언제나 믿습니다.
그게 임요환이니까요. ^^
김성재
06/02/26 14:51
수정 아이콘
T1을 응원하면서 본 입장에서 저는 솔직히 임요환 선수의 빌드가 정말 짜증났습니다.-_-;;; 상대방이 완전 안들어오길 바라면서 하는 대놓고 하는 빌드.. 원래 잘하는 맵이라면 안정적으로 해도 될터인데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 이해할수 없군요.
뭐 저는 개인리그의 T1선수들을 거의 응원하는 편입니다만 그래도 역시 최연성선수를 제일 응원합니다. 최고라고 생각하니까요.
06/02/26 15:24
수정 아이콘
각 선수마다 역할이 있습니다. 최연성선수와 비교는 곤란하죠.
이제 임요환 선수는 팀의 맏형으로서, 분위기를 잡고 슬슬 플레잉 코치로 변신을 시도하는편이 나아보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1355 기대되는 대학생활 [33] 히또끼리5774 06/03/01 5774 0
21354 인터넷하시면 가시는곳, 다들 어디세요? [56] ParasS6528 06/03/01 6528 0
21353 드디어 3월이 되었습니다. [17] Eternal4185 06/03/01 4185 0
21352 기업팀 창단...올 해까지 끌고 온 협회... [37] mars5900 06/03/01 5900 0
21351 스타크래프트 헌터 맵에서의 2:2 팀플에 관하여 - (수정) [40] 햇살같은미소10518 06/03/01 10518 0
21350 방송경기에서 사라져가는 전략들. [51] 천재테란윤열5408 06/02/28 5408 0
21349 KTF가 아직도 강팀입니까? [87] 구양봉6234 06/02/28 6234 0
21348 정말 이게 얼마만에 느끼는 행복입니까 . . . [14] ☆FlyingMarine☆3779 06/02/28 3779 0
21346 2006시즌 김정민 선수 기대됩니다. [17] Figu4161 06/02/28 4161 0
21345 모두의 리그를 통해 본 온게임넷의 전략,그리고 현 e스포츠계의 2인자들. [29] legend5368 06/02/28 5368 0
21342 한국의 후삼국시대를 게임화한다면? [16] SEIJI6798 06/02/28 6798 0
21341 최강의 공격력(박성준)이냐 극강의 수비력(최연성)이냐.. [43] paramita4858 06/02/28 4858 0
21338 엄마친구아들. 을 실제로 보았습니다. [43] V5706486 06/02/28 6486 0
21337 해의 남자, 달의 이야기 (1) [4] 네로울프12680 06/02/28 12680 0
21335 KTF, 팀플레이를 잡아라. [9] Velikii_Van3950 06/02/28 3950 0
21334 '다시한번 4위로 무너지고 싶지 않다.'박지호 VS '첫 4강진출인데 4위로는 머물수 없다.' 한동욱 [8] SKY923816 06/02/28 3816 0
21332 신한은행 스타리그 우승자는 최연성? [34] 나멋쟁이5170 06/02/28 5170 0
21330 한동욱......아직 끝이 아니다. [24] 박지완4342 06/02/28 4342 0
21328 영화 <쏘우> 1,2편 다 보신분들 답변좀 [36] 냥이6732 06/02/28 6732 0
21327 박성균 vs 이제동 성사될수 있을지&한팀 3종족 3개시드 싹슬이 도전 [10] 초보랜덤4033 06/02/28 4033 0
21326 오늘 경북 영천이라는 먼길을 다녀 왔습니다 [2] Memories3927 06/02/28 3927 0
21325 박현준 선수의 승리를 보며 KTF에 바랍니다. [14] Velikii_Van4006 06/02/28 4006 0
21324 올스타리그 관전기 - 날...라!!! [21] 세이시로4829 06/02/27 482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