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9/06 14:46:22
Name 초콜릿
Subject [질문] 베란다 샷시 창틀로도 물이 샐 수 있나요?
아파트 밑의 집에서 누수가 의심된다고 숨고 업자 분이랑 같이 찾아왔는데요,
(이미 여러 번 누수 의심으로 밑의 집에서 업자랑 찾아와서 외벽 코킹도 보고 에어컨 실외기 구멍도 시멘트로 막은 상태입니다.)

그러더니 베란다 샷시 창틀 레일 쪽에 물을 가득 붓더니 (물 나가는 구멍은 방수 테이프를 붙였음)
폭우가 오는 날에는 샷시에 물 나가는 구멍이 있어도 역할을 다 못할 수 있다고 이야기를 하면서,

베란다 샷시 창틀 레일에 물을 채워서 여기에서 원인 모를 누수가 있다면 밑의 집에 누수가 생기는 것이다라는 이야기를 했는데요.

한 1시간 쯤 후에 밑의 집 천장에서 물방울 한 두 방울 떨어지는 게 보여서,
베란다 샷시 창틀 레일에서 무언가 물이 샌 것 아니냐는 주장을 하셨는데요.

정말 그럴 수가 있나요? 샷시 창틀 레일이라는 게 금속이랑 플라스틱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샷시는 대기업 H사 제품입니다.)

당연히 누수가 있다면 윗집이 수리를 하는 건 맞는데,

(1) 업자 분께서 "이 기술은 대한민국에서 자기만 알고 있고 다른 업자들은 모르는 기술이다." 라고 몇 번을 강조하신 점이,
오히려 사짜 느낌이 나서 솔직히 의심스러웠고요. 어떻게든 누수를 주장해서 공사비를 받겠다는 느낌?

(2) 저희가 사는 동네에 어젯밤이랑 오늘 오전까지 비가 많이 왔습니다. (서울 영등포구)
오전까지 내린 비가 외벽에 준 영향도 배제하기 어렵지 않나 하는 생각도 있는데... 아파트 층간 간격이 15cm은 될테고,
설령 베란다 샷시 창틀 레일에 물을 채워서 물이 샌다고 치더라도 1시간 사이에 물이 아랫집에 샌다는 게 과연 그런가 싶어서요.
(물론 비가 많이 와서 베란다 샷시에 물이 찬 것 같은 효과가 난다고 이야기할 수도 있겠지만)

인테리어나 누수공사에 혹시 고견 있으신 분 계실까 해서 글 올려 봅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항정살
25/09/06 14:50
수정 아이콘
보통은 창틀 코킹아닌가요?
초콜릿
25/09/06 14:51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요, 코킹도 다 되어 있고(저희 집은 풀 인테리어를 새로 한 지 3년밖에 안되었습니다. 샷시도 새로 다 갈았고요.)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도 외벽 코킹도 검사를 했습니다.
슬래쉬
25/09/06 14:51
수정 아이콘
"이 기술은 대한민국에서 자기만 알고 있고 다른 업자들은 모르는 기술이다."
흠........... 크크크크
25/09/07 14:23
수정 아이콘
뭘 얼마나 해먹을려고 되도 안한 멘트를..
텔레토비
25/09/07 17:55
수정 아이콘
결국 업자가 주장하는 내용은 빗물로 인한 누수가 그 책임이 외벽의 노후화가 아니라 윗집의 샤시라는 말을 하고 싶은 모양인데 어차피 공사하고도 비가 새면 자기가 책임을 안지니까 그냥 막 말하는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텔레토비
25/09/07 18:01
수정 아이콘
설령 샤시 뜯어내고 새로 교체한다고 쳐도 또 비가 새면 그때는 샤시를 교체하면서 외벽에 뭔가 건든거(?) 아니냐 혹은 저번 때보다 누수가 더 심해졌다 등등 별별 말이 있을 수 있으니 그 원인이 샤시라는 확실한 증거가 없는 이상 책임소재를 따지기는 어려운 내용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1649 [질문] 현관문 자동으로 닫히는 기능이 고장났습니다. [4] 다이어트3582 25/09/10 3582
181648 [질문] 중국어 번역용 AI 질문입니다 [8] Kusi3005 25/09/10 3005
181647 [질문] 야구장 가는 법에 대해서 야구장 초보가 질문드립니다! [14] 성북구강챙이2163 25/09/10 2163
181646 [질문] 36개월 아기는 보통 몇시간이나 수면하나요? [20] 윈터2759 25/09/10 2759
181645 [질문] 70-80년대 한국영화는 진짜 애마부인류가 전부인가요? [16] 헤나투2785 25/09/10 2785
181644 [질문] 투자 공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15] 로피탈2212 25/09/10 2212
181643 [질문] 가을에 남해 여행 어떨까요?? [12] 원스3111 25/09/09 3111
181642 [질문] 야구 잘 모르는 야린이 질문드립니다. [15] 오늘보다 나은 내일3178 25/09/09 3178
181641 [질문] 이미지 외부 링크 관련, 사이트 추천부탁드립니다. [8] 엔쏘3208 25/09/09 3208
181640 [질문] 아이에게 시켜줄만한 pc게임은 뭐가 있을까요..? [65] Restar4560 25/09/09 4560
181639 [질문] 남성용 저자극 스킨,로션 추천 받을수 있을까요 [12] Sebastian Vettel3564 25/09/09 3564
181638 [질문] 아이패드 기변병 문의 [14] 가니야2372 25/09/09 2372
181637 [질문] 미니벨로 어떤가요? [7] 김소현2153 25/09/09 2153
181636 [질문] 갤럭시 버즈 노캔 관련 as 받아보신 분 있나요 Droppen1314 25/09/09 1314
181635 [질문] 4k 동영상을 1시간 이상 연속촬영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10] 개념은?2014 25/09/09 2014
181634 [질문] 퇴직금 정산 문의 [6] 수타군1903 25/09/09 1903
181633 [질문] 가수 후지이카제의 위상은? [3] 오하이오2312 25/09/09 2312
181632 [질문] 와인 담을 기내용 케리어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7] 까만고양이2657 25/09/08 2657
181631 [질문] 오피스텔 인터넷 회선 문제에 대한 조치 질문입니다. [7] Keepmining2252 25/09/08 2252
181630 [질문] (재질문)FHD 환경의 게임용 PC 견적 괜찮을지 여쭤보려 합니다 [7] 태양의맛썬칩3250 25/09/08 3250
181629 [질문] 인터넷 쇼핑몰에서 파는 윈도우 FPP리테일 제품 사도 문제 없을까요? [3] 욱쓰3364 25/09/08 3364
181628 [질문] 혹시 베르만 캐리어 써보신 분 계실까요? [4] 김유라2546 25/09/08 2546
181627 [질문] 와이프가 여행을 안내켜 하면 그냥 가지말까요? [16] Alfine3446 25/09/08 344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