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1/13 10:08:41
Name 앗흥
Subject [질문] 웨이트 후 근육통 오래가는 건 뭐가 문제일까요
웨이트 트레이닝 후 근육통이 특히 더 오래가는 사람은 뭘 챙겨야 할까요?
잘 먹고 잘 자고 이런 너무나 당연한 거 외에 신경 쓰면 좋을 게 있을까요?

마른 몸으로 살 찌우려고 예전에 웨이트를 했던 적이 있는데 남들보다 근육통 회복이 더뎌서 고생을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남들보다 유난히 회복이 더디니까 운동 스케줄 짜기가 되게 난감하더라고요. 추천 루틴 같은 것도 그대로 적용할 수가 없었습니다.

어디 제대로 조지면 회복되는 데 일주일이 넘게 걸렸던 거 같습니다.
단백질 양 계산하면서 하루에 여섯 끼 먹었으니까 먹는 게 부실했을 것 같진 않은데...
수면이 부족하긴 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앵글로색슨족
23/11/13 10:11
수정 아이콘
안쓰던 근육 사용하게되면 지연성 근육통인가 뭐시기가 올 가능성이 높긴 한 것 같더라고요
같은부위를 지속적으로 조지면 그 근육통 기간이 줄어드는건 맞는 것 같고
티바로우
23/11/13 10:20
수정 아이콘
근육통이 확실한거면 그냥 난 남들보다 헬스장 덜가도 된다~ 개꿀~ 외치면서 쉬시면 될것같은데요 크크
근육통이 아니거나 상부승모같은데가 아픈경우가 문제지
저번에 마사지 받으면서 마사지사한테 듣기로는, 마사지 꾸준히 주기적으로 받으면 빨리 풀린다곤 하더라고요
(그냥 어쩌다 한번 받는건 오히려 더 아플수도 있다고...)
돔페리뇽
23/11/13 10:31
수정 아이콘
DOMS
반복하면 점점 짧아진다, 끝나고 스트레칭해라, 단백질 잘 챙겨먹어라 등등 여러 조언이 있지만
결론은 회복력은 사람마다 다르다...
23/11/13 10:31
수정 아이콘
일단 잠부터 푹 주무시고, 초보자는 일단 많이 가는게 중요하기 때문에 운동 강도를 좀 낮추는 방향으로 진행하시죠!
23/11/13 10:38
수정 아이콘
아기 둘 키우느라 도저히 수면을 늘릴 수가 없습니다. 엉엉...
근데 아기 키우느라 체력이 후달리는 걸 느껴서 운동을 해야겠는데, 휴식이 제대로 안 되니 또 문제가 되고.........
돔페리뇽
23/11/13 10:43
수정 아이콘
4~5 분할 하세요
회복 안되면 상황에 맞춰서 해야죠 뭐.....
23/11/13 10:46
수정 아이콘
체력을 키우고 싶으시다면 근력운동 보다는 유산소를 하시는게 더 적합할거예요. 지친몸에 근력운동하면 다치고 역효과납니다..; 애초에 근력운동 자체가 몸에 부하를 회복하는건데요... 회복이 안되면 그냥 노동입니다 노동
23/11/13 10:44
수정 아이콘
그냥 초보자라서 그렇습니다. 저중량 고반복으로 무분할로 가보세요. 매일 or 주 3~5회 하시면 근육통 오는 기간이 점점 짧아지고 저강도라서 그정도로 심각한 근육통이 오지도 않습니다. 횟수와 중량이 충분히 오르면 그때부터 분할하시면 됩니다.
23/11/13 10: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처음 하면 근육통 5일 6일 가는게 당연한건데 근육통 있어도 가벼운 강도로 같은 부위 하시고
꾸준히 하시면 강도 확 올리지 않는 이상 근육통 안옵니다.

사람마다 회복력이 다른것을 체험할려면 몸 대비 최상위 수준의 강도를 정기적으로 조졌을때
버텨내는 사람과 못 버텨내는 사람이 있는거지 초보자 수준에서는 그런거 없...

초보자는 프로그램 따라하시면 안되고 몸 푼다는 느낌으로 저 중량 고반복으로 3-6달 체력 키워서
프로그램 따라갈만한 기초체력 만드시고 하셔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3597 [질문] 컴견적 검토 질문 드립니다 [4] anSeoyo7472 23/11/17 7472
173596 [질문] 여러 개의 텍스트파일에서 단어 바꾸기 [8] 김리프7339 23/11/17 7339
173595 [질문] 비상금을 어떻게 관리하는게 좋을까요? [7] 외쳐2211136 23/11/17 11136
173594 [질문] 농촌체험관광 2박 3일 정도 하고 싶은데 어디서 찾는게 좋을까요? 그때가언제라도8851 23/11/17 8851
173593 [질문] 친구 집들이 선물로 샴페인 사려고하는데 어디서 사면 좋을지 궁금합니다. [5] 잡식토끼8985 23/11/17 8985
173592 [질문] e스포츠에서 감독의 중요성? [12] 로켓8172 23/11/17 8172
173591 [질문] 이 노래들과 비슷한 노래 추천해주세요! [1] 오렌지망고6432 23/11/17 6432
173590 [질문] 겨울철 난방 질문입니다 [3] Rays7433 23/11/17 7433
173589 [질문] 사무용 컴퓨터 윈도우 포함 저렴한 제품 추천 부탁드려봅니다. [10] Red Key7835 23/11/17 7835
173588 [질문] 컴견적 요청드립니다. [8] 두번째봄9135 23/11/17 9135
173587 [질문] 드라마 '최악의 악' 마지막 내용 질문있습니다 (당연히 스포) [8] 삼성전자7439 23/11/17 7439
173586 [질문] bgm 찾습니다. 도와주세요. (m4a 첨부) [2] BlueTypoon6680 23/11/16 6680
173585 [질문] 친선경기랑 월드컵2차예선에 VAR이 왜 없나요? [3] w8498 23/11/16 8498
173584 [질문] 정치인은 뭘로 돈을 버나요?? [17] 꿀벌9783 23/11/16 9783
173583 [질문] 그랜저 하이브리드 vs k8 하이브리드 선택 고민입니다. [10] 기억의습작9401 23/11/16 9401
173582 [질문] 배민1 배달지연 어떻게 해야 하나요? [5] 던지진않습니다9155 23/11/16 9155
173581 [질문] 아이폰 마이그레이션 좋나요? [6] beloved6999 23/11/16 6999
173580 [질문] 듀얼모니터가 이러면 노트북 문제일까요? [2] meson7507 23/11/16 7507
173579 [질문] 디아블로4 하시는분 계신가요? [7] 서큐버스8193 23/11/16 8193
173577 [질문] 이탈리아 여행 질문입니다 [12] Alfine7281 23/11/16 7281
173576 [질문] 철학자 하이데거 좋은 입문 책 있을까요? [3] 휵스7940 23/11/16 7940
173575 [질문] 면허없는데 차량 소유권 이전 가능한가요? [3] 오마하이8950 23/11/16 8950
173574 [질문] 불법유턴 vs 과속 교통사고로 경찰 조사 예정입니다 [13] 기억의습작8705 23/11/16 870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