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12/16 10:37:39
Name WhiteBerry
Subject [질문] 해축 좋아하시는 직장인 분들은 새벽 경기 어떻게 즐기시나요?
어제 맨더비 전반만 보고 자서 이런글 올리는건 아닙니다만 크크

40대가 꺾이려고 하는 나이이고, 다음날 출근을 생각하면 새벽경기는 거의 포기해야 하더라고요.

어제처럼 새벽 1시 정도에 시작하는 경기가 거의 마지노선이고, 새벽 4~5에 하는 챔스나 라리가는 거의 못 보는 상황이구요.


요즘은 새벽 1시 언저리 경기도 보다가 잠들기도 하고, 새벽에 일찍 일어나서 보다가도 꾸벅꾸벅 졸기도 합니다.


뭐 결국 잠과의 싸움, 다음날 컨디션 조절의 문제인데

해축 좋아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즐기시는지 의견이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예전에 어디선가 다음날 스포 안당하고 재경기 보면 된다고 하기도 하는데
맞는말 같기도 하면서도, 출근해서 짬 날때까지 스포 안당하기가 어렵더라고요.
(출근하자마자 축구 켤순 없으니... 그러다 보면 김새서 결과 봐버리구요)

하이라이트만 보자니 결과 알면서 하이라이트 보는것도 흥미가 줄거들고...



팁 같은거 있으면 전수 부탁 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12/16 10:39
수정 아이콘
저는 좀 일찍 출근해서 다시보기나 하이라이트만 챙기고 있습니다...
duck orion wkl
24/12/16 10:42
수정 아이콘
대학생때는 무지성으로 다 챙겨봤는데 이젠 하이라이트만 챙기게 되더라구요 ㅠ.ㅠ
소이밀크러버
24/12/16 10:43
수정 아이콘
저도 새벽 1시까지만 보고 잡니다. 저번에 후반전이 6시 15분에 시작하길레 일찍 일어나서 봤네요.
24/12/16 10:45
수정 아이콘
라이트팬인 저는 12시전 박싱데이/국대 급은 챙겨보고 아니면 출근길 하이라이트
선출이며 축구에 진심인 매제는 같은시간 약속잡힌거 아니면 다 보고 자더라구요.
그냥 악깡버 같습니다.. 나이들수록 힘들어지는것도 당연하고..
24/12/16 10:47
수정 아이콘
빅매치 아니면 잘 못보죠 뭐... 일반적인 경기는 하이라이트 정도만 보고 꼭 봐야겠다는건 일찍자고 새벽에 일어나서 봅니다.
FastVulture
24/12/16 10: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12시경기까지는 그냥 보고
1시경기부터는 평소보다 일찍 자고
새벽에 일어나서 보고 다시 자거나 출근합니다...

옛날 군대 야간근무 느낌...
Rorschach
24/12/16 11:27
수정 아이콘
그냥 포기했습니다 크크크

그래도 2~3년 전 까지는 보려고 좀 노력해보긴 했는데, 보다가 잠들거나, 진짜 대박 매치 아니면 보는 중에 집중도 잘 안되고 그렇더라고요.
정말 여유 있거나, 운 좋게 빅매치 다음날 휴일/휴가거나 하는 경우에나 가끔 보고 있네요. 그런데 한참 안챙겨보다보니 관심도 떨어지고 선수 이동도 잘 파악 못하고, 응원팀(아스날, 레알) 정도 제외하면 신성들은 누군지도 잘 모르게 되긴 하더라고요.
무적LG오지환
24/12/16 11:30
수정 아이콘
전 2시 넘어가는 경기는 숙면응원합니다 크크크
슬래쉬
24/12/16 11:58
수정 아이콘
어제는 다 봤고
평소에는 포기하거나, 보다 잠듭니다...
Jurgen Klopp
24/12/16 12:01
수정 아이콘
미리 잡니다...
20060828
24/12/16 15:11
수정 아이콘
피지알 스연게에서 하이라이트만 봅니다...크크
handrake
24/12/16 16:30
수정 아이콘
새벽 5시정도 경기라면 일찍 잡니다만,
이래도 피곤한건 매한가지라 결국 포기하게 되더군요.
24/12/16 22:11
수정 아이콘
K리그로 완전히 넘어 온 이유 중 하나입니다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094 [질문] 특수 건전지(23A 12V)는 어디서 사나요? [6] wook985446 24/12/20 5446
179093 [질문] 아다치 미츠루 작품 중 뭘 소장하면 좋을까요? [20] 달달한고양이5192 24/12/20 5192
179091 [질문] 무협소설 추천부탁드려요 [25] 오하이오5262 24/12/20 5262
179089 [질문] 올해의 드라마를 꼽는다면? [17] 캡틴리드4707 24/12/20 4707
179088 [질문] 엘든링 DLC구매 질문 [2] 낭만조사4763 24/12/20 4763
179087 [질문] 카톡 해킹으로 광고 메세지 전송 낭만조사3570 24/12/20 3570
179086 [질문] 별의커비 로보보 플래닛을 할 수 있는 가장 저렴한 방법이 뭔가요? [3] 설탕가루인형형3646 24/12/20 3646
179085 [질문] 닌테도 스위치 추가 질문드립니다 [6] 김카리3904 24/12/20 3904
179084 [질문] 원달러 환율 얼마까지 올라갈까요? [13] ArcanumToss4998 24/12/20 4998
179083 [질문] 초등학교 입학 선물로 가방 추천 부탁드립니다. [9] QuickSohee3861 24/12/20 3861
179082 [질문] 팔꿈치 타박상이 오래 가나요? [14] Mindow3932 24/12/20 3932
179080 [질문] 주택구매할때 대출 질문입니다. [7] 기술적트레이더4400 24/12/20 4400
179079 [질문] 코스트코 간식 추천부탁드립니다 [14] 월터화이트5452 24/12/19 5452
179078 [질문] 망리단길 소개팅 장소 있을까요?? [2] 라리4434 24/12/19 4434
179076 [질문] 노래를 찾고 싶습니다 [6] Fred again4680 24/12/19 4680
179075 [질문] 내년 2월 홋카이도 5박6일을 가게 되었습니다 [13] 김유라5095 24/12/19 5095
179074 [질문] 드라마 정년이 질문 (오페라 배우다가 지적당한 부분이 몇 회죠???) [2] bifrost3484 24/12/19 3484
179073 [질문] 중고 데스크탑 시세 질문드려요! [12] essence3831 24/12/19 3831
179072 [질문] 주식 이체 질문입니다. [9] 달려라토끼4098 24/12/19 4098
179071 [질문] 초6 딸아이 자전거 추천 부탁드려요 [3] 글곰3542 24/12/19 3542
179070 [질문] 9세 아들 크리스마스선물 닌텐도 문의드립니다. [21] 김카리4155 24/12/19 4155
179069 [질문] 차 샀을때 사면 좋은 용품 뭐가 있을까요? [61] 사계5554 24/12/19 5554
179068 [질문] 혹시 04~05 학번정도시면서 영어학원 하시는분 계신지요~ [9] 하나둘셋5413 24/12/19 54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