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9/01 11:58:14
Name 니체
Subject [질문] 고등학교 물리 커리큘럼 질문
제가 지금 고등학교 물리 수업을 들으면 이해가 매우 잘되는데요

고등학교 다닐 때는 물리가 너무 싫었던 것 같습니다.

근데 이유를 생각해 보면 대학 때 배운 선형대수나 일반물리학의 배경이 있는 상태에서 들으면 이해가 잘 되는 내용인 것 같아요.

그 중에서도 특히 스칼라와 벡터의 개념이 핵심이라고 보이는데,

고등학교 때는 이 개념에 대한 설명 없이 바로 속도, 가속도 등에 대한 공식 얘기만 나왔던 것 같거든요.

요즘 고등학교 물리 커리큘럼 보신 분들 계신가요?

제가 당시에는 들어도 이해가 안돼서 그랬던건지

아니면 요즘에는 스칼라, 벡터 개념부터 설명을 해주는지, 여전히 이런 기본 개념없이 공식부터 가는지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9/01 12: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예전 교육과정에서부터 이미 물리 시간과 수학 시간에 스칼라 벡터 개념을 설명하고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그 때는 글쓴 분과 저를 비롯해서 많은 물포자들이 벡터 개념을 받아들이기엔 어린 나이였던거죠.
저도 일반 물리를 대학교 가서야 깨우쳤었습니다.
근데 그제서야 뒤돌아보니 고등학교 때 선생님이 속력과 속도의 차이에 대해서 이야기해주시면서 이미 스칼라와 벡터 설명을 하신게 기억이 나더라구요..

추가로, 가속도라는 것도 미분 개념이 제대로 확립이 되어 있어야 가능한데, 예전 교육 과정에서는 수학에서 미적분을 배울 때 물리를 동시에 배워서 더 어려웠을 겁니다. 수학에서 미적분을 배우는 건 1학기 중반 이후인데, 물리에서 속도 가속도를 배우는 건 1학기 초반이니까요.
그런데 요즘 고3 친구들은 벡터를 안 배우는 대신에 미적분을 엄청 디테일하게 공부해서 그런지, 그래프에서 접선의 개념, 속도와 가속도의 차이를 비교적 잘 알고 있긴 하더군요.
23/09/01 12:35
수정 아이콘
아... 제가 듣고도 이해가 안됐었던거였군요. 미분 적분을 미리 이해했으면 물리에서 기울기와 면적을 이해하기가 더 쉬웠겠네요. 이런걸 보면 과목을 통합적으로 생각하는 커리큘럼이 좀 더 정교해지면 좋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23/09/01 12:44
수정 아이콘
대학 06학번인데 Stylish님 말씀처럼 스칼라/벡터개념 고등학교때 전부 다 배우고 물리시작합니다.
참고로 수능물리 만점이었습니다.(지금은 바보가 됨)
23/09/01 14:24
수정 아이콘
원래 역학 제일 처음에 설명하고 시작 했습니다.
속력과 속도의 차이 설명할 때부터 바로 등장.
메모장시인
23/09/01 15:49
수정 아이콘
고등교과서 및 개념서에는 (하이탑제외) 벡터와 스칼라 라는 용어 자체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크기는 존재하지만 방향성이 있다없다, 크기는 절대값을 의미한다 등 풀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만 대부분의 학교 및 학원 선생님들은 역학시작전 벡터와 스칼라 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수업하고있습니다
23/09/01 17:01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저는 벡터의 개념이 운동을 표현하는데 매우 명쾌하다고 생각해서 벡터를 먼저 배우는게 매우 유리하게 느껴지네요.
메모장시인
23/09/01 18:09
수정 아이콘
물리학1(고2과정)에서는 직선상의 운동을 배우다 보니 방향이라는것 자체가 + 또는 - 두가지로 표현이 가능하거든요, 그래서 자세하게 다루지 않네요,
물리학2(고3과정)에서는 가장먼저 벡터의 연산부터 배우기는 합니다, 다만 수능 및 수시에 필수가 아니고, 물리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없다보니.. 알고있는 학생이 많이 없습니다( 수학 선택과목 기하에서도 다루긴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183 [질문] 행시 사무관은 요새 결혼시장 선호도가 어떻게 되나요? [6] 공부안하고왜여기8824 23/12/26 8824
174182 [질문] 앞으로의 인생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7] 김치와라면6960 23/12/26 6960
174181 [질문] 주택담보대출 5억 받으려면 연봉이? [10] 잠이오냐지금8305 23/12/26 8305
174180 [질문] 자녀 있는 집 아기매트 추천부탁드려요 [9] 쿄우가7248 23/12/26 7248
174179 [질문] 서울 운전 및 주차 질문 [34] 개좋은빛살구7901 23/12/26 7901
174178 [질문] 한컴오피스 새 창으로 보기 기능 지원 여부 칠리콩까르네7013 23/12/26 7013
174177 [질문] 회사에서 권고사직 당할 경우, 실업급여 신청하려면 뭔가 준비해야하는 서류가 있을까요? [8] LG의심장박용택7171 23/12/26 7171
174176 [질문] 움직이면 복부가 아픈데 어디로 가야하나요? [4] 교대가즈아8227 23/12/26 8227
174175 [질문] 스팸 라이트 곰팡이인가요?? [12] 귀파기장인7110 23/12/26 7110
174174 [질문] 머신러닝/딥러닝 pc 견적 문의2 [10] 욕심쟁이7990 23/12/26 7990
174173 [삭제예정] 3D게임 멀미를 극복할 수 있나요? [14] v.Serum5976 23/12/25 5976
174172 [질문] 엑셀 사용할 때 같은 이름의 문서파일 동시열기와 alt+tab 옵션 사용가능하신지요...? [2] nexon7000 23/12/25 7000
174171 [질문] 영국이 이슬람 종교학자를 배척하거나 학살한 적이 있나요? [5] 6900 23/12/25 6900
174170 [질문] 갤럭시탭을 출력모니터로 사용이 가능한가요? [6] 우디르7746 23/12/25 7746
174169 [질문] 옛날 책들 처리 어떻게 하시나요? [9] 그때가언제라도6980 23/12/25 6980
174168 [질문] 브릿팝러버가 런던에 가서 볼만한 건 없나요? [1] 6133 23/12/25 6133
174167 [질문] 휴대폰 부가서비스 해지관련 문의입니다. [1] 유아린6466 23/12/25 6466
174166 [질문] 갤북4 프로 16 vs 프로360 [2] 엔쏘7288 23/12/25 7288
174165 [질문] 일본어 노베이스 인강으로 괜찮을까요? [7] 우주전쟁7694 23/12/25 7694
174164 [질문] 컴퓨터 견적 여쭈어봅니다 [2] PlutO8761 23/12/25 8761
174163 [질문] 7번가 피자 메뉴 추천 부탁드려요~ [3] 아엠포유8090 23/12/25 8090
174162 [질문] 일본어 질문 [4] 외국어의 달인7225 23/12/25 7225
174161 [질문] 브롤스타즈 같은 슈팅게임 있을까요? [2] Gotetz7782 23/12/25 778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