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0/30 17:06:58
Name 안녕!곤
Link #1 https://www.11st.co.kr/products/2413266375
Subject [질문] 한쪽 다리 힘이 풀려 계속 넘어질 때, 보조도구가 있을까요? (수정됨)
일시적인 문제는 아니고 어머니께서 태생적인 소아마비가 있어,
몇십년간 가지고 있던 문제 입니다.

예전에는 몇년에 한번 넘어지셨는데, 최근 들어서 계단에서도 구르시고 주기가 거의 1주 단위로 짧아지고 있습니다.

한평생 지팡이 같은건 안 짚어 보셔서 드실거 같진 않고(팔힘도 약하셔서 사실 도움이 될지 잘 모르겠습니다),
무릎에 보조장치 같은거라도 해서 다리에 힘이 풀리는걸 어떻게 막아보려는데 방법이 있을까요...?

정형외과 가서 의료적인 도움은 받아볼 예정입니다.
의료 외적으로라도 방법이 있다면
(차량은 가능한 항상 타고 다니시지만 이동에 한계가 있습니다, 전동 휠체어 같은건 타시려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아무 링크 첨부했는데 이런 운동용 무릎 보호대도 도움이 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티바로우
23/10/30 17:11
수정 아이콘
성질이 급하신거면 보조기구 달아도 소용 없을거에요. 그만큼 더 팍팍 움직이다가 더 크게 다치실수도
그리고 지팡이 짚으면 약한쪽으로 짚는게 아니라 강한쪽으로 짚는거에요. 도움이 안되진 않아요
안녕!곤
23/10/30 17:17
수정 아이콘
약한 발을 대신한다고 생각했는데 반대였군요?
가장 쉽고 빠르게 도움될거 같은데 한평생 안하고 다니시던 분이라, 하실지 잘 모르겠습니다 ㅜ
그래서 좀 안 보이고 티안나는 방법을 생각 중인데 정 안되면 지팡이라도 말씀드려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티바로우
23/10/31 05:48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yH2s2v9U6OQ?si=wGKuX4Mq-hqHyWO0
이런식으로 걷는건데요... 성질 급하신분은 못버텨요 크크
가능하다면 아랫분 말씀대로 병원(어머님이 권위 느낄만한데로) 모시고 가는게 제일 좋긴 하겠지만. 본인에게 필요성을 납득시킬수 없다면 의미가 없긴 해요.
TheLasid
23/10/31 02:46
수정 아이콘
저는 의료 분야 종사자가 아닙니다.

제가 아래에서 드리는 말씀은, 소아마비 후유증은 아닐지언정 지병 때문에 보행 관련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으셨던 어머니를 모셨던 장기간 모셨던 경험과, 소아마비 관련 아티클을 나름 대로 찾아보고 알아낸 바를 고려하여 드리는 말씀입니다.
그러니 제 말을 가려서 들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일단, 정형외과보다는 재활의학과 쪽을 찾아가 보시는 편이 더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후유증이 관절 쪽으로 나타나시는 경우가 많다고 하고, 결국 어찌 되었든 보행 능력을 회복하시려면 교정과 근력 강화 등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워커(성인용 보행기)나 휠체어 같은 것을 권하실 듯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상황에 따라서는 큰 병원의 재활의학과나 관절센터에서 해당 질환을 전문으로 보시는 교수님께 진료를 받으셔야 수도 있을 듯합니다.

그리고... 말씀드리기 조심스럽습니다만, 1주에 한 번 꼴로 넘어지시거나 계단에서 구르는 사고를 겪고 계시는 것은 대단히 우려스러운 상황 같습니다.
다리에 힘이 빠지는 원인은 정말 여러 가지일 수 있고, 어머님께서 연세가 어떻게 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이런 증상이 반드시 소아마비 후유증으로 인한 것이라고 보장하긴 어려울 듯합니다.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지만, 넘어지시는 과정에서 머리에 충격을 입으셨을 수도 있고요. 골다공증 리스크가 있으시다면 뼈가 골절되셨을 가능성도 있습니다(연세가 있으신 한국인 여성은 대부분 골다공증 리스크가 있습니다).
천만 다행으로 아직 다치신 곳이 없다고 하더라도 계속 넘어지신다면 결국에는 어딘가를 다치실 듯합니다.
그래서 제 생각에는... 결국 큰 병원에 가셔서 진료를 보시는 게 맞는 상황일 것 같습니다.
어머님께서 자주 넘어지시고 이미 많이 넘어지셨다는 말씀을 드리면, 아마도 해당 과(정형외과든 재활의학과든)에서 두부 mri를 찍어봐야 한다든가, 타 진료과랑 연계를 해주실 테니 해당 과에서도 진료를 보시라고 하시든가, 무언가 지침을 주실 것으로 보입니다.

모쪼록 두 분 모두 평안하시길 빌겠습니다.
안녕!곤
23/11/01 23:25
수정 아이콘
진심어린 조언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정형외과에서 mri는 찍어보셨습니다. 균형이 안 맞는 상태로 오래걸어서 척추 쪽 문제 같은건 나왔는데 그 외는 괜찮으신거 같습니다.

재활의학과 쪽은 생각을 못했습니다. 전 정형외과에서 해결이 안되면 추천이나 권유를 해주는줄 알았습니다.

한번 이방향으로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하우두유두
23/10/31 12:44
수정 아이콘
엘보우크러치 같은거 사셔서 연습을 해보심이 어떤가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3371 [질문] 시즈오카여행 숙소위치좀 추천해주세요 [3] 티바로우9489 23/11/03 9489
173370 [질문] 당근으로 옷 팔았는데 구매자가 환불해달라고합니다 [24] ryush32111172 23/11/03 11172
173369 [질문] 블루투스 키보드 오류 문의드립니다. [3] 택배7959 23/11/02 7959
173368 [질문] 현대 캐스퍼에 대한 질문입니다. [19] reionel8075 23/11/02 8075
173367 [질문] 부산 광안리 해수욕장 인근 술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일월마가7412 23/11/02 7412
173366 [질문] 차 얻어탈 때 조수석에 앉는 게 예의 아닌가요? [72] 윤니에스타13261 23/11/02 13261
173365 [질문] 출국시 구매한 면세점 향수 귀국 시 기내반입 가능할까요 [6] 9686 23/11/02 9686
173364 [질문] 메인보드 led 왜 안꺼질까요? [5] 무츠8190 23/11/02 8190
173363 [질문] 도쿄 평일 한나절 정도 여행할 곳이 있을까요? [33] 레이오네7368 23/11/02 7368
173362 [질문] 사무용 노트북에서 배터리 부담 없이 즐길만한 게임? [12] 크로플8364 23/11/02 8364
173361 [질문] 포케 라는 음식 현지에서 드셔보신분 계신가요? [15] DENALI8687 23/11/02 8687
173360 [질문] 로지텍 마우스 질문입니다 [6] 월터화이트7333 23/11/02 7333
173359 [질문] 핸드폰 교체 추천 부탁드립니다! 현재는 A90 쓰고 있네요. [8] tnaksgdmstl7674 23/11/02 7674
173358 [질문] 롤 솔랭 승패시 점수가 이상한거 같습니다 [12] 불독맨션8777 23/11/02 8777
173357 [질문] 금리가 올라서 실생활에서 가장 영향 받는 소비는 어디일까요? [15] LG의심장박용택9372 23/11/02 9372
173356 [질문] 페러데이의 법칙 [18] 탐브레디8132 23/11/02 8132
173355 [질문] 방수되는 폰으로 실생활에서 어느정도 침수 되보셨나요 ㅜ [13] 안녕!곤7353 23/11/01 7353
173354 [질문] 주택담보대출 복수 신청 가능한가요? [4] Riffrain8060 23/11/01 8060
173353 [질문] 분실(?)카드를 타인이 사용했는데 처리방법 문의드립니다 [4] Ahri8317 23/11/01 8317
173352 [질문] 혹시 성인극화 제목을 알 수 있을까요? [2] 카서스7050 23/11/01 7050
173351 [질문] 대학병원 레지던트 마치고 바로 개업/페이닥터하는 경우가 많은지요..? [14] nexon7557 23/11/01 7557
173350 [질문] 수학 규칙 질문드립니다. [4] 택배7072 23/11/01 7072
173349 [질문] 동해안 - 통영까지 여행 질문 [1] 승뢰7343 23/11/01 73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