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1/08 01:24:26
Name 랜슬롯
Subject [질문] 시험(대회)전날밤 공부 중요하다 vs 쉬는게 중요하다 여러분의 선택은? (수정됨)
T1 vs LNG 1경기 밴픽 시작직전에 티원 쪽으로 카메라가 잡히는데 구마유시 선수가 하품하는 장면보고 문뜩 떠오르는 생각입니다.

실제로 페이커선수의 경기직전 하품도 한때 승리의 예감(?)으로 주목받았던 시절도 있고

대부분 롤선수가 중요매치전에 피로로 하품하는 걸로 알거든요.



제가 알기로 대회를 앞두고 전날밤에 그냥 푹 자고 쉬고 나오는 경우보단 끝까지 게임 하고 끝까지 조합 연구하고 이야기하고

잠은 그렇게까지 길게 (보통 <6시간 미만)으로 자고 대회를 나오는 경우도 많은 걸로 알고있고


시험의 경우도 시험전날밤에 벼락치기가 아니더라도 공부를 더 하고 나오는 경우도 많다고 아는데 (밤샘까진 절대 아니고)


여러분의 생각/패턴이 궁금합니다.


중요한 시험 or 중요한 매치가 있는 전날 밤에

푹 잔다 vs 어느정도 빡세게 마지막까지 하고 들어간다.


참고로 여기서 푹잔다의 기준이 사람마다 다 다를 수 있으니까, 기본적인 성인의 권장 수면시간인 7-8시간 이상 자면 푹잔다로 치겠습니다.

6시간이하는 어느정도 빡세게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1/08 01:33
수정 아이콘
저는 푹 잔다 쪽입니다.
23/11/08 01:51
수정 아이콘
대학때 무적권 밤새고 갔습니다. 그게 더 잘봤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힐러리 한
23/11/08 01:59
수정 아이콘
평소에 했으면 평소처럼 하던가 한시간 정도 더 자는게 좋았습니다. 하지만 벼락치기 상황은 그런게 중요하지 않죠
마리아 호아키나
23/11/08 02:12
수정 아이콘
공부한게 별로 없다면 밤새서 조금이라도 더 보는게 좋고, 장기간 준비를 잘 했으면 푹 자는게 좋죠.
배고픈유학생
23/11/08 02:34
수정 아이콘
암기과목은 끝까지 외우고
수학같은 두뇌활용은 미리자는게 좋죠
티아라멘츠
23/11/08 02:45
수정 아이콘
대학때는 무조건 밤샜는데 수능때는 아닙니다.
내가 해도해도 부족하고 시간지나면 까먹는다=밤샘
아니 여기서 더한다고 뭐가 달라지나=푹잠
이민들레
23/11/08 07:09
수정 아이콘
선수는 푹자고 코치진은 밤을 새는게 좋을거 같네요
이정후MLB200안타
23/11/08 07:57
수정 아이콘
오전 시간대 시험이면 서너시간 최소한으로만 자고 오후 시간대 시험이면 푹 자고 당일 오전에 조져야죠
23/11/08 08:05
수정 아이콘
10대, 20대면 6시간 자도 되지않나 싶기도..
23/11/08 08: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선수들 하품하는건 피곤해서 하는건 아닐 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제 경험상 중요한 무대 서기 직전 긴장될 때 하품이 좀 나더라구요.
돔페리뇽
23/11/08 08:34
수정 아이콘
항상 거의 밤샘했던거 같네요
23/11/08 08:46
수정 아이콘
시험 나름이겠죠.
중간이나 기말고사 같은거 밤새고 가는사람은 있어도 수능 밤새고 보러가는 사람은 많지 않을듯
Burnout Syndrome
23/11/08 09:13
수정 아이콘
푹 자지 않고.. 쪽잠을 자더라도 빡세게 마지막까지 하고, 두뇌를 예민한 상태로 만들었을 때 결과가 잘 나왔던 것 같아요
김삼관
23/11/08 09:17
수정 아이콘
조금 딴 소리로 새자면 하품하는 것은 긴장했을때 나오는 반응이기도 합니다. 선수들이 피곤해서 나오는 반응만은 아닐거에요.
저는 스퍼트 기간에는 4시간 자면서 공부해도 괜찮았는데 사람마다 다르니까 본인의 컨디션 조절과 리듬을 맞추는게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딱 특이케이스로 수능 전 날에는 푹 잤어요.
23/11/08 09:29
수정 아이콘
수능이나 고시같은 큰 시험 실전에 조금 강한 편인데
전날은 그냥 한 번 슥 훑고 릴렉스 했던 것 같네요 푹 자고
23/11/08 09:59
수정 아이콘
7시간 정도는 자는게 좋습니다.
몽키매직
23/11/08 10:11
수정 아이콘
저는 큰 시험 전 날은 항상 쉬었습니다.
수능 전 날에도 스타 함...
이혜리
23/11/08 10:21
수정 아이콘
시험 나름..
대학교 시험 같은 건 그냥 밤을 새면서 머리에 때려 박고 쏟아 내고 나왔고,
수능이나 고시급 시험은 밤 12시까지 공부하던 패턴을 7일에서 10일 전부터 수면사이클 조절해 가면서 최종적으로는 7시간 이상 잘 수 있도록 했었어요.
Winter_SkaDi
23/11/08 10:23
수정 아이콘
만약 오늘 4강을 이기고 내일 결승전이다? 그러면 새벽까지 하고 잠깐 자고 할 것 같고,
준비 기간이 그래도 있는 정도면 전날은 푹 쉬는게 최고인 것 같아요.
더존비즈온
23/11/08 10:38
수정 아이콘
결과 생각하면 푹 자는 게 항상 더 좋았던 거 같습니다.
러신머닝
23/11/08 10:51
수정 아이콘
게임대회처럼 게임 사이의 준비기간이 일주일 이내(한두달 이내까지)면 적게 자고 준비하는게 효과적이었습니다. 잠으로 올라가는 컨디션보다 몇 시간이라도 더 외우고 준비하는게 효과적이더라고요.
23/11/08 12:50
수정 아이콘
머리회전이 필요하면 푹 자야죠
중간 기말같은 경우는 머리회전보다는 암기가 중요해서 적게 자도 괜찮은 거고
롤대회는 무조건 푹 자야죠
짐바르도
23/11/08 13:46
수정 아이콘
간단 무식한 시험에서 멀어질 수록 그냥 자는 게...
콩순이
23/11/08 13:58
수정 아이콘
수능은 그냥 푹 잤고 대학땐 밤샘 자주 했네요. 다 결과는 좋았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3516 [질문] 스케쳐스 운동화 질문입니다. [2] chatGPT7885 23/11/13 7885
173515 [질문] 혹시 이번주 결승 단관하는 펍이나 음식점 있을까요? [2] 백년후 당신에게8800 23/11/13 8800
173514 [질문] 더마블즈 보신분들 질문 [5] 앵글로색슨족7718 23/11/13 7718
173513 [질문] 웨이트 후 근육통 오래가는 건 뭐가 문제일까요 [9] 앗흥8809 23/11/13 8809
173512 [질문] 스팀에서 할인하는 삼국지를 사려고 합니다. [8] kogang20019383 23/11/12 9383
173511 [질문] 고사양 노트북 추천 [6] 일없다9592 23/11/12 9592
173510 [질문] 롤알못인데요. 결승대진 티원이 정배인가요? [29] Judith Hopps9925 23/11/12 9925
173509 [질문] 지스타 안내를 맡게 됐는데 부산 가볼만한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서린언니9396 23/11/12 9396
173508 [질문] 대전 롤드컵 결승 볼만한데 있을까요 [8] 하나9505 23/11/12 9505
173507 [질문] 갤럭시워치 LTE 사용하시는 분 계신가요? [2] Rei7896 23/11/12 7896
173506 [질문] 로스트아크 입문해보려고 합니다 [9] Rsunny11395 23/11/12 11395
173505 [질문] 보험업계 면접을 앞두고 있습니다. [4] 한번에가자8375 23/11/12 8375
173504 [질문] 3년 퇴직 제한 걔약 후 퇴사 권유 [12] YouCanBeAStar9740 23/11/12 9740
173503 [질문] 카메라 때문에 핸드폰을 바꾸는 경우가 많나요? [27] beloved9525 23/11/12 9525
173502 [질문] 신축 아파트 천장 벽지에 갈색 점 같은게 생겼는데 뭘까요? [2] 블랙리스트11426 23/11/12 11426
173501 [질문] 페이셜 로션인데, 몸에 발라도 될까요?? [3] 마제스티9923 23/11/12 9923
173500 [질문] fm2024 지를만 합니까?? [12] kogang20019221 23/11/12 9221
173499 [질문] 영양제 한꺼번에 먹어도 되나요 ?? [2] 마제스티8412 23/11/12 8412
173498 [질문] 7800X3D 4080 견적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9] Skyfall9479 23/11/11 9479
173497 [질문] pc 악세사리 이름좀 알려주세요. [4] 쌍둥이아빠7884 23/11/11 7884
173496 [질문] 노트북 완전 모르는데 이거어떤지 봐주실수있나요 [8] 블루데이9192 23/11/11 9192
173495 [질문] 지금 고려거란전쟁 보고 계신분?!? [1] 골드쉽7128 23/11/11 7128
173494 [질문] 이번 롤드컵에서 나르가 조커픽이라고 생각하시나요? [19] 테네브리움8778 23/11/11 877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