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9/06 19:01:26
Name This-Plus
Subject [질문] 법무사 통해서 등기 치면 난이도가 얼마나 쉬워지나요?
곧 첫 등기를 쳐야 해서 신경이 쓰이는데

법무통인지 하는 앱을 통해서 법무사를 알아볼까 고려중입니다.

법무사를 통해서 등기를 친다고 했을 때

제가 해야하는 건 뭐가 있을까요?

그냥 대행 맡기고 제 할일 하고 있으면

서류부터 알아서 100% 다 해주는 정도인가요?

얼굴 볼일은 없는건지도 궁금합니다.

초보라 죄송...ㅠ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9/06 19:09
수정 아이콘
등기에 필요한 서류(인감증명서, 기타증명서)는 본인이 다 준비하기는 해야할겁니다.
얼굴 볼일은 서류 전달하면서 한번정도 있구요. 등기완료되면 집으로 그냥 관련서류 보내줍니다.(1주일내외)
진행과정은 등기소앱 같은걸로 확인 가능하구요.
보통 30정도 수수료 받는데 직접하려면 하루 휴가내고 하심 될꺼에요.
EK포에버
23/09/06 19: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난이도를 떠나 법무사 수수료 비용도 비용인데..상대방이 있는 매매라면 상대방이 서류를 잘주는지도 생각해 봐야죠.서류에 인감도장 찍어주고 인감증명서를 내어 주는데 법무사 주는 거랑 거래 상대방한테 주는 거랑 비교하면..서류가 빠졌답니다 더 해주셔야 한다는데요..이러면 상대방이 좋아할까요?? 의심의 눈초리로 볼겁니다.

한두번 빠꾸 되도 되는 상대방 없이 혼자 등기하는 거라면 셀프 등기가 니을 거구요. 상대방이 있는 등기라면 수수료 잘 흥정해서 법무사에 맡기시는 걸 추천합니다.
Gorgeous
23/09/06 19:43
수정 아이콘
대출끼고 집을 사게 되면 대출해주는 은행에서 셀프등기를 허락해주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대출 끼고 살땐 은행법무사한테 맡기는게 국룰입니다. 사실 이 경우엔 수수료 흥정도 어렵습니다.

만약 대출 없이 필요서류 잘 챙겨서 한번에 하실 수 있으면 사실 굳이 법무사 쓸 이유가 없긴 합니다. 다만, 셀프등기가 비용적인 부분에서 이득인데도 사람들이 굳이 법무사 수수료 주면서 등기하는 이유는 내 서류는 실수해도 내가 다시 처리하면 되는데 매도인 도장 필요한 서류는 실수하면 매도인 협조가 필요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혹시라도 내가 실수해서 추가적인 협조를 구할때 그게 이해가 되는 매도인도 있는 반면, 짤없이 구는 매도인도 있으니까요.

저는 집 살때 법무사 수수료 정도 추가되는건 감당 가능한 부분이라 생각해서 저라면 수수료 흥정 잘 해서 법무사한테 맡길 거 같습니다.
This-Plus
23/09/06 19:54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전 상대가 없는 등기이긴 한데 신경쓰는 자체가 싫어서 ㅠㅜ
Gorgeous
23/09/06 20:05
수정 아이콘
법무사 등기 맡기면 잔금쯤 해서 필요서류 알려줄거고 그거 준비해서 잔금날 법무사한테 주면 알아서 처리해줄겁니다. 등기 서류는 1주일 쯤 뒤에 줄거구요. 이리저리 신경쓰는게 싫으시면 그냥 법무통 견적 내서 법무사 맡기시는게 속편합니다.
This-Plus
23/09/06 20:14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23/09/06 23:39
수정 아이콘
등기라는거 자체가 딱히 어려운 과정도 아닙니다. 은행에서 연결된 법무사를 추천해주긴 하지만 셀프등기한다고 해도 딱히 제지하지도 않습니다. 더군다나 요즘은 상당 부분이 온라인화 되있어서 전혀 어렵지않고 약간의 수고로움이면 됩니다. 경험의 측면에서도 셀프등기 한번 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2622 [질문] PC 견적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유자마카롱7469 23/09/15 7469
172621 [질문] 키와 근육의 상관관계에 대한 궁금증 [36] 시무룩7917 23/09/15 7917
172620 [질문] 일본야구 한신 우승이 어느정도인건가요? [9] 리나장7340 23/09/15 7340
172619 [질문] 일본에 대해 공부하고 싶습니다 [15] 0126양력반대8656 23/09/15 8656
172618 [질문] 라데온 7900 xtx 쓰는데 방이 너무 더워지네요. 방법이 없을까요? [7] 곰돌곰돌파트나9004 23/09/14 9004
172617 [질문] 게임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23] 기대8218 23/09/14 8218
172614 [질문] 맨투맨 브랜드 추천 좀 부탁드려요. [9] 지금이대로7774 23/09/14 7774
172613 [질문] 푸쉬업바 하나로 홈트 어느정도 가능한가요? [20] rukawa7828 23/09/14 7828
172612 [질문] 2023년 현재 일본의 대중적인 전자담배 [11] Tigris8405 23/09/14 8405
172611 [질문] 예쁜 새를 봤는데 혹시 이름 알 수 있을까요? [8] 브이올렛8116 23/09/14 8116
172610 [질문] 인텔 I7-13700 (non K) 모델에 수랭이 필요 할 까요? [9] 니플7563 23/09/14 7563
172609 [질문] 카드기 결제 질문 [6] 교자만두6511 23/09/14 6511
172608 [질문] 머리 속이 다 보이면 혹시 탈모인가요? [9] 교대가즈아7489 23/09/14 7489
172607 [질문] 넷플릭스에서 영어공부 겸 볼 미드 추천부탁드립니다. [2] 파르릇7914 23/09/14 7914
172606 [질문] 무한도전 어느편이었는지 질문입니다 [2] 김경호7317 23/09/14 7317
172605 [질문] 노트북 들어갈 백팩 좋은게 있을까요? [3] 티아라멘츠7222 23/09/14 7222
172604 [질문] "태종 이방원" 종영 된 사극 다시보는법 [14] 난키군7888 23/09/14 7888
172603 [질문] 애플워치 방수된다고 수영할 때 막 착용하면 안 되는 건가요? [16] 9024 23/09/14 9024
172602 [질문] 아이폰 업그레이드 질문. 현재 SE+11을 쓰고 있습니다. [4] 애플프리터7364 23/09/14 7364
172601 [질문] 아이폰 15 구입 방법 문의 [10] stayclever7518 23/09/14 7518
172600 [질문] 쇼핑앱 테무 temu 질문입니다. [6] 이르7444 23/09/14 7444
172599 [질문] 사무용 pc에 쓸 모니터 추천부탁드립니다. [10] 호기심남8668 23/09/14 8668
172598 [질문] 젠지훈 단장 테윤환 코치 사건 어떻게 되가나요? [13] lux8658 23/09/14 865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