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1/29 12:28:12
Name 티나한
Subject [질문] 심박수 기준, 운동강도에 대해
최대심박수의 일정 퍼센트(60~70퍼센트 등) 구간을 활용하는 것이 운동효율에 좋다는 것이 많이들 회자되는 이야기입니다만, '같은 시간'을 운동한다는 가정 하에, 최대심박수의 80~90퍼센트 이상 써가면서 죽을동살동 운동하면 심폐지구력 향상에 더 도움이 되기는 하지 않을까요? 물론 더 낮은 강도로 더 긴 시간을 하면 훨씬 좋겠지만 시간이 정해져 있다는 가정 하에 말이죠. 같은 시간동안 중강도 운동을 했을 때에 비해 최대심박수의 90퍼센트에 달하는 고강도 운동을 했을 때의 단점은 부상위험을 제외하면 무엇이 있을까요? 장점도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우두유두
23/11/29 12:31
수정 아이콘
운동역치점까지 빨리도달한다? 대신 중간에 심혈관계 문제가 발생할수있다?
23/11/29 12:47
수정 아이콘
애초에 두 가지를 같은 시간 운동한다는 전제로 비교하면 안 될 것 같은데요.
존 2로 보통 1시간 정도 하는데 그 시간 내내 전력질주를 하는 트레이닝도 있을까요?
반대로 전력질주 훈련 시간만큼(1분이라고 치든 10분이라고 치든) 존 2 속도로 뛰면서 운동했다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고강도 인터벌 한다면서 인터벌 구간을 존 2 강도로 하지도 않습니다.
페로몬아돌
23/11/29 12:53
수정 아이콘
의사 쌤 유튜브 보니 존2에서 오래 시간 운동하면 심장 자체가 커지고 존4,5에서 놀면 심장 근육이 쎄진다고 이런식으로 비교를 해주더라구요. 그래서 저강도 고강도를 둘 다 해줘야지 크로스핏 하는 까루한테 너는 고강도는 충분하니 속도 8로 90분 운동하는 저강도를 반드시 하라고 하더라구요. 한마디로 목표 자체가 다릅니다.
돔페리뇽
23/11/29 12:58
수정 아이콘
최대심박수의 일정 퍼센트(60~70퍼센트 등) 구간을 활용하는 것이 운동효율에 좋다는 것이 많이들 회자되는 이야기입니다만
--> 운동효율에 좋다는게 아니라 지방연소에 가장 좋다는거 아닌가요?
23/11/29 13:53
수정 아이콘
지방 연소에도 좋고, 유산소 능력 향상의 효율 자체가 존 2에서 제일 높다더군요.
존3 , 4, 5의 능력을 동시에 밀어 준다고...
물론 더 높은 성장이나 대회 기록을 위해선 위쪽 훈련도 필요하지만요.
alphaline
23/11/29 13: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강도 장시간 운동(LSD)과 고강도 인터벌 운동은 발달 영역이 달라서 최대 퍼포먼스를 위해서는 둘 다 필요합니다
프로 레벨 유산소 종목 선수들의 LSD 투자 시간은 상상 이상이라 '같은 시간' 운동한다는 전제는 불가능합니다
사이클링의 경우 주당 18시간, 한 세션에 휴식 없이 5~7시간을 굴리기도 하니까요

물론 생업 등의 이유로 주당 투자 가능한 시간이 4~5시간 정도인 일반인이라면 LSD를 배제하고 최대한 고강도로 플랜을 짜는 것이 효율적이긴 합니다만
그렇다 해도 4~5시간을 모두 고강도 인터벌로 채우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회복이 안 돼요
억지로 훈련 시간을 채우면 오버트레이닝 상태가 되면서 퍼포먼스도 안 오르고 몸은 만신창이가 되는 악순환에 빠집니다
23/11/29 13: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존2 (60-70%)는 미토콘드리아 숫자가 들어나면서 지방연소 메타볼리즘을 더 효율적으로 하는거고 (유산소)
존3 (70-80%)는 심폐기능 강화 (유산소/무산소 섞임)
존4 (80-90%)는 VO2 맥스와 젖산 역치를 높입니다. (무산소)
티나한
23/11/29 13:19
수정 아이콘
각 영역별로 목적이 다르다는 거군요. 제가 얼마전 수영을 시작했는데, 잘하는 남들을 허겁지겁 쫓아가다 보니 힘들더라고요. 워치를 보면 할때마다 평균심박 150근방(130~190)에서 한시간씩, 몇주째 주 3~4회 이상 하고 있어서 이거 괜찮긴 하겠지 하는 의문이 좀 들어서 질문드렸습니다. 답변 모두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3840 [질문] 흰머리 진정 뽑으면 안되나요? [13] 교자만두10166 23/12/04 10166
173839 [질문] 한국의 LLM, AI 관련 현황은 어떤가요? [11] 사람되고싶다8666 23/12/04 8666
173838 [질문] pc 완본체 검토 부탁드립니다. [10] 웁챠아10580 23/12/04 10580
173837 [질문] 서울 디저트 (케이크) 맛집 추천 부탁드려요! [9] 벤자민비올레이8498 23/12/04 8498
173836 [질문] 로지텍 mx master와 mx keys 페어링 전환 질문 [5] 밝은세상8930 23/12/04 8930
173834 [질문] 이영도 작가 소설 추천 부탁 드립니다. [25] 모나크모나크8238 23/12/03 8238
173833 [질문] 모니터 추천 부탁드립니다 [7] PENTAX8162 23/12/03 8162
173832 [질문] [LOL] 22 월즈 데프트의 우승에 대한 T1팬분들의 기분 [35] 오하영9079 23/12/03 9079
173831 [질문] 부모님이 쓰실만한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Story8418 23/12/03 8418
173830 [질문] 유주택자가 되면 연말 정산에서 바뀌는 게 있을까요? [4] Riffrain7481 23/12/03 7481
173829 [질문] 이건 인공위성 발사체 부분일까요? [3] 도롱롱롱롱롱이8740 23/12/03 8740
173828 [질문] 전입신고 질문 [3] 승뢰7783 23/12/03 7783
173827 [질문] 수학 문제 질문입니당 [5] 월터화이트7596 23/12/03 7596
173826 [질문] 백화점에서 코트를 구입하려고 합니다 [6] 꿀벌8252 23/12/03 8252
173825 [질문] 엣지에서 크롬의 확장을 자꾸 끌고옵니다. [1] Skyfall7172 23/12/03 7172
173824 [질문] 무릎을 꿇는 자세는 무조건 안 좋은가요? [14] 레뽀9318 23/12/03 9318
173823 [질문] 은행 창구에서 이체나 출금하려면 통장이나 카드 필요하나요? [11] 블랙리스트9239 23/12/03 9239
173822 [질문] 랑그릿사 모바일 육성 관련 질문입니다. [5] 클레멘티아8428 23/12/02 8428
173821 [질문] 첫 차 구매 고민 중입니다. [52] 사계10606 23/12/02 10606
173820 [질문] 주차중 트럭에 사고를 당했는데요. 수리 방법 질문입니다. [5] libertas9202 23/12/02 9202
173819 [질문] 허벅지 통 큰 브랜드 없나요? [7] 월터화이트8806 23/12/02 8806
173818 [질문] 모니터 질문입니다. [26] 하아아아암9549 23/12/02 9549
173817 [질문] 요즘 커피만 마시는 소개팅 많이 하나요?? [16] 아이폰1211749 23/12/02 117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