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0/22 17:15:28
Name 칭찬합시다.
Subject [질문] 전문적인 미술 평론가분들은 거장의 작품을 알아보나요?
과거 몇 번의 미술 전시회에 다녀올 기회가 있었습니다. 세계적인 거장의 작품도 있고, 전문 화가지만 지역에서 주로 활동하시는 명성을 떨치지 못한 분들의 작품도 있었습니다

제가 막눈인라 거장의 작품에서는 어떤 아우라를 느끼지 못했는데 오히려 그리 알려지지 않은 분들의 작품들이 더 크게 와 닿았습니다.

예술이야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른 가치를 느끼면 된다고들 하지만 미술계에선 분명 작가와 작품의 어떤 위계가 존재하고 생존 중인 프로들 사이에서도 작품의 가격이 수천배 차이가 납니다.

전문 평론가들의 안목으로는 이런 차이가 명백하게 눈에 보이나요? 작가 이름을 떼고 여러 새로운 작품들을 쭉 나열했을 때 평론가들 집단 내에서는 작품의 우열을 가를 수 있는 합의가 존재하나요?

현대미술이 저 같은 대중과 괴리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전문적인 훈련과 교육을 받은 사람들 사이에선 상호주관적인 합의된 평가기준이 있나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0/22 17:49
수정 아이콘
저도 잘은 모릅니다만 일반인과 전문가의 안목의 차이라면 (특히 현대미술이라면) 작품 하나하나를 고립시켜서 이 작품의 미술력은 얼마! 하는 식으로 보는 게 아니라, 다른 작품이나 시대 상황과의 관계를 같이 생각하게 될 겁니다. 거창한 말로 하면 미술사적인 맥락이라는 게 작용하는 거죠. 업계 외부인이 모두 알 수 없는 스토리텔링이나 인맥의 비중도 의외로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23/10/22 18:16
수정 아이콘
네 있죠. 어떤 분야든지 딥하게 들어가면 대중과 전문지식을 가진 집단간의 괴리가 일어납니다.
어떤게 비싸거나 고평가 받는 이유는 무조건 합리적으로 설명할수있다고 할수는 없지만 적당한 이유가 있습니다.
23/10/22 18: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티비에 나오는 것처럼 엉망진창인 작품이 고가에 팔리지는 않을 거예요.
서로 모아 놓고 나면 그림 자체가 좀 다릅니다.
저도 전 미술학도로서 그림 보라면 보이긴 합니다.
라는 얘기 보단 일단 모아 놓은 그림만 놓고 봤을 때 어떤가 하는 거네요.
일단 봐야 알겠습니다. 진짜 현대 미술 그림은 터치 하나도 중요해서요
파고들어라
23/10/23 00:07
수정 아이콘
예전에 외국 여행 갔을 때 그 도시에 있는 유명한 미술관을 미술 전문가 분이랑 간적이 있었는데요. (여기 왔으면 이 미술관을 꼭 가야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하심)
아우라를 느끼고 자시고 본인 전문 분야에서는 모든 작품을 달달 외우고 있었습니다. 작품에 대한 감상은 책과 자료로 물고 뜯고 씹고 맛보고 다 한 상태에서 "와! 실물을 봤다!" 정도의 감상을 보이시더라고요.
"앞으로 거장이 될 사람" 은 몰라도 "거장이라 불리는 사람" 의 작품은 대부분 이런 상태가 아닐까요?
칭찬합시다.
23/10/25 11:31
수정 아이콘
답변주신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3262 [질문] 역사적으로 코로나 대처는 어떻게 평가 받을까요? [24] Charli8416 23/10/27 8416
173261 [질문] 구매한지 3일된 편의점도시락 먹어도 될까요?? [13] 박용택_338315 23/10/27 8315
173258 [질문] 이두나 드라마 보신분들 평이 어떠신가요? [14] Lelouch10124 23/10/27 10124
173257 [질문] 크롬 업데이트 후 굉장히 무거워졌습니다. [21] ArcanumToss10248 23/10/26 10248
173256 [질문] 스팀링크로 디아4가 실행이 안됩니다. 카즈하8705 23/10/26 8705
173255 [질문] 최근에 정말 맛있었던 음식있으셨나요? [51] 레뽀10713 23/10/26 10713
173254 [질문] 맥으로 이주하는거 어떻게 보시나요? [29] 월터화이트9344 23/10/26 9344
173253 [질문] KBO 포스트시즌 이렇게 바뀌는 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8] 아엠포유9216 23/10/26 9216
173252 [질문] 고기 잘 삶는 것은 뭔가요? / 후라이팬 가격대 별 차이는 뭔가요? [16] Alfine9032 23/10/26 9032
173251 [질문] 부천, 인천에 의자 매장 큰 거 있나요? [3] 그때가언제라도8441 23/10/26 8441
173250 [질문] 아시아나항은 심야 도쿄발 인천착 항공편이 없는 건가요? [7] 8335 23/10/26 8335
173249 [질문] 스테이씨 유니폼 잘못입은거 이해가 잘 안되어서요 [6] 리니시아9924 23/10/26 9924
173248 [질문] 남현희 선수 관련 궁금한 사항입니다 [41] 시오냥12014 23/10/26 12014
173246 [질문] 이성과 데이트하기에 영등포 vs 부평 [16] 라리9395 23/10/25 9395
173245 [질문] 남자들 심리라고 해야할까요? 호구처럼 보이는 여자 문제라고 할까요ㅜㅜ [38] nekorean12215 23/10/25 12215
173244 [질문] 최악의 악에 윤수빈 아나운서 출연하셨나요? [3] Mele9024 23/10/25 9024
173243 [질문] 뉴질랜드 렌트카 운전 어려울까요?? [13] 이신아10025 23/10/25 10025
173242 [질문] 비지니스 노트북으로 뭐가 최고(?)일까요.. [16] WhiteBerry8958 23/10/25 8958
173241 [질문] 2012년식 스파크 차량 블루투스 연결 [11] 선호선호해9968 23/10/25 9968
173240 [질문] 슈퍼마리오 신작 팩으로 사야할까요 닌스토어 DL로 사야 할까요.. [8] 겨울삼각형9316 23/10/25 9316
173239 [질문] 중고차 구입시 보험문제 질문드립니다 [5] 여자친구9620 23/10/25 9620
173238 [질문] 페이스북이 해킹 당했는데 해결방법이 없을까요? 도움이 필요합니다 칭찬합시다.8185 23/10/25 8185
173237 [질문] 사진 백업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14] Alfine9162 23/10/25 916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