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2/21 16:43:32
Name 샤한샤
Subject [질문] GPU가 파워 돼지가 된 이유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GPU 시장 최근 몇년간의 급격한 파워처먹기 경쟁에 관해 궁금한것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옛날에는 (체감상) 성능이 올라가는 속도가 1이라면 소모 전력이 올라가는 속도는 1보다 낮은 어딘가에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요

언제부턴가 성능이 올라가는 속도랑 맞먹게 혹은 그 이상으로 파워 소모가 올라가는 것 같습니다.


이와같은 현상의 원인으로 그냥 가볍게 생각해봤을 때

1. NVIDIA와 AMD와의 경쟁이 너무 치열해져서 힘을 남겨둘 수 없게 되었다.
- 그렇지 않다는 것을 우리 모두가 알고 있으니 이 가설은 기각

2. 공정 개선 속도가 느려짐에 따라 전력 효율화가 지지부진해진 반면 GPU에 요구되는 성능 기대치는 계속 올라가고 있다?
- 제일 그럴듯해보이지만 AI쪽만 파워가 올라가면 되지 왜 게임용 글카까지 파워돼지가 되는지 설명이 안됨?

3. 파워 만드는 기술이나 냉각 기술이 향상/보급되어서 글카의 파워리미트가 해제된것이다?
- 서버 랙당 먹는 파워도 어마어마하게 늘어나는것 보면 이쪽이 답인가 싶기도?

이 외에도 여러가지 가설이 있을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저의 질문은 혹시 이런 것에 대해서 어디선가 논의하는 것을 보신 일이 있는지?
또 없더라도 게임 및 게이밍 하드웨어에 관심 많으신 고수님들 개인의 의견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안군시대
23/12/21 16:52
수정 아이콘
그냥 설계 자체는 크게 개선된 게 없는 상태로 집적도만 높아져서 그렇게 된 게 아닐까요?
모바일 CPU 등의 파워 소모가 줄어든 건, CPU의 설계 자체가 예전과는 많이 달라졌기 것으로 알거든요.
덴드로븀
23/12/21 16:58
수정 아이콘
2번일겁니다.

AI 나 GPU 나 결국 병렬 연산이 핵심이고, 이건 아직 그냥 트랜지스터를 최대한 빡빡하게 밀어넣는거말곤 딱히 방법이 없는게 현실이니까요.
Lord Be Goja
23/12/21 17:03
수정 아이콘
2번이 맞습니다
세대차나는 동성능카드끼리 두면 전성비자체는 압도적으로 발라요
(4060TI는 2080TI급 성능을 내는데 GPU의 전력소모는 1/3밖에 안됩니다.메모리같은 부분까지 합쳐야 반절)

그런데 2022년에 최고급카드가 2080TI급 성능을 낸다고 하면 용납이 안되니까 비싼거팔려면 전기를 더 넣어야하죠.
그러면 아케텍쳐의 적정전성비가 나오는 구간은 쉽게 넘어갑니다

현세대 CPU들도 4기가해르츠로 제한하면 샌디브릿지시절보다 발열도 적고 전기도 적게 쓰고(5기가클럭대비 반절쓸랑 말랑해요) 성능은 오히려 몇배는좋아요
그렇지만 그성능으로 만족을 못한다고 하니 최고클럭을 5.2 5.3 이렇게 올려버립니다.성능향상대비 자원소모효율이 나쁜거 알면서도 저러는거죠.
Lord Be Goja
23/12/21 17:09
수정 아이콘
3번의 파워만드는 기술은 오히려 지지부진합니다
이쪽은 소재공학이라서요
2012년에는 1600플래티넘이 한계였는데 23년에 나온 2200w파워 이런건 그냥 수요가 생겨서 비싼부품을 더 많이 넣어서 가능해진부분이에요.
샤한샤
23/12/21 17:13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이쪽은 마법을 동원하지 않는 한 물리법칙의 한계가 벌써 봉착한거군요
쿨링쪽도 따지고보면 공랭은 NH12같은게 아직도 현역인거 보면 기술이 발전한게 아니라 비자발적으로 수랭/액침으로 간거라고 봐야겠네요

아 그런데 3천와트 이런 서버용 파워는 1500짜리 두개를 붙여서 파는건가요?
Lord Be Goja
23/12/21 17:23
수정 아이콘
사이즈가 일반파워랑 달라요 제가 말하는 1500w/2200w 이런건 일반피시에 들어가는거고

https://www.wiredzone.com/shop/product/10023989-supermicro-pws-3k03g-2r-redundant-2u-ac-dc-power-supply-3000w-80-plus-titanium-9954?category=121

이런 서버용 파워는 사이즈부터
203.5 mm 106.2 mm 82.4 mm에 2킬로 그램이죠

일반파워 사이즈가
150 × 150 × 86 mm니까 실제사용 용적까지치면 부품도 많이 넣을수 있고 비싸게 받을거니 비싼부품을 더 쓸수 있죠

그리고 서버에서 빼와서 알리에다 파는거 아니면 가격도 저렇게 무지막지하죠..
(델서버에서 빼다팔고 이런건 3천와트에 30만원밖에 안합니다)
23/12/21 17:51
수정 아이콘
2번이죠

개별 칩셋 성능을 개선하기는 상당히 어려워지고 있으니까... 칩셋을 두개 써서 성능을 올리는 느낌으로다가
Lainworks
23/12/21 17:57
수정 아이콘
2번입니다
HD->4k 도 빡셌는데 아니 갑자기 고주사율이
샤한샤
23/12/21 17:59
수정 아이콘
아 하긴 4K 게임이 정복되었다는 이야기가 나올랑 말랑 하던 참에 갑자기 144hz같은게 유행하기 시작했죠
일반상대성이론
23/12/21 18:19
수정 아이콘
전성비 개선이 극적이었던 2010년대 중반 빼곤 많이 쳐먹어왔던거 같습니다.
샤한샤
23/12/21 18:51
수정 아이콘
뭔가 그 시절에는 전력이랑 가격은 제자리인데 성능만 쭉쭉 올랐던 것 같은 기억입니다
추억보정이겠지만요
한글날
23/12/21 21: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성비는 공정 개선에 비례해서 꾸준히 발전해 왔고, 최근엔 소프트웨어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습니다. 가령 4070 은 3080 과 동급의 깡성능이면서 전력은 2/3 만 먹고, 거기에 DLSS3 까지 적용되면 3080 의 절반의 전력만으로 최소 1.5배 이상의 프레임을 뽑아내죠. DLSS3 적용시의 전성비로 따지면 무려 3배란 얘깁니다.

다만 절대 다수의 소비자들은 전성비보단 성능을 훨씬 우선시하기 때문에, 제조사는 최적의 전성비 구간 (스윗 스팟) 을 훨씬 초과한 비효율적인 지점까지 제품을 채찍질해가며 출시하고 있고 (일명 차력쇼), 이는 전력제한/언더볼팅 시의 효율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https://quasarzone.com/bbs/qc_plan/views/30686#p3
가령 4090FE 의 경우, 전력제한 60% 상태에서도 기본 성능의 94% 를 뽑아냅니다. 고작 6% 의 성능을 더 얻기 위해서 전력을 30% 더 소모하도록 기본값을 잡아놨죠.

https://quasarzone.com/bbs/qn_hardware/views/1188525
마찬가지로 CPU 도 최대 250W 를 소모하는 12900K 에 125W 의 전력제한을 걸면, 전력소모는 절반이 되지만 실성능은 88% 가 나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186 [질문] 7800x3d 견적 이륙 해도 되나요? 조립 질문도 있습니다. [17] 면역7699 23/12/26 7699
174185 [질문] 실전에서 낭심공격을 잘 안 하나요? [12] monkeyD8721 23/12/26 8721
174184 [질문] 지금 4070ti를 사도 될까요? [4] 하쿠쿠7009 23/12/26 7009
174183 [질문] 행시 사무관은 요새 결혼시장 선호도가 어떻게 되나요? [6] 공부안하고왜여기8900 23/12/26 8900
174182 [질문] 앞으로의 인생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7] 김치와라면7025 23/12/26 7025
174181 [질문] 주택담보대출 5억 받으려면 연봉이? [10] 잠이오냐지금8369 23/12/26 8369
174180 [질문] 자녀 있는 집 아기매트 추천부탁드려요 [9] 쿄우가7340 23/12/26 7340
174179 [질문] 서울 운전 및 주차 질문 [34] 개좋은빛살구7989 23/12/26 7989
174178 [질문] 한컴오피스 새 창으로 보기 기능 지원 여부 칠리콩까르네7077 23/12/26 7077
174177 [질문] 회사에서 권고사직 당할 경우, 실업급여 신청하려면 뭔가 준비해야하는 서류가 있을까요? [8] LG의심장박용택7244 23/12/26 7244
174176 [질문] 움직이면 복부가 아픈데 어디로 가야하나요? [4] 교대가즈아8288 23/12/26 8288
174175 [질문] 스팸 라이트 곰팡이인가요?? [12] 귀파기장인7209 23/12/26 7209
174174 [질문] 머신러닝/딥러닝 pc 견적 문의2 [10] 욕심쟁이8103 23/12/26 8103
174173 [삭제예정] 3D게임 멀미를 극복할 수 있나요? [14] v.Serum6078 23/12/25 6078
174172 [질문] 엑셀 사용할 때 같은 이름의 문서파일 동시열기와 alt+tab 옵션 사용가능하신지요...? [2] nexon7082 23/12/25 7082
174171 [질문] 영국이 이슬람 종교학자를 배척하거나 학살한 적이 있나요? [5] 6973 23/12/25 6973
174170 [질문] 갤럭시탭을 출력모니터로 사용이 가능한가요? [6] 우디르7826 23/12/25 7826
174169 [질문] 옛날 책들 처리 어떻게 하시나요? [9] 그때가언제라도7061 23/12/25 7061
174168 [질문] 브릿팝러버가 런던에 가서 볼만한 건 없나요? [1] 6212 23/12/25 6212
174167 [질문] 휴대폰 부가서비스 해지관련 문의입니다. [1] 유아린6585 23/12/25 6585
174166 [질문] 갤북4 프로 16 vs 프로360 [2] 엔쏘7378 23/12/25 7378
174165 [질문] 일본어 노베이스 인강으로 괜찮을까요? [7] 우주전쟁7762 23/12/25 7762
174164 [질문] 컴퓨터 견적 여쭈어봅니다 [2] PlutO8951 23/12/25 895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