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1/09 14:09:18
Name 우주전쟁
Subject [질문] 경계성 혈압이라고 하는데 식사 조절해야겠죠? (수정됨)
오늘 건강검진 받았는데 혈압이 134/67이 나왔습니다. 경계성 혈압이라고 하네요.
운동은 꾸준히 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체중(176cm에 96kg)을 줄이고 식단을 조절해야겠죠?
운동과 식단조절만으로 혈압을 정상으로 낮출 수 있을까요? 아니면 약을 처방받아서 복용해야 할까요?
고혈압 약은 일단 먹기 시작하면 죽을 때(?)까지 먹어야 한다고 해서 좀 꺼려지긴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1/09 14:15
수정 아이콘
나이, 흡연, 기저질환 등에 따라 다르지만 저정도 혈압으로 약 바로 시작할 필요는 없을 듯 하고, 음주/흡연하시면 중단, 체중감량, 식이조절(안짜게 먹기....) 하시면 혈압은 충분히 조절될 가능성 높습니다. 혈압기계는 하나 구비하셔서 정기적으로 재는걸 추천드립니다.
덴드로븀
23/11/09 14:18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3717928?sid=102
[생활속의 건강이야기] 경계성혈압 어떻게 대처해야하나 - 2017.01.22.
강재헌 < 인제대의대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희소식은 경계성혈압이 있는 사람 중 상당수가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하는 것만으로도 혈압을 낮춰 정상 혈압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는 사실이다.]

[첫째로 식습관 개선이 중요하다. ]
둘째로 유산소 운동 중 하나를 골라 하루에 30분 이상 매일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게 좋다.

당연하게도(!) 생활습관 개선만으로도 정상범위로 돌아갈수있다고 합니다.
우주전쟁
23/11/09 14:19
수정 아이콘
운동은 러닝을 꾸준히 하고 있으니 결국 관건은 식단조절이겠네요. 국물음식이나 라면 같은 거 줄여야겠네요.
위의 두분 조언 감사드립니다.
HighlandPark
23/11/09 14:29
수정 아이콘
국물이나 라면 뿐만이 아니라 탄수화물 섭취 자체를 줄이셔야 될 것 같습니다. 체지방률이 어떻게 되시는지 모르겠지만 키/체중만 두고 봤을때 비만이실 확률이 높은데, 단당류 끊으시고 탄수화물도 GI 지수 낮으신걸로 제한 두는 방향의 식단 꾸준히 하시면.. 물론 간식/야식 끊으셔야 하구요. 물 많이 드세요.

휴대용 혈당 측정기 별로 안비싼데 하나 사셔서 아침 공복혈당/식후 혈당 체크하시면서 기록하시는 버릇 들이시면 좋습니다.
우주전쟁
23/11/09 14:33
수정 아이콘
탄수화물은 최근에 좀 줄여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좀 더 삑시게 해야겠네요.
돔페리뇽
23/11/09 14:42
수정 아이콘
금연 + 체중조절
우주전쟁
23/11/09 16:43
수정 아이콘
어차피 담배는 안피우고 있어서 결국 체중조절이네요...;;
수타군
23/11/09 15:04
수정 아이콘
글에 묻어가는 질문인데 저는 185/88에 140 이상을 받았습니다. 무조건 음식과 운동을 해야 하는 상황이겠죠 ㅠ?
SAS Tony Parker
23/11/09 15:19
수정 아이콘
어우 약 받아드세요..
수타군
23/11/09 15:39
수정 아이콘
허미....약 먹어야 하는 수준 인가요 ㅠ
cruithne
23/11/09 16:10
수정 아이콘
병원 가세요...ㅠㅠ 의사가 잔소리 잘 해줄겁니다.
이민들레
23/11/09 15:18
수정 아이콘
혈압약을 드시기 시작하면 못끊는게 아니라 혈압약은 그냥 결과에 불과해요. 지금 혈압 조절가능하면 약드셔도 조절되요.
우주전쟁
23/11/09 16:43
수정 아이콘
결국 생활습관을 바꾸는 것이 핵심이군요...;;
엘브로
23/11/09 17:22
수정 아이콘
이게 정답이죠
생활습관과 음식습관을 바꿔야 하는데..
평생습관이 안되니, 약을 끊는게 어려워요
하우두유두
23/11/09 16:42
수정 아이콘
체중조절하니까 혈압은 떨어지데요...
우주전쟁
23/11/09 16:43
수정 아이콘
저도 희망을 가져봅니다...ㅜㅜ
비행기타고싶다
23/11/09 17:25
수정 아이콘
근데 혈압약 나이어릴떄(40대) 부터 먹어도 상관없다고 하더라고요 의사가요.
혈압약 먹기 시작하면 죽을때까지 먹어야죠. 식단, 운동 안하는 사람들은 끝까지 안할테니....
짐바르도
23/11/09 19:10
수정 아이콘
혈압으로 꾸중 듣고 식단 체중 조절해서 약 필요없는 건 하늘에서 유니콘이 뿔부터 떨어져 그거 맞고 죽을 확률이라고... 의사가 본인 데이터로 말하더라고요 크크
23/11/09 19:27
수정 아이콘
제가 혈압이 높아서 6개월을 꾸준히 매일 아침 저녁 10km씩 런닝했는데
언제부터인지 아침에 100 넘기도 힘들더라구요..?;;
런닝을 좀 줄이니 요즘 100~110 정도 꾸준히 나옵니다.
운동하세요
더파이팅
23/11/10 02:13
수정 아이콘
나이 40 넘어서 고혈압 진단 받으신 분들은 그냥 비타민 이것저것 먹는 것 보다 고혈압 약 먹는게 훨씬 몸에 좋습니다... 고도비만 아닌 이상에야 평균에 근접한 분들은 체중관리, 식단관리 한다고 해도 생각보다 안 떨어지고 떨어진 사례가 있는 분들은 했제~ 하실 수도 있지만 100명중에 1,2명입니다.
혈압, 고지혈증, 당뇨는 그냥 약 드세요. 비타민 먹고 이것저것 몸에 좋다는 거 먹는거 보다 100배 몸을 보호해줄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3526 [질문] 이직은 연봉협상&인상 후 직후에 하는 게 제일인가요? [5] 호비브라운8679 23/11/13 8679
173525 [질문] 허리환자에 좋은 침대 매트릭스 제품 아시는 분 있나요? [7] 독각9138 23/11/13 9138
173524 [질문] 이 노트북 사무용으로 어떨까요? [15] Red Key9009 23/11/13 9009
173523 [질문] 하드디스크용량이 500메가~10기가로 변하는데 이유가 뭘까요? [3] 붕붕붕8143 23/11/13 8143
173522 [질문] 스피치 학원 다닐만 한가요? [1] 상한우유7095 23/11/13 7095
173521 [질문] 맥북(c타입용) 시건락 사용하시는분 계신가요? [1] BlueSKY--9241 23/11/13 9241
173519 [질문] 티니핑 캐릭터랑 이거 좀 비슷하지 않나요 [9] 앗흥8128 23/11/13 8128
173518 [질문] 부모님 한의원에서 쓰실 PC 구매 상담 여쭤봅니다 [22] 일신12756 23/11/13 12756
173517 [질문] 5.18역사왜곡처벌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2] 칭찬합시다.9552 23/11/13 9552
173516 [질문] 스케쳐스 운동화 질문입니다. [2] chatGPT7738 23/11/13 7738
173515 [질문] 혹시 이번주 결승 단관하는 펍이나 음식점 있을까요? [2] 백년후 당신에게8678 23/11/13 8678
173514 [질문] 더마블즈 보신분들 질문 [5] 앵글로색슨족7568 23/11/13 7568
173513 [질문] 웨이트 후 근육통 오래가는 건 뭐가 문제일까요 [9] 앗흥8695 23/11/13 8695
173512 [질문] 스팀에서 할인하는 삼국지를 사려고 합니다. [8] kogang20019254 23/11/12 9254
173511 [질문] 고사양 노트북 추천 [6] 일없다9436 23/11/12 9436
173510 [질문] 롤알못인데요. 결승대진 티원이 정배인가요? [29] Judith Hopps9825 23/11/12 9825
173509 [질문] 지스타 안내를 맡게 됐는데 부산 가볼만한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서린언니9238 23/11/12 9238
173508 [질문] 대전 롤드컵 결승 볼만한데 있을까요 [8] 하나9338 23/11/12 9338
173507 [질문] 갤럭시워치 LTE 사용하시는 분 계신가요? [2] Rei7750 23/11/12 7750
173506 [질문] 로스트아크 입문해보려고 합니다 [9] Rsunny11190 23/11/12 11190
173505 [질문] 보험업계 면접을 앞두고 있습니다. [4] 한번에가자8209 23/11/12 8209
173504 [질문] 3년 퇴직 제한 걔약 후 퇴사 권유 [12] YouCanBeAStar9583 23/11/12 9583
173503 [질문] 카메라 때문에 핸드폰을 바꾸는 경우가 많나요? [27] beloved9337 23/11/12 93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