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9/01 11:58:14
Name 니체
Subject [질문] 고등학교 물리 커리큘럼 질문
제가 지금 고등학교 물리 수업을 들으면 이해가 매우 잘되는데요

고등학교 다닐 때는 물리가 너무 싫었던 것 같습니다.

근데 이유를 생각해 보면 대학 때 배운 선형대수나 일반물리학의 배경이 있는 상태에서 들으면 이해가 잘 되는 내용인 것 같아요.

그 중에서도 특히 스칼라와 벡터의 개념이 핵심이라고 보이는데,

고등학교 때는 이 개념에 대한 설명 없이 바로 속도, 가속도 등에 대한 공식 얘기만 나왔던 것 같거든요.

요즘 고등학교 물리 커리큘럼 보신 분들 계신가요?

제가 당시에는 들어도 이해가 안돼서 그랬던건지

아니면 요즘에는 스칼라, 벡터 개념부터 설명을 해주는지, 여전히 이런 기본 개념없이 공식부터 가는지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9/01 12: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예전 교육과정에서부터 이미 물리 시간과 수학 시간에 스칼라 벡터 개념을 설명하고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그 때는 글쓴 분과 저를 비롯해서 많은 물포자들이 벡터 개념을 받아들이기엔 어린 나이였던거죠.
저도 일반 물리를 대학교 가서야 깨우쳤었습니다.
근데 그제서야 뒤돌아보니 고등학교 때 선생님이 속력과 속도의 차이에 대해서 이야기해주시면서 이미 스칼라와 벡터 설명을 하신게 기억이 나더라구요..

추가로, 가속도라는 것도 미분 개념이 제대로 확립이 되어 있어야 가능한데, 예전 교육 과정에서는 수학에서 미적분을 배울 때 물리를 동시에 배워서 더 어려웠을 겁니다. 수학에서 미적분을 배우는 건 1학기 중반 이후인데, 물리에서 속도 가속도를 배우는 건 1학기 초반이니까요.
그런데 요즘 고3 친구들은 벡터를 안 배우는 대신에 미적분을 엄청 디테일하게 공부해서 그런지, 그래프에서 접선의 개념, 속도와 가속도의 차이를 비교적 잘 알고 있긴 하더군요.
23/09/01 12:35
수정 아이콘
아... 제가 듣고도 이해가 안됐었던거였군요. 미분 적분을 미리 이해했으면 물리에서 기울기와 면적을 이해하기가 더 쉬웠겠네요. 이런걸 보면 과목을 통합적으로 생각하는 커리큘럼이 좀 더 정교해지면 좋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23/09/01 12:44
수정 아이콘
대학 06학번인데 Stylish님 말씀처럼 스칼라/벡터개념 고등학교때 전부 다 배우고 물리시작합니다.
참고로 수능물리 만점이었습니다.(지금은 바보가 됨)
23/09/01 14:24
수정 아이콘
원래 역학 제일 처음에 설명하고 시작 했습니다.
속력과 속도의 차이 설명할 때부터 바로 등장.
메모장시인
23/09/01 15:49
수정 아이콘
고등교과서 및 개념서에는 (하이탑제외) 벡터와 스칼라 라는 용어 자체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크기는 존재하지만 방향성이 있다없다, 크기는 절대값을 의미한다 등 풀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만 대부분의 학교 및 학원 선생님들은 역학시작전 벡터와 스칼라 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수업하고있습니다
23/09/01 17:01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저는 벡터의 개념이 운동을 표현하는데 매우 명쾌하다고 생각해서 벡터를 먼저 배우는게 매우 유리하게 느껴지네요.
메모장시인
23/09/01 18:09
수정 아이콘
물리학1(고2과정)에서는 직선상의 운동을 배우다 보니 방향이라는것 자체가 + 또는 - 두가지로 표현이 가능하거든요, 그래서 자세하게 다루지 않네요,
물리학2(고3과정)에서는 가장먼저 벡터의 연산부터 배우기는 합니다, 다만 수능 및 수시에 필수가 아니고, 물리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없다보니.. 알고있는 학생이 많이 없습니다( 수학 선택과목 기하에서도 다루긴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3617 [질문] 혹시 고척돔 4층 가보신분 계실까요? [7] 장고끝에악수7770 23/11/18 7770
173616 [질문] 영등포시장역 인근에 어르신들 모시고 식사할만한 장소 추천받습니다 [5] 요하네즈7527 23/11/18 7527
173615 [질문] 중등~대학 교양 수준의 지식을 아우를 수 있는 책들 추천 좀 해주세요. [15] 교대가즈아7971 23/11/18 7971
173614 [질문] 우크렐레 아시는분 계신가요? 월터화이트6885 23/11/18 6885
173613 [삭제예정] 종로성지 탈모약 복용후 부작용 해결하신분 있으신가요? [13] 엘브로7500 23/11/18 7500
173612 [질문] 서울 분위기좋은 스테이크집 추천 부탁 드립니다 [6] LeNTE7234 23/11/18 7234
173611 [질문] 간단한 수학 질문 [8] 적막7714 23/11/18 7714
173610 [질문] (영상) 노트북에서 간헐적으로 소리가 나는데 불량일까요? [2] 김창평6891 23/11/18 6891
173608 [질문] 4k 모니터로 스타하시는 분 계신가요? [5] 교대가즈아8230 23/11/17 8230
173607 [질문] 웹툰? 웹소설? 질문좀 하고 싶습니다 [3] 능숙한문제해결사8114 23/11/17 8114
173606 [질문] 전과자 DNA법 관련한 여러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5] 칭찬합시다.7517 23/11/17 7517
173605 [질문] 엑셀 질문드립니다. [3] 더미짱7377 23/11/17 7377
173604 [질문]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오류 질문 (좀 깁니다.) Love.of.Tears.8091 23/11/17 8091
173603 [삭제예정] LOL 월드챔피언십 결승전 구로 CGV 3자리 원가에 양도 받으실 분 있으신가요? [3] 스윗번즈5991 23/11/17 5991
173601 [질문] 니트나 스웨터 빨래 어떻게 하시나요? [11] 목캔디8467 23/11/17 8467
173600 [질문] 영화관 첨부 그림 자리 괜찮나요? [8] 희원토끼7333 23/11/17 7333
173599 [질문] 이런 조건으로 서울가도 괜찮을까요 [15] 麴窮盡膵死而後已9289 23/11/17 9289
173598 [질문] 구글 기프트카드 저렴하고 믿을만한 구매처가 있을까요? [5] 비야10208 23/11/17 10208
173597 [질문] 컴견적 검토 질문 드립니다 [4] anSeoyo7553 23/11/17 7553
173596 [질문] 여러 개의 텍스트파일에서 단어 바꾸기 [8] 김리프7434 23/11/17 7434
173595 [질문] 비상금을 어떻게 관리하는게 좋을까요? [7] 외쳐2211237 23/11/17 11237
173594 [질문] 농촌체험관광 2박 3일 정도 하고 싶은데 어디서 찾는게 좋을까요? 그때가언제라도8978 23/11/17 8978
173593 [질문] 친구 집들이 선물로 샴페인 사려고하는데 어디서 사면 좋을지 궁금합니다. [5] 잡식토끼9056 23/11/17 905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