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10/28 20:37:17
Name 마르키아르
Subject [질문] 볼4개를 안던지고, 고의사구를 하는 이유는...

1루가 비어있거나, 병살을 잡을수 있는  상황에 고의사구는 그럴수 있지만..

주자가 없는 상황에서 고의사구 할빠에는..

볼4개를 던져서, 그중에 볼을 건드려서 아웃되거나, 삼진이 될 확률을 조금이라도 기대해 보는게 좋지 않나요? ^^;;

아무리 잘치는 타자더라도...

고의사구보다는

볼4개를 던져보는게 더 좋은게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던데,

고의사구를 던지는 이유가 있을까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혜리
25/10/28 20:43
수정 아이콘
베리본즈도 아니고 주자가 없는 상황에서 고의사구를 하나요...?
대단하다대단해
25/10/28 20:45
수정 아이콘
오늘 오타니가...크크
25/10/28 20:57
수정 아이콘
월드시리즈에서 오타니한테 주자없는 고의사구 나왔죠... 
25/10/29 08:34
수정 아이콘
오히려 1루가 비었을때 고의사구가 많이 나오지 않나요?
장타를 피하고 463이든 643이든 병살유도겸
그런 장면을 많이 본 것 같아요
싸구려신사
25/10/28 20:45
수정 아이콘
의미없다는걸 알죠. 오늘 오타니 마지막 타석이 딱 그랬는데 볼 네개 보고 골라나갔습니다.
25/10/28 20: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타자를 유인하려면 정성껏 스트라이크 같은 볼을 던져야 하는데 삐끗 치기 좋게 들어가서 장타 터지면 본전도 못 건집니다.
어차피 대놓고 볼 같은 볼을 던질 거 어깨라도 아끼자는 거죠.
25/10/28 20:45
수정 아이콘
고의사구는 보통 1루가 비어있을때 포스아웃을 위해 채우는용 + 상대 타자가 빡셀때
주자없으면 고의사구할일없죠
요즘엔 공안더지고 보내니까 시간절약차원에서하는거고
투수입장에서는 굳이 공더던져서 어깨 체력 정신력 소모할이유가없죠
제구안되서 스트라이크던져서 쳐맞으면 문제고
야구보면 포수가 완전빠져도 투수들이 스트라이크던지는경우 꽤있습니다
25/10/28 20:46
수정 아이콘
뭐 애초에 주자없는상태에서는 자동고의사구는 진짜 보기 힘들긴 합니다..말씀대로 유인구 4개라도 던지기 마련이지.

근데 자동고의사구 왜함 유인구 4개라도 던져보지는 쉽게 할수있는말은 아닌게
투수의 제구력 문제로 유인구만 던지는 와중에도 실투나 폭투등 사고가 날 가능성도 있고
볼을 던진다고 타자가 안타를 못치는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진짜 택도없는공만 던지는건 공 4개 던지는 투수 팔만 아깝죠.
수리검
25/10/28 20:49
수정 아이콘
아예 빠지는 공을 4개 던지는 건 고의사구와 다를 바가 없고
유인이 될 만한 공을 던지는 건 그러다 실수하면 맞는 거죠

'칠락말락 하지만 치면 못 맞추거나 빗맞을 볼'
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제구력을 갖춘 투수라면
어지간하면 타자를 거를 필요도 없을 걸요
dolce biblioteca
25/10/28 20:49
수정 아이콘
할수 있으면 그냥 자동으로 보내는데 오늘 오타니는 자존심의 문제였죠 흐흐
25/10/28 21:40
수정 아이콘
아무리 잘치는 타자라 하더라도
이걸 뒤집어서 생각하면
아무리 제구좋은 투수라 하더라도
삐끗하면 맞죠 크크크 오타니급이면 장타니까
Winter_SkaDi
25/10/28 22:33
수정 아이콘
야구는 잘 모릅니다만.... 4개를 던져야 하는 투수의 어깨 부담을 줄이는 효과도 있지 않을까요...?
공부맨
25/10/28 23:15
수정 아이콘
어설프게 빼는 볼던지다가 실투할수도 있고

경기시간 줄이려는 사무국 입장
+ 어짜피 고의사구로 내보려는 투수/코치쪽 입장

이 합쳐져서...
25/10/28 23:30
수정 아이콘
한창 크보 열심히 보던 때, 응원하던 팀에 고의사구 던지다 실투하는 투수가 있었습니다...
퍼펙트게임
25/10/28 23:37
수정 아이콘
스트라이크존 바깥으로 던지는데 스트라이크존으로 들어가는 이혜천의 투구와 그걸 보고 황당해하는 김원섭 짤을 생각해보면 생각보다 고의사구를 던지는것도 어렵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독수리맞다니까
25/10/28 23:56
수정 아이콘
예전에 한화에 고의사구하다가 폭투 날리는 애 있었는데...
25/10/29 00:00
수정 아이콘
던져서 하는 고의사구는 언제든 실투와 폭투의 가능성이 존재하죠.
이 가능성을 차단하고, 경기시간 단축과 투수의 투구수 절약을 위해 콜하는 고의사구 제도가 도입되었구요.

그리고 애매하게 유인하는 공을 던지면서 거르라는 것에 대한 차명석 LG 단장의 명언이 있습니다.

"스트라이크 존에서 볼 1~2개 빠지는 볼을 던지고 걸려들면 다행이고 안 걸려들면 포볼로 거르라는 거죠.
근데 그게 정말 말도 안 되는 주문인 게, 그렇게 정교하게 컨트롤할 수 있으면 잡아내야죠, 왜 거릅니까?"
Pure Aero 98
25/10/29 09:39
수정 아이콘
크크크 맞는 말이네요!
다크서클팬더
25/10/29 01:50
수정 아이콘
경기시간 단축 + 투수 보호 (무의미한 투구 배제) + 볼넷 대신 몸에 맞는 볼을 던져 유발할 수 있는 벤치클리어링 차단
-> 고의사구 도입

이거 도입하기 전에는 말 많았습니다.
어찌 보면 피로 세운 규정이라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마술사
25/10/29 06:53
수정 아이콘
공 빼려다가 포수가 공 놓쳐서 대참사
어설프게 공 빼다가 가운데로 몰려서 장타맞음
투수가 의미없는 공 4개 던져서 힘빠짐
위 3개의 이유입니다
25/10/29 08:35
수정 아이콘
실투의 위험이 있죠
애매하게 빼다가 포수가 빠트리는 경우도 봤구요.
도이하치로
25/10/29 10:44
수정 아이콘
전설의 개구리번트 사건도 있죠...
25/10/29 11:51
수정 아이콘
애초에 의도가 거르는건데 거기서 굳이 변수를 만들 필요가 있나요?
25/10/29 12:24
수정 아이콘
홍상삼이라고 혹시 아시는지...
이것도 야구냐....
특별과외활동부
25/10/29 12:45
수정 아이콘
스트로 착각할 수 있을법한 볼을 4개 연달아 딱딱 던질 수 있다면 거를 이유가 없습니다 크크
IF도르
25/10/29 15:47
수정 아이콘
고의4구 하다가 후루꾸로 삼진/범타로 아웃 잡을 확률 <<< 고의4구라고 성의 없이 던지다가 놓치는 등 사고날 확률

거기에 플러스로 투수 공 몇개 더 던져서 피로 쌓임 = 정도는 다르지만 무조건 발생
25/10/29 15:58
수정 아이콘
그렇게 던질 수 있으면 스크라이크 존에 0.5cm정도 걸치게 4개 던저셔 삼진 잡는 게 더 좋지 않을까요?
25/10/29 16:16
수정 아이콘
팔도 아프고
무엇보다 경기시간 단축
몬테레이
25/11/07 15:57
수정 아이콘
고의사구는 스트라이크존에서 먼 쪽으로 공을 던져야 하는 새로운 미션을 투수와 포수에게 줍니다.
수비 팀 입장에서 1) 실투로 공이 빠져서 주자들이 추가 진루위험 2) 공이 칠 만 하게 들어가서, 안타를 맞을 위험 3)투수가 4개 이상의 공을 던져야 하고,
공격 팀 입장에서는 자칫 타자가 투수의 공에 맞을 (사구) 위험이 높아지고, 경기 운영면에서 지루한 시간이 소요됩니다.
그래서, 고의사구시 자동 진루제도를 도입하였는데,

제 개인적으로는 과거가 더 재미있었던 거 같습니다. 회피하는 공을 타자가 쳐서 안타가 되기도 하고, (김재박의 개구리 번트), 홍상삼의 무시무시한 타자 사구가 나오기도 하고, 예측을 뛰어넘는 경기가 야구의 묘미라고 생각해서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2032 [질문] 주식투자 관련 문의(ISA, 연금저축) [12] 모챠렐라1992 25/10/29 1992
182031 [질문] 차알못입니다. 전기차 자율주행관련 질문드립니다 [20] 플리퍼1834 25/10/29 1834
182030 [질문] 영어공부용 앱 추천하시는게 있을까요? [2] Karolin1422 25/10/29 1422
182029 [질문] 모비노기 왕초보 질문 [5] 망나뇽2115 25/10/28 2115
182028 [질문] 스타렉스 대리운전 [4] Cherish2543 25/10/28 2543
182027 [질문] 볼4개를 안던지고, 고의사구를 하는 이유는... [30] 마르키아르4082 25/10/28 4082
182026 [질문] 부모님댁 안방 서브 테레비 추천 부탁드립니다. [1] 플래쉬2070 25/10/28 2070
182025 [질문] 겨울철 전기 스토브 추천 부탁 드립니다. [1] 자가타이칸2096 25/10/28 2096
182024 [질문] 밥솥 줄이 벗겨졌는데 써도 될까요 [8] 똥천재1862 25/10/28 1862
182023 [질문] 유튜브에 나오는 노래인데 가사를 검색해도 곡명이 안 나오네요 [3] 앗흥1798 25/10/28 1798
182022 [질문] 차량 렌트 질문입니다. 서울역 -> 인천공항 [18] Red Key2208 25/10/28 2208
182021 [질문] 책상(테이블)용 온열매트 사용하시는 분 계실까요? [2] 먼산바라기1730 25/10/28 1730
182020 [질문] 아는 사람이 전화를 받았는데...... 이거 뭔가 당한 건가요? [6] 카페알파2938 25/10/28 2938
182019 [질문] 디아2 인터페이스 문제 [8] 보급보급1885 25/10/28 1885
182018 [질문] 신세계상품권 현금화(매입) 업체 [9] 훈남아닌흔남2369 25/10/28 2369
182017 [질문] 왜 양자역학은 입자와 파동으로 설명하는 걸까요? [29] VictoryFood2895 25/10/28 2895
182016 [질문] 짠 게 땡길 때 뭘 드시나요? [20] 깃털달린뱀2744 25/10/27 2744
182015 [질문] 주담대가 안되는 경우도 있나요? [5] 개좋은빛살구2836 25/10/27 2836
182014 [질문] 도란 선수랑 프랑데르 선수 질문입니다 [6] nekorean2268 25/10/27 2268
182013 [질문] 조립pc 최종 견적인데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2] rnswkrkfk1918 25/10/27 1918
182012 [질문] 적금 느낌으로 주식 모으기 중인데 피드백좀 해주세요! [16] 골드쉽3171 25/10/27 3171
182011 [질문] 리눅스 지원하는 USB 무선 랜카드 추천할만 한 것 있는가요? [4] 씨드레곤1600 25/10/27 1600
182010 [질문] 90년대 서울지하철 동선 [29] ELESIS2952 25/10/27 295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