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2/05 23:00:14
Name 깃털달린뱀
File #1 20190505_210105.jpg (972.7 KB), Download : 990
Subject [질문] 유럽 마요네즈는 한국과 다른가요? 한국에서 구할 수 있을까요?



옛날에 스페인 세비야에서 먹었던 튀김에 딸려 나온 마요네즈인데 이게 겁나 맛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한국 마요네즈랑 전혀 다른 느낌이었습니다. 질감도 꾸덕하고 맛 자체도 좀 더 진한 느낌? 한국은 부드럽고 살짝 단 느낌이고. 원래 (한국식) 마요네즈를 썩 좋아하는 편은 아닌데 저때 먹은 마요네즈는 정말 입에 맞더라고요.

문득 이 맛을 다시 느끼고싶은데 문제는 이게 거의 6, 7년 전이라 제 기억에 확신이 없다는 겁니다. 사실 저걸 당연하게 마요네즈라고 생각했는네 마요네즈인지조차 확실한 건 아닙니다...

암튼 유럽 마요네즈는 제 기억대로 한국과 전혀 다른 느낌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이런 유럽식 마요네즈는 한국에서는 어디서 구할 수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2/05 23:28
수정 아이콘
유럽쪽 마요네즈 뭔가 다른건 맞을겁니다. 저는 한국에서 감자튀김에 마요네즈를 찍어먹는 다는 생각을 못했는데 유럽 버거킹이었나? 감자튀김용 마요네즈가 있길래 찍어 먹어봤는데 정말 맛있더군요. 네덜란드에서 후렌치후라이 샀을때도 마요네즈 줬는데 맛있엇고.. 그 맛 생각나서 한국 돌아와서 한국 마요네즈 썼더니 너무 맛이 다르더군요.
無欲則剛
25/02/05 23:47
수정 아이콘
마요네즈는 원래 계란 노른자와 올리브오일 그리고 레몬주스를 섞어서 만든거죠.
거기서부터 여러가지 변형이 생기고 일반적으로 한국 일본 같은데서 먹는 마요네즈는 올리브오일이 아닌 일반 식용유에 계란 사탕 식초 다른 조미료들을 넣어서 만든거라 유럽과는 맛이 다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25/02/06 00:28
수정 아이콘
마요네즈는 맞을 겁니다.
처음에 유통기간을 늘리기 위해 신맛을 많이 가미했던 게 굳어졌다고 해요.
요즘에는 수요가 있으니 여러 브랜드에서 나오는 '고소한' 마요네즈를 구매하시면 비슷하실 겁니다.
타츠야
25/02/06 00:44
수정 아이콘
유럽은 마요네즈를 미국처럼 여기저기 많이 써서 종류가 한국보다 다양하긴 할 겁니다.
한국에 외국 식료품 파는데 좀 생긴 걸로 아는데 거기 있지 않을까요?
인센스
25/02/06 03:01
수정 아이콘
만드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으니, 한번 만들어보시고 찾으시는 게 맞는지 확인해보시는 게 어떨까요?

아니면 해외배송으로 마요네즈 제품을 구매하는 것도 방법이겠습니다.
회색사과
25/02/06 03:26
수정 아이콘
일본만 가도 마요네즈 맛이 달라요 크크 (마트에 큐피드 마요 있습니다) 

한국이 고소함에 포커싱되어 있다면 일본은 조금 새콤하구요. 

유럽 마요를 많이먹어본게 아니라 “거긴 어떻죠.”하지는 못하지만 다를 것 같습니다. 

거품기정도 있으면 집에서 만들어 보시는 방법도 있을 것 같네요
율리우스 카이사르
25/02/06 10:23
수정 아이콘
윗분께서 쓰셨는데..

집에서 대충 유투브 보시고 , 레몬원액/계란 노른자/올리브유/소금 적당히 넣고 쉐킷쉐킷 해서 수제 마요네즈 만들어 먹어보세요.. 맛나더라고요 !! .. (후추도 넣으세요!)

아무래도 파는 마요네즈는 산화제인가 뭔가랑 .. 그런 식품첨가물들이 많아서 맛이 다른거 같아요!
체리과즙상나연찡
25/02/06 12:39
수정 아이콘
트러플마요네즈 맛있습니다
네덜란드 장바통꺼 추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710 [질문] 외부에서 온라인으로 컴퓨터 켜기!? [8] Part.35026 25/02/13 5026
179709 [질문] 노트북 공동구매한다는데, 아무리 봐도 구려보여서 그냥 따로 살까 하는데 어떨까요? [3] 에어컨4769 25/02/13 4769
179708 [질문] 주1일에 100, 주일에 200... 주7일에 700... [35] 윌슨 블레이드5262 25/02/13 5262
179707 [질문] [금융] 예금보다는 단기채권인가요? [2] 거북왕4472 25/02/13 4472
179706 [질문] 데스크톱 이륙 질문입니다. [12] 윤지호4309 25/02/13 4309
179705 [질문] 도수 있는 보안경 추천 부탁드립니다 :) Broccoli3559 25/02/13 3559
179704 [질문] 약 1100만원정도 개인간 계좌이체시 세금납부나 문제될 여지가 있을까요? (차량거래) [15] 걱정말아요그대5821 25/02/13 5821
179703 [질문] 아파트 전세 보증보험 가입해야 할까요 말아야 할까요 [5] 홈스위트홈6334 25/02/13 6334
179702 [질문] 이자소득 종합소득세 관련 문의 [2] Right5796 25/02/12 5796
179701 [질문] 이런 경우 돈을 얼마씩 나눠야할까요? [13] INTJ5086 25/02/12 5086
179700 [질문] 공유오피스 사업을 하려고 합니다. [6] 똥꼬쪼으기4799 25/02/12 4799
179699 [질문] 주식,투자관련)지표 중 어느 것을 우선순위로 생각하시나요? [4] 수금지화목토천해3734 25/02/12 3734
179697 [질문] 첫차 구매 관련 질문입니다 [10] 친절겸손미소3683 25/02/12 3683
179696 [질문] GD 콘서트 팬클럽 선예매 질문 [2] No Fear3452 25/02/12 3452
179695 [질문] 피지알러가 아닌 사람이 보는 피지알은 어떤 사이튼가요? [25] 윌슨 블레이드4266 25/02/12 4266
179694 [질문] NAS 입문하려고 합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4] 고요3234 25/02/12 3234
179693 [질문] 영외마트(px) 신상 양주 추천 [7] 로켓5879 25/02/12 5879
179692 [질문] 태블릿PC 추천부탁드립니다. [7] 마사루.3654 25/02/12 3654
179691 [질문] 오사카 덴덴타운에 엘든링 굿즈 있을까요? [5] 부딪힘주의3752 25/02/12 3752
179690 [질문] 보험 관련 질문입니다. [6] 제노스브리드3349 25/02/12 3349
179689 [질문] 거실과 작은방에서 각각 와이파이 속도와 핑 지터 괜찮은지 봐주실 수 있으실까요? [6] Succession3692 25/02/12 3692
179687 [질문] 매매하려는 아파트의 발코니 확장 합법여부 관련 질문 [9] Mrs. GREEN APPLE3874 25/02/12 3874
179686 [질문] 집에 누수가 되면서 컴이 맛이 갔어요... [7] 웃어른공격3457 25/02/12 34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