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2/11 15:46:04
Name pnqkxlzks
Link #1 유튜브, NYT
Link #2 https://www.nytimes.com/2025/02/10/business/china-box-office-ne-zha-2.html
Subject [연예] 중국서 1위 먹은 애니 '너자2'...2주만에 1조7434억원 벌었다네요 (수정됨)
중국 애니메이션 '너자2'가 중국 박스오피스 1위 먹었고,
중국 사람들이 미국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대신 자국 영화를 찾는다는 기사가 NYT에 있더라구요?
얼마나 잘 만들었길래 하면서 유튜브로 검색해봤는데...영상 퀄리티가 상당한데요???

기존 중국 흥행 1위 영화들은 국뽕이 많아 보이길래 기대감 전혀 없이 봐서 그런것도 있지만
한국 OTT에 나오면 한 번 찾아볼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습니다
뭔가 쿵푸팬더 느낌이 들면서도 동양풍 판타지로 차별화되는 부분이 확실하네요

개봉 2주도 안돼서 12억달러, 1조7434억원 정도 벌어들였다고 합니다
중국에서 1등을 먹으면 저 정도 버는거군요;; 어마어마하네요
중국 게임 오공 흥행에 이어서 자국 애니까지 흥행하니 흥미롭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2/11 15:56
수정 아이콘
1분 19초에 트러핑이 나오네요?? 크크
25/02/11 15:58
수정 아이콘
봉신연의 이야기고 너자(나타)이야기라네요.
ArchiSHIN35
25/02/11 15:59
수정 아이콘
주인공이 손오공의 천적 나타인가요? 마지막에 나타난 캐릭터가 나타같은데
pnqkxlzks
25/02/11 16:48
수정 아이콘
저도 사전 정보 전혀 없이 유튜브 찾아본거 잘 모르겠어요;;
다른분들 댓글도 그렇고, 다시 좀 찾아보니 나타가 맞는 거 같습니다!
덴드로븀
25/02/11 16:02
수정 아이콘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5021101032912069001
[미국 비판 애니 ‘너자2’, 중국 영화 역대흥행 1위] 2025-02-11

작품 속 천상에 있는 옥허궁 = 백색으로 표현돼 미국 백악관을 연상
8각형으로 구성된 옥허궁의 외형 = 미국 국방부인 펜타곤과 유사
시험에 통과한 너자에게 주는 녹색 카드 = 미국을 상징하는 흰머리수리 그림 (미국 영주권자에게 부여하는 ‘그린 카드’ 연상)
무량선옹이 너자 일행을 제압하는 무기 ‘천원정’에는 달러 기호가 새겨져있음

흠........
제발존중좀
25/02/11 16:23
수정 아이콘
뭐 중국 비하 하실 의도로 다신 댓글인건 알겠는데,
헐리우드가 자국뽕,미국주의세계관,타국가에대한편견&왜곡이 더 심하면 심했죠.
덴드로븀
25/02/11 16:24
수정 아이콘
비하가 아니라 상당히 노골적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흥행의 가장 큰 이유일수도 있는걸테구요.
제발존중좀
25/02/11 16:25
수정 아이콘
헐리우드가 그것에 대해 자유롭나요?
뭐 사실 헐리우드까지 안가도 대한민국에서도 흔한건데요.
제발존중좀
25/02/11 16:29
수정 아이콘
노골적인 걸 인정하더라도 그냥 대놓고 티내는 수준이거고. 문제는 헐리우드는 훨씬 오랫동안 훨씬 세련되고 교묘하게 자국뽕이랑 미국 중심 세계관을 전 세계 사람들한테 무의식적으로 주입해왔죠. 수십 년 동안 쌓아온 할리우드의 문화적 제국주의에 비하면, 너자2의 저 정도 노골적인 표현은 그냥 애들 장난 수준이죠. 오히려 저렇게 대놓고 티내는 것보다, 은근히 세뇌하는 게 훨씬 더 심각한 문제죠 중국 영화계가 저런 노골적인 방식을 쓰는 건 어쩌면 아직 세련되지 못해서인거고요. 하지만 헐리우드는 수십 년 동안 갈고 닦아온 노하우로 훨씬 심각한 수준의 자국 중심주의를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25/02/11 16:47
수정 아이콘
문제가 되는 표현이 있다면 둘 다 걸러가며 보면 되는거지 니가 먼저 그랬느니 니가 더 심하다느니, 펄쩍 뛰면서 우열을 가릴 필요가 있을까요
제발존중좀
25/02/11 17:15
수정 아이콘
펄쩍뛴적은 없구요. 다른때는 가만 있다가 중국이 뭐 했다는 소리만 나오면 헐레벌떡 비난댓글 달리는게 PGR21에서 자주 보이는 행태라서요.
25/02/11 17:30
수정 아이콘
중국 영화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게시글인데 인도나 일본 얘기를 할 수는 없잖아요.
제발존중좀
25/02/11 17:34
수정 아이콘
다른 나라 댓글에서는 그런 주제에 관한 언급이 없는데 중국일때만 그런 주제에 대해 언급한다는 말이죠.
뭔소린지 모르고 따지시는건 아니실거같고, 그냥 볼일보세요.
25/02/11 17:43
수정 아이콘
맥락없이 특정 국가, 문화를 까는 글이 있으면 해당 글에서 문제 제기를 하면 되는 거지, 토픽에 오른 영화에 대해 이러이러한 한계가 있다는 의견/기사에 까지 재갈을 물리려 들면 오히려 그 저의를 의심 받을지도요.
PC도 자리를 봐가며 부려야...
제발존중좀
25/02/11 17:49
수정 아이콘
BTS 님// 네 ^^ 좋은 가르침 감사합니다~
25/02/12 14:00
수정 아이콘
뭐 전세계적으로 찬양받는 마블시리즈 같은 곳에서도 아주 진하게 나타나긴하죠. 거기에 반감 갖는 사람도 거의 없는 걸 보면 이미 목적 달성은 진즉 완료했다고 봐야
25/02/11 23:37
수정 아이콘
그런 작픔가서 따지면 되죠.
프로파간다적인걸 의심하는데, 중국을 비하했다는건 확대해석이구요.
제발존중좀
25/02/12 12:51
수정 아이콘
작품 따지는게 아니라, 의견에 따지는거라서 그런 의견에 가서 따진겁니다. ^^
25/02/12 13:03
수정 아이콘
따지는게 이치에 맞지 않아 보여서요.
중국 비하한다고 하셨는데, 작품내에 노골적인 프로파간다를 지적한 내용이라 맞지 않고,
딱히 중국을 비하한 내용도 없죠.
헐리우드 비판은 전형적인 피장파장의 오류구요.
제발존중좀
25/02/12 13:08
수정 아이콘
네~ ^^ 알겠습니다~
25/02/11 23: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문화일보는 제도권 언론 중에서도 가장 극단적으로 치우친 미디어라는 점은 걸러볼 필요가 있습니다. 흔히들 조중동 조중동 하면서 까지만, 문화일보는 조중동이 따위로 보일 수준의 극단적인 논조를 자랑하죠.
덴드로븀
25/02/11 16:05
수정 아이콘
https://www.ajunews.com/view/20250207173147483
["미중 패권전쟁 그렸다" 中 인민 애니메이션 '너자2' 인기비결] 2025-02-08
"中 인민의 애니메이션'···소프트파워 굴기
천상계(미국)에 맞서는 너자(중국)
주가 50%↑···'중국판 마블' 꿈꾸는 광선미디어

너자2 영화 제작 기간 : 5년
4000명 이상의 인력 동원
특수효과 장면만 1900개
제작에 138개 애니메이션 회사 참여 : 외국회사 0개
efilefilefil
25/02/11 16:05
수정 아이콘
태공망이랑 달기도 나오나요
안군시대
25/02/11 16:08
수정 아이콘
중국도 그동안 외주 등으로 쌓아온 노하우가 어마어마하니까요. 스토리와 연출만 갖춰지면 수작이 나올만 하죠.
25/02/11 16:08
수정 아이콘
진짜 너자네
25/02/11 16:09
수정 아이콘
너자가 나타군요
봉신연의라면 재미 있긴하겠네요
세츠나
25/02/11 16:25
수정 아이콘
읭...그래픽은 최근 영화 치고는 대단히 인상적인 느낌은 아닌데요...오히려 스토리에 뭐가 있나? 싶은데
날개를주세요
25/02/11 16:32
수정 아이콘
저런 중국식 판타지 영화나 애니메이션이 화려하긴한데
뭔가 탁 드는 그 쌈마이한 지점때문에 거부감이 들어요
불교와 서양 판타지를 섞은듯한 이상한 의상이나 몬스터
너무 깔끔해서 되려 인위적으로 보이는 그래픽들이 주는 짜침이 참 극복하기 어렵네요
25/02/11 16:38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기술도 있고
정부에서 마음만 먹으면 투자도 무한대에 가까우니
훌륭한 작품이 나올 기반은 충분히 있다고 봅니다.
문화적으로도 충분히 강국이 될 수 있겠죠
근데 너자1도 흥행이 됐으려나요 보려면 1부터 봐야될 것 같은데...
25/02/11 16:53
수정 아이콘
25/02/11 17:42
수정 아이콘
아마 중국 박스오피스 역대 4위가 나타1편일껍니다.
디오자네
25/02/11 16:51
수정 아이콘
'나타지마동강세' 라고 검색하면 많은 글을 볼 수 있어요, 지금 중국에서 개봉하는 건 후속편 '나타지마동요해'인데 전작의 인기를 업고 만들어진 작품이죠, 국내에서는 왓챠에서 공개된적이 있다는데 지금은 저작권 만료료 볼 수가 없다네요, 저 역시 중국 애니라고 무시했는데 영화팬들 사이에서는 꽤 유명한 작품이더군요
pnqkxlzks
25/02/11 16:55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혹시 2편이 국내 OTT 나오면 볼 것 같아요
25/02/11 16:57
수정 아이콘
너자 1편 개봉당시 중국 극장에서 봤었는데 내용 시사점이나 영화적 완성도 정말 좋았네요. 어떤 본성이나 꼬리표를 달고 태어나도 자신의 강한 의지로 극복하고 주위의 인정도 받을 수 있다 그런 내용이었죠.
빼사스
25/02/11 17:02
수정 아이콘
진짜 머릿수로 모든 게 다 해결되는 시장이란 무시무시하군요
타츠야
25/02/11 17:13
수정 아이콘
그래서 요새 다른 나라들이 주목하는게 인도죠. 인도도 정부 입김이 세긴 하지만 그래도 중국보다는 덜 하니.
현대차 그룹도 그래서 인도에 투자 중이고.
25/02/11 17:07
수정 아이콘
나타가 보패인간이던가?? 너무 오래되서 가물가물 하네요.
아라온
25/02/11 17:07
수정 아이콘
 ‘봉신연의 : 영웅의 귀환’이 후속작이 없어서 넘 아쉬운데, 이건 시리즈가 풍족하게 있길
눈물고기
25/02/11 17:13
수정 아이콘
미국 애니메이션 기술에 일본 애니 감성 넣은 느낌...
25/02/11 17:14
수정 아이콘
요즘 중국 애니메이션들이 자본금이 받쳐주고, 그동안 흡수해온 기술력이 되니 인식과는 다르게 때깔은 정말 최고급입니다.

그걸 다른 나라에서는 절대 납득 못할 스토리랑 특유의 C언어가 다 갉아먹어서 문제지
시린비
25/02/11 17:42
수정 아이콘
중국 이야기 나오면 반발부터 나온다는 의견도 있지만
주제를 모르고 모든면에서 우월한 중국 깔본다는 의견들도 늘 수두룩하게 나오는데
괜히 그런거 담아뒀다가 터트릴 필요는 없겠죠
25/02/11 17:49
수정 아이콘
나타2 현재 예측치가 140억 위안(19억달러) 라네요.
기존 박스오피스 1위였던 장진호는 55억위안 (7~8억달러) 정도일꺼예요. 기존 1등의 2배를 넘어 3배를 찍을 수도 있다고 예측되서 난리죠.
우리로 치면 역대 1500만이 1등이였는데 갑자기 4500만이 찍히는 느낌...
25/02/12 16:44
수정 아이콘
중국내수만으로 140억위안이면 미국내수로 10억불도 안되는 스타워즈 깨포의 2배네요
ekejrhw34
25/02/11 17:52
수정 아이콘
퀄리티가 상당하네요
골드쉽
25/02/11 18:55
수정 아이콘
나타지마동강세 1편 진짜 재밌게 봤습니다
어렸을때 봉신방을 좋아하기도 했었구요 흐흐
25/02/11 20:14
수정 아이콘
너자1편 영화관에서 봤는데 상당히 잘 만든 애니였습니다.
25/02/11 22:24
수정 아이콘
비행기에서 우연히 너자1편을 아무생각없이 봤는데, 퀄리티가 괜찮았습니다. 퇴마록아, 해줘!
아니아니
25/02/12 07:27
수정 아이콘
이거 1편 최근 몇 년 동안 본 애니 중에서 최고였어요. 퀄리티만 좋을거라 생각했는데 스토리와 캐릭터, 연출까지 완벽해서 깜짝 놀랐습니다.
너T야?
25/02/12 08:53
수정 아이콘
타국 비하나 문화 스틸 같은 것만 아니면 자국 뽕 들어가는 건 좋은 현상 아닐까 싶습니다.
그 닉네임
25/02/12 11:05
수정 아이콘
너자가 뭔영화지? 라고 생각했는데 나타지마동강세 후속작이었군요. 영화덕후들 사이에선 꽤나 유명한 영화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7121 [연예] [르세라핌] 'I'M BURNING HOT' (미니 5집으로 3월 14일 컴백) [15] Davi4ever2077 25/02/17 2077 0
87120 [연예] 한 기자의 김새론님 보도 과정.jpg [36] 굿럭감사9161 25/02/17 9161 0
87117 [연예] 스타쉽 신인 5인조 걸그룹 키키(KiiiKiii) 선공개곡 'I DO ME' M/V + 추가 정보 [29] Davi4ever2657 25/02/17 2657 0
87116 [연예] [아이브] 어제 인기가요 1위 (+앵콜 직캠) / 그냥 장원영 인스타 사진 [2] Davi4ever1085 25/02/17 1085 0
87115 [연예] 스타쉽 KiiiKiii 키키 'I DO ME' MV [4] moodoori2459 25/02/17 2459 0
87114 [연예] 배우 김새론, 16일 사망 발견…지인, 오후 4시 50분 신고 [287] Davi4ever23099 25/02/16 23099 0
87111 [연예] 야인시대. 2.24 넷플릭스 공개 [30] SAS Tony Parker 5923 25/02/16 5923 0
87109 [연예] 2ne1 박봄 "이민호, 내남편 맞는데 회사가 막아" [33] 홈스위트홈11011 25/02/16 11011 0
87108 [연예] [아이들] 민니 본명(니차 욘따라락)을 쉽게 외우는 방법(feat.꼰대희) [6] VictoryFood3001 25/02/16 3001 0
87107 [연예] [아이브] 원테이크로 촬영한 어제 음악중심 무대 / 그래서 직캠이... [4] Davi4ever2837 25/02/16 2837 0
87106 [연예] 배용준, 연세의료원에 30억원 기부 “건강한 세상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길” [28] SAS Tony Parker 5723 25/02/16 5723 0
87101 [연예] [미키 17] 로튼 토마토 지수 [2] a-ha4211 25/02/16 4211 0
87099 [연예] 김현주 20대 초반 시절 영상 [16] 그10번7791 25/02/15 7791 0
87097 [연예] 결혼식축가로 자주쓰이는 뮤지컬 넘버 [18] 비타에듀6840 25/02/15 6840 0
87095 [연예] 주관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한국 드라마 다섯 작품 입니다. [103] 대단하다대단해7118 25/02/15 7118 0
87089 [연예] [아이브] 자신과의 싸움을 치렀던 하루 (+앵콜 직캠) / 장원영 우리은행 광고 [1] Davi4ever4010 25/02/14 4010 0
87085 [연예] 메이딘 싱글 1집 타이틀곡 "사랑, 두려움" M/V [7] Davi4ever3460 25/02/14 3460 0
87083 [연예] [블랙핑크] 지수 미니 2집 타이틀곡 'earthquake' M/V [9] Davi4ever3098 25/02/14 3098 0
87082 [연예] [아이유] 어제 공개된 푸라닭 & 뉴발란스 광고 [8] Davi4ever4225 25/02/14 4225 0
87081 [연예] [에스파] 카리나 파스쿠찌 광고 / 티라미수 케잌 / 글램핑 브이로그 [5] Davi4ever2849 25/02/14 2849 0
87077 [연예] 프로미스나인 이채영 셀프 메이크업 너무 이쁘네요 [8] 여자아이돌3347 25/02/14 3347 0
87075 [연예] 봉준호 감독의 <미키17> 프리미어 시사 첫반응 [32] 빼사스6297 25/02/14 6297 0
87073 [연예] [아이브] 'ATTITUDE'로 첫 1위 / 엠카 앵콜 직캠 Davi4ever2518 25/02/13 251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