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10/07 09:38:48
Name 총알이 모자라.
Subject 가장 과학적인 만화 도날드 덕?!
1901년 캐나다에서 태어난 칼 바크스는 1930년대 초 만화가가 되어 1935년 디즈니 영화사

에 들어갔고 1942년부터 도널드 덕 만화를 쓰기 시작했다. 1967년 만화계에서 은퇴할 때까

지 총 500여권의 도널드 덕 관련 만화를 출간했는데 작가의 이름은 익명으로 되어있었다.

익명의 작가였지만 디즈니가 작가를 다른 사람으로 교체하려 할 때마다 수많은 독자들의

항의 편지를 받아야 했다. '훌륭한' 오리 인간을 돌려 달라는...



칼 바크스는 독자들을 무시하지 않는 작가였다. 1985년의 인터뷰에서 그는 이렇게 말했

다. "나는 만화책을 '사'보는 아이들이 아무것도 모르는 코찔찔이 아기나 다름없다는 편집

자들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나는 내 만화의 독자들이 평균 열두 살에, 세상을 어

느 정도 알고, 이미 기계, 역사, 과학, 자연, 여행 등에 관한 지식을 꽤 많이 지니고 있다고

가정했습니다."

"글과 그림이 설득력 있고 믿을 수 있다면 어떤 연령의 독자든 간에 더 유쾌하게 즐길 것이

라고 생각했습니다."




도널드 덕은 명랑한 분위기에 밝은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그 속에 장면 장면은 특히 신중

한 고려를 통해 그려졌다.  1960년 1월 '북극 얼음밑' 편에는 도널드와 조카들이 잠수함을

타고 북극의 얼음 밑을 여행한다. 바크스는 잠수함을 묘사하는데 있어 실제로 북극의 얼

음 밑을 통과한 노틸러스호의 사진을 토대로 겉모습은 물론 내부가지 꼼꼼히 그렸다. 1963

년에 나온 잠수정을 이용해 수심 10키로미터까지 내려가는 만화에서는 1960년 수심 11키

로미터까지 잠수한 심해 잠수정 트리에스터를 모델로 그렸는데 그 만화에서는 잠수정을

부상시킬 부력을 얻기 위해 잠수정 위에 휘발유 탱크까지 그려 놓았고 그들의 위치는 수

중 음파탐지기로 계속 추적되고 산소가 희박해지자 이산화탄소 중독 때문에 환상이 떠오

른다는 대사까지 있었다. 1959년 출간된 유령선편에서는 남극의 빙산에 갖혀버린 유령선

의 정체를 밝히면서 극광(極光)과 인광(燐光) 때문에 수백킬로미터에 걸쳐 바다와 구름사

이의 공간에 배의 모습이 비치는 것이라는 원리를 훌륭하게 증명해낸다.

그러나 이런 내용들을 압도하는 가장 유명한 과학적 사고는 1945년의 해저에 가라앉은 배

의 인양에 관한 이야기이다. 예산이 부족했던 그들은 배안에 탁구공을 채우기로 하는데 탁

구공이 채워지면 배안에 물은 빠져나가고 부력이 생겨 배가 떠오른다는 아이디어였다. 하

지만 당시에는 황당한 이야기로만 여겨졌다.

그러다가 1964년 덴마크의 과학자인 카를 크로거는 쿠웨이트 항구 근처에서 침몰한 화물

선의 인양에 탁구공을 폴리스티렌 거품으로 대체해서 인양에 성공하자 상황이 달라졌다.

카를 크로거는 그 만화책을 읽고 아이디어를 얻었던 것이다. 나중에 특허신청을 했지만 15

년전에 만화책에 나온 아이디어라는 이유로 특허신청은 반려되었다.




칼 바스크는 독자에 대한 존중과 충실한 묘사 그리고 과학적인 사실에 대한 충실한 이해

를 바탕으로 탄탄한 스토리를 만들 수 있었고 그의 이야기들이 수 십년간 사랑 받을 수 있

는 원동력이 되었다. 허무맹랑한 이야기로 그저 순간적인 즐거움을 주기보단 보단 심도있

는 통찰력과 즐거움을 동시에 줄 수 있는 작가였음에 틀림없다. 한가지 아쉬운 것은 그의

만화중 이런 과학적 사고가 바탕에 깔린 이야기들은 우리나라에 소개되지 않았다. 너무 어

렵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의 말대로 독자들을 무시한 것 아닐까?




우리는 만화나 영화 소설 등에서 황당한 이야기를 보아도 무감각하다. 만화니까, 영화니

까, 소설이니까 하고 넘어가는 것이다. 그러나 고바야시 모토후미나 칼 바스크와 같이 사

실적인 것에 충실한 것도 충분히 상상력을 발휘할 여지가 크고 탄탄한 스토리를 가질 수

있으며 더 오랫동안 사랑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제 우리에게도 세월이 지나도 변함없이 추천받고 인정받을 수 있는 작가들이 나올때가

되지 않았나 생각해본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10/07 10:06
수정 아이콘
야... 정말 도널드 덕, '사랑받아 마땅한 만화'네요
kiss the tears
05/10/07 10:50
수정 아이콘
어떻게 저런 것까지 알고 계실까...부럽습니다...
김영대
05/10/07 11:59
수정 아이콘
만화잖아~ 그냥 넘어가~ 이런거 정말 싫어요.
분명 그 만화의 세계관 안에서는 불가능한 일인데, 그걸 만화기 때문에 그냥 넘긴다는게 말이죠.
제가 맨날 얘기하는게, 드래곤볼은 프리더 나올 때부터 지구에서 싸우는것 자체가 아예 성립이 안 된다는 건데요;
그 때부턴 서로 싸우는 어떤 충격파(?) 같은 것 때문에라도 지구는 그냥 부서질 겁니다. -_-;
이유있음
05/10/07 12:33
수정 아이콘
일요일 아침 마니 봤었는데...
황금오리편은 아직도 기억하고요^^
유신영
05/10/07 12:38
수정 아이콘
김영대님//
그러고보니 대책 없이 스케일 커지는 것은 바스타드도 마찬가지죠. 근데 생각보다 말되게 해설하려고 노력하던데요. 절대영도나 에테르 같은 것으로 말이죠. 에거~
그러고보니 궁금한 것이 있는데..
텔레포트는 과연 가능할까요, 왜냐하면 사람들은 유물론보다는 이원론을 믿는데.. 그러면 물질인 육체만 텔레포트되지 정신까지 텔레포트 같이 된다는 보장이 없잖아요~
김영대
05/10/07 12:49
수정 아이콘
유신영님//
윽 무언가 대꾸를 해드리고 싶지만, 만화책은 많이 안 봐왔던지라, 바스타드가 뭔지는 잘 모르겠내요. ㅠㅠ
맞아요.
정말 작가가 대책없이 스케일 커지게 하는거....
제 생각에 원피스 작가분께서는 그리시면서 스토리를 짜시는게 아니신지;;;;;
호수청년
05/10/07 12:54
수정 아이콘
텔레포트라... 뇌를 보내면 정신까지 전송되지 않을까요?
어떻게 보내는가가 문제겠네요. 어떠한 형태로 짜를지도 중요하겠구요.
05/10/07 13:12
수정 아이콘
독자를 배려한다는 작가의 정신이 정말 멋져요!
강가딘
05/10/07 13:18
수정 아이콘
스머프도 공산주의를 다룬 내용이라고 하던데...
정테란
05/10/07 14:46
수정 아이콘
불후의 명작 톰과 제리가 가장 비과학적이지 않나요?
VoiceOfAid
05/10/07 14:51
수정 아이콘
유신영//육체가 하드웨어라면 정신은 소프트 웨어. 하드웨어를 전송하면 거기에 설치된 소프트 웨어도 같이 텔레포트될것 같군요. 어차피 정신이란것도 육체에 구속되는 것이니까요.
총알이 모자라.
05/10/07 15:37
수정 아이콘
문득 정신없는 놈이라는 말이 떠오르는
05/10/07 15:44
수정 아이콘
그런데 이 도날드덕이 돈에서 헤엄치는 그 도날드덕 만화 맞나요?
기억나는 건 그 장면 밖에 없는데...;
총알이 모자라.
05/10/07 15:55
수정 아이콘
돈에서 헤엄치는 건 도날드 덕의 아저씨인 스쿠르지영감입니다. 나중에 따로 나온 만화입니다.
05/10/07 16:15
수정 아이콘
제가 일본만화를 좋아하는 이유이기도 하죠. 바로 '전문성'.
그들은 만화를 그릴 때 그 분야에 대해서 철저하게 공부해서 만화에 접목시키더군요.
미스터 초밥왕만 봐도 알 수 있죠. 참 대단합니다. 신라 호텔 일식쪽 주방에선 요리사들 필독서라고 ㅡ.ㅡ;;
게임도 그렇죠. 역전재판이라고 아시나요? 누가 '열혈법정배틀' 같은 희귀한 장르에 도전하겠습니까;
제가 어릴때 둠이 인기를 끌자 하데스 등등 별의별 아류작들이 다 나오고 스타가 인기를 끌때도 국산 게임중에 비슷한 게임 정말 많았죠.
지금 MMORPG 쪽도 그렇고 너무 같은 작품들만 만들어 내는 것 같아서 좀 그렇습니다.
뭐 일본은 그만큼 기본적으로 인프라가 뒷받침 되는 것도 사실이지만..
TheInferno [FAS]
05/10/07 16:35
수정 아이콘
한국겜이 비슷한게 많았던 이유는 색다른 게임이 나오면 안팔렸기 때문입니다 -_-;;
한국시장은 비주류장르 게임을 받아들일 정도로 크지 않았죠

요즘이야 유료계정 만개만 확보하면 과거의 웬만한 히트작이 벌어들이던 액수를 벌 수 있으니 댄스배틀이나 길거리농구 해전 기타등등의 비주류장르가 많이 나오지만 아직도 업계1위는 MMORPG죠
Sulla-Felix
05/10/07 18:41
수정 아이콘
일본 만화가 전문성을 가질 수 있는 건 분업체계 때문입니다.
취재하는 사람이 따로 있고 그림도 나누어서 그리죠.
그러고도 이익을 내는 수익구조는 물론이구요.
이걸 한국만화는 혼자 다 해야 합니다. 기껏해야 어시 몇명
그것도 돈도 못주죠. 자본만 있으면, 시장성만 있으면 한국 만화도
그렇게 그릴 수 있습니다. '식객'을 보시면 잘 아실 겁니다.
VoiceOfAid
05/10/07 18:59
수정 아이콘
안타깝게 우리나라 만화시장은 죽었죠. 김성모작가 같이 다작을 해야 돈을 벌 수 있는 유통구조에선....-_-
하얀잼
05/10/07 21:09
수정 아이콘
cloz//그건 스크루지와 세조카아닌가요?(제목 불확실..ㅡㅡ;;) 도날드덕은 아닐겁니다. 확실하게는 모르겠네요 ㅠㅠ
청바지
05/10/08 04:42
수정 아이콘
정말 도날드덕에 그런 내용이 있는지는 처음 알았네요. 정말 작가분의 생각이 멋진 것 같군요.

유신영님// 사람들이 이원론을 선호하는 것 같긴 합니다만, 이원론은 결정적인 모순 때문에 최근에는 사장되었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현대 철학은 유물론 아니면 유신론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124 이번 SO1 OSL 이미나온 2대 진기록과 앞으로 나올수도 있는 두가지 진기록 [44] 초보랜덤6109 05/10/07 6109 0
17123 아쉽지만,,,,다음에 잘하면 되겠죠,, [11] genius4689 05/10/07 4689 0
17121 KTF팬은 힘들다.. [35] 마리아4566 05/10/07 4566 0
17120 815맵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17] KTF엔드SKT14843 05/10/07 4843 0
17119 정말 개념 자체가 다르군요. [41] Dizzy6131 05/10/07 6131 0
17118 온게임넷, 제발 밸런스 생각 좀 하고 맵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335] 그때부터11315 05/10/07 11315 0
17117 그는 두목이였습니다...[스포일러] [7] Fast&Past4203 05/10/07 4203 0
17116 오늘 임요환선수와 박정석선수경기를 보고..(스포일러有) [43] ZiZiT5467 05/10/07 5467 0
17115 저는.. 청국장이 좋단 말이예요.....! [23] 유수e4709 05/10/07 4709 0
17114 외면에 대하여... [2] The Siria4401 05/10/07 4401 0
17112 [펌] 하늘이 참 원망스럽습니다.. 제 짧은 합격수기입니다... [12] 하늘바다4634 05/10/07 4634 0
17110 최군사건과 관련,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과 바른 방향 [29] 내스탈대로5529 05/10/07 5529 0
17109 말라카이트 그린, 포르말린, 우지(엄청나게 길어요) [5] 총알이 모자라.4985 05/10/07 4985 0
17107 가장 과학적인 만화 도날드 덕?! [20] 총알이 모자라.5600 05/10/07 5600 0
17106 이번 부산개성중학교 동급생폭행,살인사건에 대하여 [121] 히라이9116 05/10/07 9116 0
17105 오늘 박정길 선수가 사용한 전술.. 괜찮네요 [20] F만피하자5372 05/10/07 5372 0
17102 졸업작품관련 - 차량환기시스템 .. .작명 좀 부탁드립니다. [16] SuoooO5401 05/10/06 5401 0
17101 [CYON배 7차 MSL] 당신의 아이디어 MSL로 현실이 되다. [40] 청보랏빛 영혼7605 05/10/06 7605 0
17100 저는 KTF팀에게서 '센스'를 배웠습니다. [6] jinojino5138 05/10/06 5138 0
17099 pgr21분들께서 자주하시는 여러가지 우리말 실수들... [43] KuTaR조군4722 05/10/06 4722 0
17098 나에게도 과연 재능이 있을까? (수정) [37] 식수센스4874 05/10/06 4874 0
17097 한게임배 이제 그 저주는 풀리나?? [19] 몽상가저그6246 05/10/06 6246 0
17096 저축에 대해서 어찌 생각하세요? [21] 비엔나커피4555 05/10/06 455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