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9/30 20:16:54
Name 보로미어
Subject [질문] 보조모니터를 켜면 본체 모니터가 꺼졌다가 커집니다.
안녕하세요.

컴퓨터 모니터 때문에 궁금한 점이 있어서 글 올립니다.

제가 최근에 보조 모니터를 바꿨는데요, 이런 증상은 처음인데  컴퓨터 부팅하면 본체 모니터만 켭니다.

그러다가 필요하면 보조모니터를 켜는데, 이때 본체 모니터가 한번 꺼졌다가 보조모니터랑 같이 켜집니다. 반복해서 해보면

또 마찬가집니다. 처음엔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다가 이게 은근히 거슬리더라구요.

이유도 알고 싶어서 인터넷으로 좀 검색해봤는데 만족할 만한 답변을 찾지 못해서 피식인 분들께 여쭤봅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9/30 20:35
수정 아이콘
순간적으로 파워딸리는 것 같은데요.
저는 원룸있을 때 냉장고 돌아갈 때마다 보조모니터가 잠깐 꺼지더라구요.
보로미어
25/09/30 21:15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파워 한번 확인해보겠습니다.
제주산정어리
25/09/30 20:43
수정 아이콘
바꾸기 전에는 둘 다 HDMI로 입력했었으나, 변경 후 주 모니터는 HDMI, 나머지는 DP로 연결하지 않았나요? 그렇다면 그런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보로미어
25/09/30 21:14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주모니터는 DP로 연결하고 있고, 보조모니터는 HDMI입니다. 그러면 해당이 안 될까요?
제주산정어리
25/09/30 22:02
수정 아이콘
그 때는 보통 보조 모니터를 먼저 켜면 그런 증상이 있는데, 항상 주 모니터를 우선으로 켰다고 증언하셨으니 애매합니다. 다만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혹시 모르니 주 모니터도 HDMI로 연결하여 해당 증상이 발현하는지 확인해보시고, 그래도 이상이 생긴다면 그 때부터는 보조 모니터의 주사율을 주 모니터에 일치시키거나, 그래픽 드라이버를 초기화 하거나, 보조 모니터의 OSD가 제공하는 메뉴를 눌러서 다른 특이사항이 없는지 등등 다각도로 검토해야 합니다. 물론 다른 분들이 말씀하신 것처럼 멀티탭의 용량이 부족한 상황일 수도 있습니다.
보로미어
25/09/30 22:52
수정 아이콘
조언 감사합니다. HDMI 선 하나 더 찾아서 주모니터에도 HDMI로 다음에 한번 연결해보겠습니다. 주사율은 주모니터는 74.59를 쓰고 있고, 보조모니터는 다양한데 75.xx 근사치 값이 하나 있어서 해봤는데 효과는 없었습니다.
짭뇨띠
25/09/30 21:39
수정 아이콘
같은 콘센트 쓰면 그런경우가 있습니다.
저도 자주 겪어서 그냥 모니터 전원은 따로 써요.
보로미어
25/09/30 22:54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콘센트 찾아보니 주모니터는 연장선이 있는 어댑터에 꽂았고, 보조모니터는 다행히 콘센트에 바로 꽂았습니다. 유지해야겠네요.
Lord Be Goja
25/09/30 22:44
수정 아이콘
그거 윈도우 8부터 모니터 DP인지 HDMI인지 신호 입력되는 방식이 바뀌어서 그럴겁니다
그래서 하나 전원끄면 다른 모니터랑 프라이머리 바꾼다고 꺼졌다가 켜지는거고
바탕화면 아이콘 뒤섞이고 그럴걸요?
보로미어
25/09/30 22:56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말씀 듣고 저도 궁금해서 주모니터, 보조모니터 다 켠 상태에서 번갈아가면서 껏다 켰다 해봤는데 바탕화면 아이콘이 섞이거나 뒤죽박죽이 되진 않았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1870 [질문] 컴퓨터 견적 (게이밍용은 아님) 볼 때 질문 있습니다 [4] 맛있는사이다2490 25/10/09 2490
181868 [질문] 모발겜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두드리짱3451 25/10/09 3451
181867 [질문] 3박 4일 일본여행 지역 추천해주세요!! [21] 어텀2684 25/10/09 2684
181866 [질문] 전등 스위치 교체 관련 질문드립니다 [2] 2시퇴근2045 25/10/09 2045
181865 [질문] 웹소설 (삼국지 대역물 외)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수리검2254 25/10/09 2254
181864 [질문] 스펠포스3 아시나요? 스토리 질문드립니다. 까만고양이2048 25/10/09 2048
181863 [질문] 집에서 샤브샤브 하기 쉽나요? [17] 깃털달린뱀2712 25/10/08 2712
181862 [질문] 라프텔 애니OTT 잘 아시는 분 계실까요? [3] Rei2039 25/10/08 2039
181859 [질문] 페이팔 질문 좀 있습니다.. [1] 지수2813 25/10/08 2813
181858 [질문] 부산 첫 여행으로 중구와 영도 어떤가요? [34] 픽킹하리스6966 25/10/07 6966
181857 [질문] 겨울 러닝템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부처6102 25/10/06 6102
181856 [질문] 2017년형 아이맥을 얻었는데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2] 안군시대6160 25/10/06 6160
181855 [질문] 이 컴퓨터 포맷 후 사용가능할까요? [11] 카드영수증7781 25/10/06 7781
181854 [질문] 런닝용품 추천해주세요 [7] 드문6159 25/10/05 6159
181853 [질문] 세액공제 관련 질문입니다. [2] Enigma3608 25/10/05 3608
181852 [질문] 카페 음료 밑바닥이 단 이유 [9] 스핔스핔4133 25/10/05 4133
181851 [질문] 경제/재테크 관련 유튜브,카페,블로그 등 추천 부탁드려요 [7] 잉차잉차2862 25/10/05 2862
181850 [질문] 무대 촬영용 핸드폰 질문입니다. [3] seotaiji1408 25/10/05 1408
181849 [질문] 스타크래프트1 테프전 아주 초보 질문 있습니다. [4] 라리1692 25/10/05 1692
181848 [질문] 요새 폴더폰 쓰려면 복잡한가요? [7] 꽁치찌개2253 25/10/05 2253
181847 [질문] 스팀 게임 업데이트 관련 질문 김경호1355 25/10/05 1355
181846 [질문] 컴린이 주식용 컴퓨터 질문드립니다! [11] 행복을 찾아서2010 25/10/05 2010
181845 [질문] 여수 이순신광장 근처 아기랑 가기 좋은 음식점 Xeri3014 25/10/05 30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