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8/30 14:32:33
Name CastorPollux
Subject [질문] 대형폐기물 스티커 vs 경비실
안녕하세요 구축아파트 살고 있는데
예전에 기존 침대를 버리려고 하는데 경비실 에서 내놓고 자기한테 얼마를 주면 처리해 준다고 하더라고요

그때 집 정리하느라 정신이 없어서 그냥 내놓고 돈 드렸는데
이번에 실내 자전거 버리려고 구청에서 대형 폐기물 스티커 가격을 찾아보니...

예전에 침대 버릴 때 폐기물 스티커 가격보다 2배 보다 더 받으셨더라고요

경비실이 있으면 그냥 경비실에 돈 주는 게 관례(?) 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게르아믹
23/08/30 14:34
수정 아이콘
구축 살 때 스티커 붙여서 내놔도 상관은 없었는데 옮겨주시는거, 스티커 구입 등등 수고비로 생각하고 드리긴했었네요.
CastorPollux
23/08/30 14:37
수정 아이콘
침대 때는 버리는 장소까지 옮기는 거까지 저희가 했는데 저희는 경비실에서 수거하는 아저씨랑 거래 하는 거 같았습니다
저도 그냥 드리면 좋은데 생각보다 많이 부르셔서..크크크크 ㅠㅠ
가테갓겜59분전
23/08/30 14:38
수정 아이콘
스티커 할 필요없이 모바일로 번호만 받고 종이에 글씨 써서 붙여놓으면 편해요
CastorPollux
23/08/30 14:40
수정 아이콘
앗 한번 들어가보겠습니다 크크크 감사합니다
냉이만세
23/08/30 15:38
수정 아이콘
저도 이 방법 추천드립니다.
저도 이렇게 몇번 해봤는데 때 되면 알아서 수거업체가 와서 가져가시더라구요.
생겼어요
23/08/30 14:47
수정 아이콘
결혼하면서 신축아파트로 독립을 했는데 대형 폐기물 버릴때마다 연락해서 등록 접수하고, 수거해가면 문자받고 입금하고 일련의 과정을 다 직접 처리해야 되더군요. 반대로 구축아파트인 본가에서 대형폐기물 처리할때는 경비실에 맡기면 내놓기만 하면 그 뒤로는 신경 쓸게 없었습니다. 관례라고 까지 하긴 좀 그렇고 그냥 수고로움을 전가하는 비용, 처리대행 정도로 생각하시면 편하긴 합니다.
CastorPollux
23/08/30 14:50
수정 아이콘
한번 실내자전거 폐기 가격 물어보고 너무 많이 부르시면 직접하려고 합니다 크크크크 감사합니다:)
Alcohol bear
23/08/30 14:50
수정 아이콘
담배값줬다 생각하셔용
23/08/30 14:53
수정 아이콘
저희 아파트는 딱 스티커값만 받으시는데...
23/08/30 14:54
수정 아이콘
저희는 구청홈페이지에 게시된 대형폐기물 쓰레기 값과 동일하게 받던데요.
가격 차이 많으면 물어보는 것도 답일 듯. 의도치 않게 누군가 착각했을 수도 있어서...
23/08/30 15:00
수정 아이콘
여러 아파트 살았지만 추가로 더 낸 적 한번도 없었습니다. 그거 처리하는게 경비원 업무죠. 침대 보통 만원에서 이만원인데 2배라면...
강문계
23/08/30 15:13
수정 아이콘
(도심지 기준) 구청이나 시청 대형 폐기물 처리사이트에서 결제하고 영수증 부착해서 지정장소에 내놓으면 수거업체가 알아서 가져갑니다.
경비실에서 건드리고 말고 할것도 없죠

그게 번거로우면 영수증가격 (혹은 좀 더 적게, 좀 더 많이) 내면 경비실에서 알아서 처리해 주십니다.
경비실에서는 관례에 따라 받은 처리비용은 공용쓰레기봉투비나 잡비, 혹은 음료수값 같은 걸로 적립했다가 쓰고
대형 폐기물은 해체(!) 해서 알아서(!) 처리하거나 걍 동네 주민들이 가져가시는 경우도 있고
(이 경우는 사실 부르는게 값..)
좀 더 투명하게 하시는 곳은 경비실에서 대형폐기물 스티커를 구매해두고 부착해서 수거업체 부르는 경우도 있더군요.
(이 경우는 금액이 정해져 있습니다)
캐러거
23/08/30 15:38
수정 아이콘
본가 30년 구축입니다. 추가로 돈 낸적 한 번도 없습니다.
23/08/30 17:22
수정 아이콘
뭐 집에오셔서 가져가주시거나 같이 들어주시거나하면 돈을 더 드려도 될 것 같은데.
그렇지 않으면 두배를 드릴이유가 전혀 없긴하죠. 그리고 약간 처리가격변동이 있을 수도 있고.
사이즈나 지역에 따라 다를 수도 있어서 잘 확인해보시긴 해야합니다.
23/08/30 20:31
수정 아이콘
저희는 경비실에 문의해서 드리는 돈이 제가 개별로 계산한 스티커보다 늘 저렴해서 잘 이용하고 있는데 희안하네요...
김리프
23/08/31 08:33
수정 아이콘
기록을 남겨야하니 온라인결제 추천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2467 [질문] 고등학교 수학 중요합니까? [24] 200608288053 23/09/05 8053
172466 [질문] 뻔할 영화를 뻔하지 않게 만들면? [30] 베요네타7095 23/09/05 7095
172465 [질문] 내일 부산역에서 해운대역까지 아침 7시반쯤 택시타면 많이 막히나요? [5] 날아가고 싶어.7425 23/09/05 7425
172464 [질문] 유게에 달리기 등급표 보고 질문 [11] 두억시니6884 23/09/05 6884
172463 [질문] 출산 전 상갓집 안 가는 건가요? [54] CastorPollux10318 23/09/05 10318
172460 [질문] 디즈니플러스 최대 몇명까지 계정공유 되나요?? [6] 난키군7124 23/09/05 7124
172459 [질문] 뱀파이어 서바이버즈 고수님들!! [4] 골드쉽6594 23/09/05 6594
172458 [질문] 계란 깨진거 방치했다 구데기(애벌레) 생겼는데요. [5] Pika487905 23/09/05 7905
172457 [삭제예정] 혹시 부자 혹은 경제적 자유를 이루신분 계실까요? [51] EnzZ8578 23/09/05 8578
172456 [질문] 꿈 어떻게들 꾸시나요 [35] JSclub6719 23/09/05 6719
172455 [질문] 데스크탑 문의드립니다. [12] 학교를 계속 짓자7339 23/09/04 7339
172454 [질문] 뭔가 전기계통을 건드리는? 프로그래밍? 취미를 해보고싶습니다. [14] 사람되고싶다5658 23/09/04 5658
172453 [질문] 침실용 영상 머신용 탭 추천 부탁 드립니다. [3] 대출 30년6149 23/09/04 6149
172452 [질문] 5600 + 4060ti 완본체 질문입니다 [5] kama8170 23/09/04 8170
172451 [질문] 토트넘 홈경기 직관가보신분들께 질문드립니다!!!! [5] Mamba7999 23/09/04 7999
172450 [질문] 국내 사이트 온라인 구매 시 해외 신용카드 아예 불가한가요? [2] 휵스6105 23/09/04 6105
172449 [질문] 차 긁힌 자리 수리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12] essence6567 23/09/04 6567
172448 [질문] 신형 아이폰을 기다리며 [16] 탄산맨7489 23/09/04 7489
172447 [질문] 현재 가성비 그래픽카드를 묻고 싶습니다. [14] 에일리7383 23/09/04 7383
172446 [질문] 7세 닌텐도 스위치 게임 추천해주세요 [12] 비싼치킨7819 23/09/04 7819
172445 [질문] 골프 스윙 촬영 용도에 맞는 가장 싼 태블릿은 뭘까요? [8] grrrill7383 23/09/04 7383
172444 [질문] 알리직구품(미니pc) 200달러 넘는제품 구매시 관세내기전에 물건이 왔는데 괜찮은건가요? [11] 건강합시다7718 23/09/04 7718
172443 [질문] 구형 에어컨 iot 구축 장비 추천 부탁드립니다 [4] mdcrazy7220 23/09/04 72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