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0/09 15:58:26
Name nexon
Subject [질문] 밤 11시에서 다음날 새벽 2시 사이에 자야 좋다...? (수정됨)
안녕하세요..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62309

위 뉴스를 보면 밤 11시에서 다음날 새벽 2시 사이에 중요한 호르몬이 나오기 때문에 이 시간에 자야 좋다고 하는데요

인체에 물리적 시간이나 태양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이 있는 것도 아닌데

저 시간에만 중요한 호르몬이 나온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그리고 밤11시-새벽2시 이 이야기는 굉장히 오랫동안 언급되는 내용인데

실제로 의학적 근거가 있다면 누구나 태양의 위치에 따라 밤11시-새벽2시에만 호르몬이 나오도록 되어있다는 것인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페스티
23/10/09 16:12
수정 아이콘
흠... 요즘 핫한 앤드류 후버만도 저런 이야기는 안했던 것 같은데... 어쨌든 낮밤 바뀐 생활이 몸에 좋을리 없죠. 어지간히 젊지 않은 이상...
페스티
23/10/09 16:15
수정 아이콘
페스티
23/10/09 16:15
수정 아이콘
1.75배속으로 슥 보세요~
페스티
23/10/09 16:29
수정 아이콘
영상에서도 11시~2시라고 안하고 11시~4시 사이에 깨어있는 것이 안좋다고 말하고 있네요. 근거는 실험과 논문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제가 어플로 수면패턴 살펴보면 깊은수면이 2~3시간 정도 되던데 그 시간 정도는 저 사이에 끼도록 자는게 좋다는거겠죠.
23/10/09 16:14
수정 아이콘
이거 과학적으로 증명 된거라고 들었습니다

[인체에 물리적 시간이나 태양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이 있는 것도 아닌데]

이게 인류가 수천년을 살아오면서 진화 과정에 생체 리듬으로 몸에 박혀있다고 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밤 10시 이후에 4시간 자는거랑 새벽 두시부터 4시간 자는거랑 몸이 회복하는 정도가 엄청 차이난다고
23/10/09 16:21
수정 아이콘
인간의 신체가 태양빛에 반응한다는 정도는 이해가 됩니다. @@

그런데 여름과 겨울만 해도 태양이 뜨는 시간이 2-3시간은 차이가 나는데도 밤11시-새벽2시는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일까요..? (예컨대 여름에는 밤11시-새벽2시이지만 겨울에는 새벽1시-새벽4시여야 하는 것이 아닌지..)

만약 태양빛에 반응하는 원리가 아니라 다른 원인으로 생체리듬에 박혀있다면 왜 하필 밤11시-새벽2시가 해당 호르몬의 분비시간이 된 것일까요..? @.@
지금만나러갑니다
23/10/09 16:45
수정 아이콘
여름이든 겨울이든 항상 해가 져있는 코어시간이겠죠. 정확한 시간은 연구마다 다 조금씩 차이있는거 같고, 아마 사람마다도 조금씩은 다를거구요. 다만 밤11-새벽2시는 왠만한 사람이 다 포함되는 코어시간일 확률이 높겠죠.
회색사과
23/10/09 16:17
수정 아이콘
비전문가고 상상이지만

태양의 위치보다는 일조량이랑 관계가 있지 않을까요?

빛이 가장 많은 시간 - 활동해야하는 시간 - 낮 - 이 때에는 수면이나 회복과 관련된 호르몬 분비가 안 되게 되어 있고

그 정 반대에는 휴식을 취하고 성장하라고..
23/10/09 16:22
수정 아이콘
일조량 측면에서도 여름과 겨울만 해도 태양이 뜨는 시간이 2-3시간은 차이가 나는데도 밤11시-새벽2시는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일까요..? (예컨대 여름에는 밤11시-새벽2시이지만 겨울에는 새벽1시-새벽4시여야 하는 것이 아닌지..)
회색사과
23/10/09 16:34
수정 아이콘
일조량 자체는 위치/계절에 따라 다르겠지만

하루 중 해가 가장 센 시간은 12시로 고정 아니겠습니까?

그걸 기준으로 몸의 사이클이 맞춰진게 아닐까 했습니다.

해가 가장 센 시간:12시
해가 가장 센 시간이 돌아오는 주기: 24 시간.

그럼 한밤중 = 밤 12시 —> 그 전후는 쉬는 시간
마술사
23/10/09 16:19
수정 아이콘
지구에 인간이 한곳에서만 사는것도아니고
인간들의 시간선이 다 다른데 11시~2시에만 호르몬이 나온다는건 이해가 안가네요
정말로 과학적인 증명이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지금만나러갑니다
23/10/09 16:43
수정 아이콘
절대적 시간이 중요한게 아니라 해가 지고나서 그다음 해가 뜨기전까지 시간 중 가장 코어 시간(대략 밤10~ 새벽3시) 에 수면이 드는걸로 호모 사피엔스가 진화해왔겠죠.
그래서 한국사람이 미국가도 처음 시차적응은 힘들지만, 거기패턴에 적응하면 다시 그 지역에서의 해가 뜨고 지는 시간에 맞춰 생활하는게 리듬에 맞게되는거구요.
이민들레
23/10/09 16:27
수정 아이콘
멜라토닌 얘기같은데요
유료도로당
23/10/09 16:37
수정 아이콘
일단 현대 과학은 생각보다 우리 몸 (특히 뇌와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는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더 근원적으로 왜 반드시 잠을 자야하는가? 라는 질문에 대해서도 (대충 설명은 하지만) 완벽하게 규명된 바 없다고 알고 있어요. 호르몬 분비나 생체리듬관련해서도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부분이 더 많긴 할겁니다.

관련 논문을 찾아보진 못했지만 일단 추정컨대 특정 시간도 아니고 시간 레인지가 넓게 잡혀있으니 뭐 시간대를 가지고 반박하는건 크게 의미 없을 것같습니다 (기사에 의사분은 10시부터 2시까지로 제시하시네요) 대충 일몰 후 6시간 전후해서 호르몬의 분비가 제일 활성화되도록 생체리듬에 박혀있다거나 그럴수도 있겠고, 아니면 그냥 밤에 규칙적으로 잘 자는게 중요하다는걸 지도하기 위한 의미로 대충 저 시간대에는 잠들어있어라는 의미로 얘기했을수도 있을것 같네요.

생체리듬은 전 지구인이 다 같지는 않을거고 역사적으로 주로 살아온 위도에 따라 민족별로 좀 다르게 진화했을수는 있을것 같습니다.
마술사
23/10/09 16:54
수정 아이콘
호모사피엔스가 나타난 이후에도 빙하기 간빙기를 거치면서 민족들도 계속 이동해왔을텐데
겨우 몇천년 같은위도에 산거가지고 그 위도 시간에 맞춰서 진화했다는게...믿기가 어렵네요
23/10/11 23:34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3097 [질문] 제주도 고등어회 맛집 있을까요? [15] 모찌피치모찌피치10318 23/10/16 10318
173096 [질문] 세금계산서 발행 질문 [5] 리얼포스10548 23/10/16 10548
173095 [질문] LG헬로비전 요거는 쓸만한가요 [8] DogSound-_-*9779 23/10/16 9779
173093 [질문] 부동산 공부 관련 질문입니다. [11] 리스 제임스10598 23/10/16 10598
173092 [질문] 특이한 알람시계 없을까요? [12] 펩시제로라임9151 23/10/16 9151
173091 [질문] 기화식 가습기(디스크형)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대박8705 23/10/16 8705
173090 [질문] 웨딩 촬영 하는데 팁 있을까요 [19] Alfine8484 23/10/16 8484
173087 [질문] 차량 앞 범퍼 손상 이 정도이면 교체가 필요할까요? [19] GoThree11554 23/10/16 11554
173088 [질문] 아이폰 홈화면 가는 방법 [4] phoe菲7958 23/10/16 7958
173086 [질문] 긴급... 송도에 잘하는 정형외과 있을까요(친한 동생 부상) [9] SAS Tony Parker 8284 23/10/15 8284
173085 [질문] 팔레스타인을 우리나라로 치면? [17] 느나느나타임10929 23/10/15 10929
173084 [질문] 신호위반 차량 신고할 방법이 없을까요? [12] 니체9191 23/10/15 9191
173083 [질문] 향수를 사고싶습니다. [14] 쉬군9087 23/10/15 9087
173080 [질문] 프리도스 노트북 윈도우 11 다운로드 질문 [7] 소꿉7620 23/10/15 7620
173079 [질문] 베란다 누수 보수 관련 문의드립니다. [2] 허느11512 23/10/15 11512
173078 [질문] 러닝머신 vs 야외달리기 [5] Grundia9497 23/10/15 9497
173077 [질문] 미국 여행 가서 뭐사면 좋을까요? [10] 9482 23/10/15 9482
173076 [질문] 영문 필기체 독해 도와주실분 [5] 차이10432 23/10/14 10432
173075 [질문] 샤오신 패드 프로 2023 12.7 과 p12 놓고 고민중입니다!! [1] 능숙한문제해결사11032 23/10/14 11032
173074 [질문] 아이폰 수급문제 원래 이지경인가요? [7] 샤한샤8961 23/10/14 8961
173073 [질문] 잡념 없애는 노하우 구합니다 [25] 일신11261 23/10/14 11261
173072 [질문] PC 2대, 모니터 3대를 이 그림과 같이 구성해서 쓰는데 문제 없을까요? [9] 마구마구10386 23/10/14 10386
173071 [질문] 임플란트 볼씹힘 조정, 다른 치과로 가도 되나요? [5] 바쿠8990 23/10/14 899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