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9/26 11:24:27
Name Alfine
File #1 Skype_Picture_2024_09_26T02_22_54_992Z.jpeg (1.06 MB), Download : 601
Subject [질문] 집에 거미가 자주 나오는데 이유가 있을까요?


25년쯤 된 구축 아파트 1층에 살고 있습니다.

집에 거미가 참 많이 나옵니다.

전 집은 15층이었고 거미는 나온적이 없는데 이 집은 1층이라서 그런가?

거미가 엄청 나와요, 사진은 안방이고 거의 문을 닫아놓는데도 어제는 저렇게 거미가 있던데 (본 중에 제일 커서 사진 찍음;)

혹시 얘네들 들어오는 경로가 따로 있을까요..?

거미는 크게 거북하진 않은데 그래도 없으면 좋으니까 ... 질문 드려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츠라빈스카야
24/09/26 11:28
수정 아이콘
뭐 환기구 배수구가 제일 큰 루트겠죠..문을 닫아놨다곤 해도 천장 보드 위 공간도 꽤 있을텐데 그쪽으로도 올 수 있을 것 같고..
덴드로븀
24/09/26 11:34
수정 아이콘
베란다 쪽 확률이 가장 크죠. 방충망이 뜯어졌다거나 샷시에 있는 물빠짐 구멍이 크다던가 등등
인생잘모르겠
24/09/26 11:35
수정 아이콘
어딘가에 공간이 있을 확률이 높죠, 안에서 자연 생성 되진 않앗을테니깐, 자세히 찾아보면서 막으면 없으질겁니다. 실리콘이나 테이프 같은거라도, 저도 개미가 계속 들어왓는데 밥톨만한 구멍 하나 있었는데 그거 테이프로 막으니깐 싹 없어졋네요.
Mephisto
24/09/26 11:35
수정 아이콘
거미가 많다는건 거미가 먹을것도 많다는 의미라.......
교대가즈아
24/09/26 11:36
수정 아이콘
1층이면 원래 벌레 많이 들어옵니다. 배수구를 잘 틀어막았다는 전제하에(보통 배수구트랩 쓰면 거의 안들어옵니다)

벌레가 주로 유입하는 공간은 샷시 틈새(제일 가능성 높음), 창문 틈새, 현관문 열고 닫을때 유입, 밖에서 벌레가 옷에 붙어서 집안으로 같이 들어옴(이게 의외로 흔함.), 택배 박스에 포함되어서 유입 등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샷시 틈새로 정말 많은 벌레들이 들어오는데.. 어떻게 그 좁은 공간으로 들어오냐 싶지만서도 벌레들은 꾸역꾸역 들어오더군요.
결론적으로 벌레를 완벽하게 방어하는 방법은 패시브하우스 + 시스템 창호 + 열회수 환기시스템으로 아예 창문을 열지 않고 사는게 아닌 이상
거의 무조건 유입된다고 봐야합니다. 1층이면 아무리 청소를 해도 벌레들이 그냥 유입되기때문에.. 거기다 주변에 화단이나 나무가 있으면
벌레 천국 + 벌레 먹으러 온 거미천국이라 어쩔 수가 없을지도 모릅니다..

일반 하이샷시에는 틈새가 존재하기 때문에.. 아예 틈새를 가스켓 또는 휴지로 막아버리지 않는 이상 창문을 통해서 벌레 유입은 거의 있다고 보셔야합니다.
인생잘모르겠
24/09/26 11:41
수정 아이콘
저도 샷시랑 샷시랑 벽틈 여기서 자꾸 들어왓는데 실리콘(다이소에서 2쩐원에 팝니다.) 그걸로 메꿧더니 없어졋네요 .
인생잘모르겠
24/09/26 11:40
수정 아이콘
베란다 쪽에서 물이 자꾸 들이쳣었는데 벽쪽에 구멍같은거 틈같은거 전부 실리콘으로 막으니깐 싹 없어졋습니다.
24/09/26 18:28
수정 아이콘
저도 예전에 아파트 10층에 사는데도 불구하고 거미가 나오길래 검색을 좀 해봤는데...
의외로 집에 사는 거미 종류가 있더라구요.
그 친구들이 좋아하는 환경이 건조하고 먼지가 많은 환경이라고 하더라구요. 딱 전형적인 구축 아파트 환경이죠.
올리신 사진 상으로는 집유령거미처럼 보이는데... 한 번 검색해보세요.
만약 집에 사는 거미 종류가 많다면, 해당 거미는 애초에 집에서 사는 애들이니, 외부 유입 경로를 막는다고 해도 없어지진 않을 겁니다.
저는 이사를 했는데도 아직도 집유령거미 종종 보는데, 그냥 반갑다 하고 지나갑니다. 크크크
24/09/28 06:00
수정 아이콘
근데 사진으로 봐선 거미보다는 각다귀같은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8115 [질문] 24인치 고주사율 모니터 추천 부탁드립니다 쏘쏘쏘5239 24/10/03 5239
178114 [질문] 형님들, 와이프가 친정간다는데 어쩌죠? [36] 인생을살아주세요7622 24/10/03 7622
178113 [질문] 광고 촬영용으로 차량을 대여하면 어느정도 금액을 받으면 될까요? [9] Payment Required5380 24/10/03 5380
178112 [질문] 폰화면 컴퓨터 연결 질문입니다 [6] 제니4551 24/10/03 4551
178111 [질문] 가평 볼거리 추천부탁드립니다 [2] 유니꽃5537 24/10/03 5537
178109 [질문] 육아 질문입니다.(기저귀 떼기) [22] 싸구려신사6835 24/10/02 6835
178108 [질문] 흑백요리사 흑대백 팀대전 질문드립니다(스포 주의) [7] 포커페쑤5748 24/10/02 5748
178107 [질문] 서양은 중고교나 대학, 공무원 시험볼 때 오픈북으로 시험을 치는지요...? [6] nexon5106 24/10/02 5106
178106 [질문] 냉장고 부품(?)의 정체가 궁금합니다. [2] 던멜4099 24/10/02 4099
178105 [질문] 미래에 택시비 어떻게 계산할까요? [1] 어센틱4854 24/10/02 4854
178103 [질문] 소설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행복을 찾아서4135 24/10/02 4135
178102 [질문] RAM 불량 관련 질문 입니다 [2] 카즈하5879 24/10/02 5879
178101 [질문] 라이젠 5600G 발로란트 문제 없나요? [3] 지구돌기5235 24/10/02 5235
178100 [질문] 월즈일정 궁금증 [13] 알마4087 24/10/02 4087
178099 [질문]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7] 김경호5151 24/10/02 5151
178098 [질문] 저소득 노령자 주택 보조 정책 [7] FreeRider4618 24/10/02 4618
178097 [질문] 이런 상황이라면 자산분배를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10] 펩시제로라임4835 24/10/02 4835
178096 [질문] 네이버 멤버쉽 요기요 배달 무료는 요기요 재가입 해야 하나요? [6] 빵pro점쟁이4529 24/10/02 4529
178095 [질문] 교통사고 질문입니다. [6] 송운화5131 24/10/02 5131
178094 [질문] 원화/달러/위안 -> 마카오 파타카 환전문의 [2] 오징어개임4436 24/10/02 4436
178093 [질문] 부부 자동차 2대 소유 보험 및 세금 관련 [5] Part.36245 24/10/02 6245
178092 [질문] 윈도우 재설치 질문 [6] 장헌이도5251 24/10/01 5251
178091 [질문] 상속 포기 질문 좀 드립니다. [13] luvsic6336 24/10/01 633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