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2/11 22:47:01
Name 호비브라운
Subject [질문] 허리디스크 이후, 재발 방지를 위한 운동은 어떤 게 좋을까요?
3달 전 축구하다가 허리에 크게 통증이 와서 바로 병원을 가서 디스크가 조금 나왔다는 소견을 들었습니다. 허리보단 왼쪽 다리에 이어지는 방사통이 고통의 90% 이상이었습니다. 도수치료 조금 받고, 무리하지 않고 자연치유되길 기다렸습니다.

그간 왼쪽 다리에 잔잔한 저릿함을 빼면 많이 호전됐습니다.  런닝이나 등산은 무리 없이 되고, 그저께는 부상 이후 처음으로 풋살을 했습니다.  1시간 반 정도 하니 약간 허리에 신호가 올락말락했던 거 말고는 직후나 다음날 통증이 크진 않았습니다.

최근 건강검진으로 ct를 찍어보니 여전히 요추 5번-천추 1번 사이 추간판 탈출증이랑 요추4-5번 사이 팽윤증 소견이 나왔네요.

문제는 앞으로도 축구나 그에 준하는 운동이나 레저를 열심히 하고 싶은데, 또 그때처럼 디스크로 큰 통증과 부상이 있을까 염려됩니다.

유연성과 코어근육을 기르는 운동을 하면 좋다고 해서, 필라테스를 해볼까 합니다. 아니면 코어운동 위주로 PT를 받는 것도 고려 중이고요.

디스크로 고생하셨거나 극복하신 분들은 어떤 운동으로 예방을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2/11 23:36
수정 아이콘
이 밑으로 많은 분들이 좋은 조언해주실거고, 글쓴분 스스로도 좋은 내용들 많이 알아보실거라 믿으면서 몇자 적겠습니다.1

1. 어떤 운동을 하시기로 결정하더라도
2. 100% 확신이 들었더라도
3. 일단은 쉬면서 더 알아보세요.
4. 몸이 모두 회복되시거든 일상생활에서 올바른 자세가 가장 중요합니다.
5. 내 상황에 맞는 운동(혹은 관리)에 대해서 200% 확신이 들 때,
6. 그 때 조금씩 운동 시작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저 같은 경우는 허리디스크 터졌었고, 나름대로 열심히 알아보고 운동했었던 기억이 나서 몇글자 적습니다.
지금 돌이켜보면, 당시 제 나름대로 충분히 열심히 알아보고 신중하게 운동했었지만,
그렇게 열심히 운동했던게, 되려 독이 됐었던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끝으로 운동은 '수영' 추천드립니다. (배영 위주)
고블린점퍼케이블
23/12/12 01:15
수정 아이콘
러닝 추천드립니다.
런닝머신이든 실제 달리기든 아무 러닝이나 다 좋아요.
23/12/12 01:32
수정 아이콘
걷기랑 수영이 정말 좋다고 들었습니다
뭐하지
23/12/12 03:26
수정 아이콘
걷기요.
19~20살 때 허리 아파서 5분도 못 앉아 있었는데 수영, 병원 치료, 헬스 안 해본 게 없었습니다.
전부 다 효과가 없었는데 하루 2시간 걷기 2주하고 바로 나았습니다.
그때 몸소 느꼈습니다. 허리 아픈 데에는 바른 자세로 걷는 게 최고라는 걸.
군령술사
23/12/12 04:03
수정 아이콘
저도 허리디스크로 고생했던 사람인데, 철봉을 추천드려요.
턱걸이도 좋지만, 그냥 하루에 매달리기 수십초만 해도 도움이 됩니다.
요령은 허리 아래 힘을 빼고 늘어뜨려 주는 건데요, 견인치료의 효과를 볼 수 있어요.
절대 무리는 마시고, 스트레칭 정도로 생각해주세요. 저는 조심하기 위해 매달린 다음엔 침대에 누워서 쉬었습니다.
척추에 음압을 가하는 게 목적이기 때문에 딥스 자세로도 가능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022 [질문] 서울, 크리스마스 분위기 물씬 느낄 수 있는 곳? [12] 벤자민비올레이8195 23/12/16 8195
174021 [질문] 투싼과 스포티지 [16] 만렙꿀벌7653 23/12/15 7653
174020 [질문] 3070ti 업어왔습니다. 언더볼팅 했는데 이 정도면 괜찮을까요?? [2] 사람되고싶다8010 23/12/15 8010
174019 [질문] 40인치 모니터 암 질문드립니다 [10] 던멜7150 23/12/15 7150
174018 [질문] 삼성 갤럭시북 추천받습니다. [9] 해바라기8275 23/12/15 8275
174017 [질문] 교통사고 등 사건 발생시 대응 문의 [18] 수타군7510 23/12/15 7510
174016 [질문] 퇴행성 관절염 치료 수술 카티스템 질문 [3] 먀미무먀7917 23/12/15 7917
174015 [질문] 포켓몬 dlc 구매 질문드립니다. [4] 천우희6931 23/12/15 6931
174014 [질문] [컴터] i3 12세대 vs 13세대 문의드립니다. [14] 앵글링x스키밍8828 23/12/14 8828
174013 [질문] 컴켜서 걍 일반 웹서핑+게임만 하면 윈도디펜더 꺼도 괜찮나요? [3] 스핔스핔8276 23/12/14 8276
174012 [질문] 홍대쪽 지나는데 뮤지컬 스토리를 봐달라는데 [5] 짐바르도8787 23/12/14 8787
174011 [질문] 서울 1박 2일 갑작스러운 여행! 추천할 곳 있으신가요? [7] 실버벨7599 23/12/14 7599
174008 [질문] 에어프라이기랑 전자렌지 같은 콘센트에 써도 괜찮을까요? [7] SaNa8608 23/12/14 8608
174007 [질문] 초등학생 노트북 구입 질문 [6] 자리끼8800 23/12/14 8800
174005 [질문] 이런 냄새 제거기 어떤 원리인지 혹시 아시는 분 계실까요? [8] Red Key9190 23/12/14 9190
174004 [질문] 롤 아주 미세한 끊김 [7] 요들8692 23/12/14 8692
174003 [질문] 인터넷이 유선만 끊긴다면? [8] 데비루쥐7225 23/12/14 7225
174002 [질문] EU 국가 여행 주류 면세 초과 질문입니다. [4] Su A7699 23/12/14 7699
174001 [질문] PC가 부팅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13] 마지막좀비7951 23/12/14 7951
174000 [질문] 게임 멀미 해소방법 문의드립니다. [28] 먼산바라기9453 23/12/14 9453
173999 [질문] 스팀이 서비스를 정지하면? [7] drighk8753 23/12/14 8753
173998 [질문] 화학약품 폐기물 처리(염산 등) [7] BISANG8209 23/12/14 8209
173997 [질문] 라디오 추천 받을 수 있을까요? [6] 퍼블레인8012 23/12/14 80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