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12/14 14:15:37
Name 라투니
Subject [질문] 드라마 제 6 공화국은 언제 볼 수 있을까요?
이전에는 감도 안왔는데 요즘 시국 보면 개헌도 불가능하지 않을 것 같고 10년 내로 볼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캐스팅도 기대되구요.

굵직굵직한 사건들이 너무 많아서 기대되는데 저처럼 이런 생각 하시는 분들도 있으시겠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12/14 14:40
수정 아이콘
6공화국은 시기도 길고 그동안 바뀐정권도 수두룩해서...특정 인물이 확실히 중심인물이라 할 수 있는 3~5공보다 난해할것 같습니다.
라투니
24/12/14 14:44
수정 아이콘
시즌제라면...
24/12/14 14:52
수정 아이콘
음...각 정권별로 연결성이나 공통점이 약해서 그걸 굳이 시리즈로 엮어 거대 프로젝트로 만들 필요가 있을까 싶어요. 6공화국 내의 특정 정권이나 사건 위주로 개개의 드라마는 만들 만하겠지만.
24/12/14 14:42
수정 아이콘
300부작쯤 해야 하지 않을까요...
라투니
24/12/14 14:44
수정 아이콘
시즌제로 가야겠죠 아무래도..
Bronx Bombers
24/12/14 15:36
수정 아이콘
이거 누가 정리해놓은 걸 봤는데 각 공화국 시리즈가 실제 헌법 개정이 끝나는 시점부터 20년 정도 후에 다들 나왔더군요
지금 찾아보니 제1공화국부터 1981/1989/1993/1995/2005에 방영됐는데 진짜 끝난지 20년 정도 되면 하는 듯 합니다.

근데 제6공화국은 너무 기니, 대충 IMF 전까지를 시즌1으로 잡고 하면.....사실 지금 방영해도 될 듯 해요.
그 때 정치활동 하던 사람들은 거의 죽거나 은퇴했으니까요
24/12/14 16:08
수정 아이콘
일단 7공화국이 들어서야 제작할 수 있지 않을런지 크크;;;
24/12/14 16:40
수정 아이콘
1987년 6월 항쟁이나 6.29 선언부터 시작 될텐데 노태우 정부,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까지 15년,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까지 14년,
문재인 정부, 윤석열 정부까지 8년인데 도합 37년인데 이걸 기존 작품처럼 50화 남짓으로 담아내긴 쉽지 않을테니
3김 시대라고 할 수 있는 국민의 정부까지를 하나의 묶음으로 한다면 제7공화국이 들어서고 머지 않아 방영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쿼터파운더치즈
24/12/14 17:21
수정 아이콘
저는 못할거라고 봅니다 그때랑 시대가 너무 달라져서
그때는 인터넷 유튜브라는 매개체라도 없었고 지금처럼 즉각적인 반응이나 여론형성도 상대적으로 어려웠는데 지금은 아니죠
정상적인 평가도 어렵고 어떻게 써도 양쪽에서 쳐맞을거라고 봅니다 그 중국꺼 베껴서 상영중단한 사극꼴날거라고 보네요
24/12/14 17:50
수정 아이콘
개헌론은 항상 나왔지만 항상 말만 나오고 끝이라서 이번에도 될거 같지가 않습니다

개헌이 되려면 차라리 탄핵 같은 다른 정치적 이슈가 없이 안정적인 국정 운영 상태에서 그나마 가능성이 있지 싶습니다.

그리고 아마 6공으로 드라마 나오긴 힘들겠죠
시기도 너무 길고, 정부 별로 너무 다르니까...
3공과 4공은 같은 박정희 정권인데도 드라마 하나로는 못 나왔잖아요.
24/12/14 17:53
수정 아이콘
그리고 드라마적 재미가 있을만한 사건 사고가 거의 없었죠

지금 탄핵 같은게 우리 세대 기준에서야 버라이어티한 사건이지만

전쟁 겪고 군부 독재에 민주화 항쟁에 그 시절보다는 너무도 온건한 시대죠.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4/12/14 18:18
수정 아이콘
이승만박정희전두환 이라는 소용돌이의 중심같은 인물이 없어서 좀 힘들지 않을까 시퍼요 크크 그나마 3김을 위주로해서 국민의정부까지 6공 1부로 다룰법은 한데..
설탕물
24/12/14 23:05
수정 아이콘
안만들어질거라 생각합니다. 옛날보다 재밌는것도 많고 시대적으로 진지빠는 사극이 인기 없을 거라는 점. 고증도 신경써야 되고 스케일도 크고 제작비가 많은 점. 5공때처럼 시기 자체가 재미있는 때가 아니라는 점. 복합적으로 해서 6공 드라마는 없을거라고 생각해요. 저예산으로 만들 수 있다면 모를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201 [질문] 아기 촬영용 카메라 [19] 장헌이도6227 24/12/30 6227
179200 [질문] 월세질문이 있습니다! [4] 마지막처럼4892 24/12/30 4892
179199 [질문] 달러투자 및 보유 질문 [5] 아발란체4926 24/12/30 4926
179198 [질문] 국장 etf 를 적립식 매수하려는데 질문이 있습니다 [17] 고흐의해바라기5346 24/12/30 5346
179197 [질문] 실제 건축현장에서 거푸집은 어떤 소재를 많이 사용하나요? [4] 무냐고3988 24/12/30 3988
179196 [질문] 요즘 전자레인지 겸용 컵라면이 많은데 [33] Cand6017 24/12/30 6017
179195 [질문] 연말정산 환급액 ? 관련 질문 [5] 집에보내줘5093 24/12/30 5093
179194 [질문] 거실의 LED등이 깜빡이는 증상이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15] 황신강림4934 24/12/30 4934
179193 [질문] 유럽에서 렌터카 운전 난도가 낮은 곳이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13] 그냥가끔5205 24/12/30 5205
179192 [질문] 영어 공부 어플 추천해주실만한 거 있을까요? [13] 설탕물5198 24/12/30 5198
179191 [질문] 여객기에는 제동 낙하산을 쓰는게 불가능할까요? [8] VictoryFood6156 24/12/30 6156
179190 [질문] 바람의나라클래식 용무기는 얼마할까요? [28] 투명인간6779 24/12/29 6779
179189 [질문]  남자 스킨케어 제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쉬군5192 24/12/29 5192
179188 [질문] 항상 기자들이 같은 질문을 여러번 하는 이유가 뭘까요? [67] 마지막좀비5195 24/12/29 5195
179187 [질문] 새해 버킷리스트 달성을 위한 영어 공부 조언을 구합니다. [2] 어류도감4551 24/12/29 4551
179186 [질문] 안녕하세요 led 전구 구입질문입니다. [5] 크리스티아누4326 24/12/29 4326
179185 [질문] 이게 회사에서 벌레취급을 당할만한 일일까요? [63] 향기나는사람9488 24/12/29 9488
179184 [질문] 20년전 일본 만화 찾습니다. (완료) [12] 79년생6469 24/12/28 6469
179183 [질문] 혹시 이런 경우 어떻게 나사를 푸는지 아시나요? [7] Mrs. GREEN APPLE6199 24/12/28 6199
179182 [질문] 유튜브 쇼츠 댓글 기본으로 나오는 방법(PC) [1] wook985307 24/12/28 5307
179181 [질문] 발더스게이트3 위저드 주문난이도에 대해 여쭤볼게요. [4] 코기토5497 24/12/28 5497
179180 [질문] 예전에 쓰던 윈도우10(정품) 써도 되나요? [4] 자가타이칸5620 24/12/28 5620
179179 [질문] 레반도프스키, 벤제마가 나이 다 먹고 더 잘했던 이유 어떻게 분석해야 하나요? [3] 시나브로4544 24/12/28 45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