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2/25 15:29:15
Name Alcohol bear
Subject [질문] 인덕션 추천좀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이번에 이사를 가면서 인덕션을 사용하려하는데
형님들의 고견을 여쭙고자 글을 써봅니다.
와이프가 가는 맘카페에는 디트리쉬? 라는 브랜드 추천이 있는데
저는 역시 가전은 LG아니냐 얘기하는 중이었습니다.
어떤 브랜드가 좋을까요?
가격대는 백만원대 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고우 고우
24/02/25 16:42
수정 아이콘
인덕션 사용하고 있는데,
개인적으로 인덕션 자체를 추천하지 않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연구에 의하면, 인덕션이 폐 관련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여러 가지 측면에서 불편하기만 합니다.
Alcohol bear
24/02/25 21:25
수정 아이콘
오잉 그런가요..
우와왕
24/02/26 10:12
수정 아이콘
가스레인지가 가스 때문에 폐에 안좋은 줄 알았는데
인덕션은 왜 그런가용?
고우 고우
24/03/05 09:46
수정 아이콘
pgr 시스템을 몰라서 늦게 확인했습니다.
가스레인지의 가스보다
높은 온도에서 재료가 타면서 나오는 가스가 더 유해하다고 합니다.
연구에 의하면, 인덕션이 가스 레인지보다 우수하지 않습니다.
두가지 모두 사용해 본 경험으로는
인덕션의 화구(?)에 음식 등이 떨어지기 쉽고
필연적으로 이물질이 높은 온도로 가열되면서 더 많은 유해가스가 나오기 쉬운 것 같습니다.
지금은 인덕션을 사용합니다만,
아내는 다음에 이사하면 무조건 바꿀 것이라고 합니다.
24/02/25 18:04
수정 아이콘
요리 좋아하시면 인덕션 비추...
Alcohol bear
24/02/25 21:26
수정 아이콘
생존용요리만해서..
고우 고우
24/02/25 21:52
수정 아이콘
생존용 요리만 하시고,
자주 요리하지 않으신다면 문제가 없으실 수도 있습니다.
인덕션의 가장 큰 단점은
스위치를 꺼도 여전히 뜨겁기 때문에
섬세한 불조절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즉, 마지막에 낮은 온도로 요리를 마무리해야 되는 경우
불조절이 어려워 양념 등이 타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4/02/26 00:17
수정 아이콘
폐관련 건강으로는 가스레인지 보다 훨씬 건강에 도움되고 섬세한 불조절도 자주 하는 요리는 숫자로 화력을 조절하기때문에 전 훨씬 편하게 사용중이네요. 낮은 온도로 요리를 마무리하는 경우 양념이 탄다고 하시는데 2-3단계로만 낮춰도 탄적이없어서 공감이안됩니다.
인덕션의 가장 큰 단점은 사용용기를 가리는 것과 높은 전력 사용량말고는 전 매우 만족중입니다.
고우 고우
24/03/05 09: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인덕션 사용 2년차라서
제가 사용이 미숙한지도 모르겠네요. ^^
(수정: 하이라이트 사용 2년차 입니다.)
24/02/26 02:00
수정 아이콘
하이라이트랑 헷갈리시는 거 아닌가요? 인덕션은 냄비를 직접데우는거라 안 뜨거울 텐데...
고우 고우
24/03/06 21:52
수정 아이콘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저희 집에는 하이라이트 이네요.
저는 인덕션과 하이라이트가 같은 것인줄 알았습니다.
24/02/25 18:28
수정 아이콘
AEG 추천합니다.
9년째 쓰는데 정말 대충 사용해도 기스 하나 없습니다.
풀로 인테리어 하고 들어갔는데 그 중에 아내가 지금도 잘 샀다고 만족하는게 AEG 인덕션이랑 티크 식탁입니다.
Alcohol bear
24/02/25 21:26
수정 아이콘
오우 처음 듣는브랜드라 검색해보겠습니다!
오리대장
24/02/26 10:00
수정 아이콘
혹시 주방쪽 전기 라인은 확인 하셨나요? 3구 기준 국내 브랜드 제품들 소비전력이 3천 내외고 수입은 대부분 7천 이상이라 인덕션용 단독배선이 필요한데 원래 인덕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던 집들은 라인 따기가 곤란한 경우도 많더라구요.
봉그리
24/02/26 19:11
수정 아이콘
이거 맞습니다. 인덕션이 참 좋은 건 맞는데 파워를 많이 탑니다.
국내 인덕션은 소모전력이 적은 대신 금방 안끓어서 이럴거면 하이라이트나 다른게 뭐냐 급이고,
해외 인덕션은 배선을 따로 안따주면 3구래도 한꺼번에 못쓰고 비실비실..
해외 인덕션에 대한 악평은 대부분 파워문제라고 봅니다.
디트리쉬 3구 쓰는데 부스트 켜면 몇초 안에 끓어오릅니다.
미나리돌돌
24/02/26 11:09
수정 아이콘
제가 실 사용자가 아니라서 잘 모르지만 우리 와이프님이 인덕션 2 가지 모델을 써보시더니 인덕션 퇴출하고 하이라이트로 정착했습니다. 어떤 인덕션은 고주파음이 나서 거슬리는 것도 있었어요. 요새 좋은 모델은 괜찮을지도 모르지만요.

써니테크라는 국내회사 제품이 있는데 인덕션보다 1/5~1/10 가격에 아주 성능 좋고 쓸만합니다. 울 와이프가 써보고 반해서 양가 집안 다 그걸로 바꾸고 주변에도 추천하고 있네요.
흐르는물처럼
24/02/27 17:47
수정 아이콘
인덕션이랑 하이라이트랑 다릅니다
두개 차이 인지하시구, 전 인덕션 파긴 합니다.
하이라이트가 열 올라오는거 더 느립니다. 잔열도 오래갑니다.

국산, 해외 차이가 있어요
국산이 파워가 더 약해요, 그럼 수입이 좋으냐?
신식아파트가 아니라면 집자체로 들어오는파워가 약해서 의미가 없습니다.
Alcohol bear
24/02/27 17:54
수정 아이콘
오늘 베스트샵 구경 한번 다녀왔습니다!
전기는 문제 없고 와이프가 인덕션으로 가려고 합니다.
저는 오징어 꿔먹는것 때문에 하이브리드 하자고 했다가 등짝 한대 맞았네용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5246 [질문] 의자추천부탁드려요 (팔걸이높이가 중요해요) [13] 불대가리5831 24/03/08 5831
175245 [질문] 엑셀 질문입니다. 도와주세요.ㅠ [23] 200608284980 24/03/08 4980
175244 [질문] 근래에 육군훈련소(논산) 수료식 가보신분 있나요? [4] 흰둥6976 24/03/08 6976
175243 [질문] 분양권 판매에 대한 취득세, 양도세 감면관련 질문입니다. 아이유_밤편지6366 24/03/08 6366
175241 [질문] 왜 배우에게만 OOO배우라고 부를까요? [43] 탄산맨9038 24/03/08 9038
175240 [질문] 탈모 동지분들.. 한번씩 읽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피약, 약변경 등등) [20] Sebastian Vettel5638 24/03/08 5638
175239 [질문] 비싸도 하이브리드 차량을 사는게 대세인가요? [32] 인천테란6814 24/03/08 6814
175238 [질문] 신용대출 비교 어떻게하는게 좋나요? [3] 괜찮습니다5358 24/03/08 5358
175237 [질문] 외장 ssd 2테라 추천해주세요! [4] 리듬파워근성4903 24/03/08 4903
175236 [질문] 용산CGV 아이맥스가 자리가 없어서 다른 곳에서 보려고 하는데요 [14] 자가타이칸5194 24/03/08 5194
175235 [질문] K7 차량 후방카메라 지연 딜레이 문제 [2] WarJoy5342 24/03/08 5342
175234 [질문] 아마존 고객센터에 이메일로 문의할 수 있나요? beloved5129 24/03/07 5129
175233 [질문] 갤럭시북4는 언제쯤에 나올까요? [4] wersdfhr4584 24/03/07 4584
175232 [질문] 이 게임이론이 뭔지 아시는 분 계신가요 [16] 이리떼5364 24/03/07 5364
175231 [질문] 보통 자급제폰을 구입하시면 알뜰폰 요금제를 쓰시나요? [13] LG우승6114 24/03/07 6114
175230 [질문] 글카가 터졌습니다. [3] 현욱5487 24/03/07 5487
175229 [질문] 해외 숙박예약, 이렇게 하면 진상(얌체)짓 일까요? [51] Dresden6403 24/03/07 6403
175228 [질문] 데이터 복구 업체 어디가 좋을까요? [8] 탄야5234 24/03/07 5234
175227 [질문] 웨딩카 질문 드립니다. [14] Alfine6193 24/03/07 6193
175226 [질문] 아이폰은 화면 끌어내려야만 알림 확인되는 것 맞나요? [5] 합격기원5006 24/03/07 5006
175225 [질문] 출퇴근용 자전거가 좋을까요 전기자전거가 좋을까요? [27] 앙금빵6172 24/03/07 6172
175224 [질문] 요즘 업무용 윈도우 노트북 배터리 실사용 시간? [2] 크로플4189 24/03/07 4189
175223 [질문] 조던6 착화감 [6] backtoback4801 24/03/07 480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