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7/17 19:13:50
Name Rays
Subject [질문] 독일이 영국, 프랑스보다 더 GDP가 높은 이유가 뭔가요?
2차 세계대전 동안 피해도 더 입었을거고
분단때문에 성장하기도 더 어려운 환경이었을텐데
지금은 영프보다 GDP 높은거 같은데요

EU만들면서 혜택을 많이 봤다고해도
이정도로 올라온데는 이유가 있을거 같은데
원래 독일이 영프보다 체급이 높았다고 봐야하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겨울삼각형
23/07/17 19: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분단되었던 서독만 해도 영프랑 비볐는데, 통일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통일이 된지 벌써 30여년이 지났죠.

참고로 현재 영국이랑 프랑스 인구가 6700만 정도로 비슷합니다.
독일은 8300만이고요.

그리고 독일이 원래부터 포텐셜이 있는 나라입니다. 위치 자원 기술력 등등
괜히 세계대전2회 개최국이 아니지요.
23/07/17 19:34
수정 아이콘
일본도 그렇고 독일도 그렇고
전쟁피해가 막대했음에도 현재 3,4위 하고 있는 건
체급이 그정도 되니까 2차대전 일으킬 수 있던거 같네요
츠라빈스카야
23/07/17 20:18
수정 아이콘
일본은 핵 맞아가면서 작살나긴 했는데 한국전쟁으로 후방보급기지 역할 하면서 꿀을 쪽쪽 빨았던 게 재기하는 데 큰 발판이 됐죠.
데몬헌터
23/07/17 19:44
수정 아이콘
영프는 자기식민지들 독립 휴유증이 큰걸로 압니다. 인도라든가 알제리라든가
23/07/17 19:53
수정 아이콘
독일은 정치외교에서의 스탠드도 한몫했다고 생각합니다.
외적으로 전쟁관련해서 나름 반성하는 태도를 보여주었고 내적으로도 역사왜곡같은 주변국들한테 반감을 살만한 이슈거리가 딱히 없었죠.미국처럼 시기마다 다른나라를 악마화해서 정치에 이용하지도 않았고 주변 기술강국들과 협력도 많이 하고 러시아 같은 자원국들과 관계도 좋았고 중국과 같은 큰 시장에 관련해서도 누구보다 친화적이었구요.
VictoryFood
23/07/17 19:54
수정 아이콘
제조업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선진국일수록 서비스업 위주의 산업이 중요하다고 하지만 결국 제조업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고 봐요.

2019년 기준으로 세계 제조업 비중
1위 중국 28.7%
2위 미국 16.8%
3위 일본 7.5%
4위 독일 5.3%
5위 인도 3.1%
6위 한국 3.0%
7위 이탈리아 2.1%
8위 프랑스 1.9%
9위 영국 1.8%
10위 인도네시아 1.6%
미나리돌돌
23/07/17 21:29
수정 아이콘
동감입니다.서비스업이 발전해서 산업이 고도화 되면 좋지만 제조업이 기반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윤니에스타
23/07/18 09:07
수정 아이콘
인력뺑뺑이가 전부라는 한국도 그렇게 낮진 않군요. 이건 메이드 인 차이나의 위엄이네요.
NoGainNoPain
23/07/18 09:38
수정 아이콘
제조업으로 성공할려면 물건값을 싸게 만들어 낼 수 있거나 아니면 세계 1위 기술력을 가져야 되는데 우리나라는 둘 다 없죠.
가격 경쟁력은 중국에 뒤쳐진지 한참 되었고 그나마 기술력으로 경쟁 가능한게 반도체 휴대폰 자동차 정도랄까요.
시나브로
23/07/18 14:07
수정 아이콘
최고 잘 발전했지만 새삼 느끼는...
류지나
23/07/17 19:54
수정 아이콘
독일 통일 한 후에 후유증 때문에 한 10년 시름시름 앓았지요. 독일의 부활은 유로화 사용이 결정적이었습니다.
Lord Be Goja
23/07/17 20: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도 2차례의 전쟁으로 독일의 인구수가 줄어서 격차가 많이 줄어든것입니다

2차대전 직전에는 독일은 7000만 일본 7100만 프랑스는 4100만 영국은 4800만의 인구수를 가지고 있었거든요
현재는 영프가 각각 6천7백만대고 독일은 8천만이니 인구차는 엄청 줄었죠.
젊은이들만 왕창죽은게 아니라 눈뜨고 보니 알자스 로렌 프로이센을 어리석은 도박으로 날려버린샘이고..

그러고도 아직 체급이 독일이 좀더 큰상태니까 20세기 스타트부터 본토의 인구구성만 치면 독일이 더 큰체급이였던거죠
글로벌비즈니스센
23/07/17 21:29
수정 아이콘
1910년대 독일을 보면 세계 인구가 20억인데 본토 7천만으로 전체의 3%, 그것도 그 인력들이 고도로 잘 훈련된 고급 인력이었죠. 1920년 학술 논문에서 독어 비중이 45%였으니까요. 양차대전으로 날려먹고도 저정도라 봐야
미나리돌돌
23/07/17 21:31
수정 아이콘
영프도 개작살 났으니까요.
2차 세계대전에서 승전국이지만 개박살 났습니다.
HA클러스터
23/07/17 22:57
수정 아이콘
솔직히 히틀러만 없었으면 독일 제3제국은 수십년전에 완성되었을 거라고 농담할 정도로 독일은 포텐이 큰 나라였습니다.
(히틀러 다크나이트 농?)
인센스
23/07/18 02:34
수정 아이콘
솔직히 세계대전 2번을 일으키지 않았더라면 지금 독일이 유럽 경제적, 정치적으로 완전 정복했었을지도 모릅니다 크크
지금 잘나가는 거 보면 가만히 크기만 했어도 충분히 가능성 있었을듯.
유념유상
23/07/18 07:47
수정 아이콘
통일후 빌빌거렸는데. 제조업 강국으로 인한 유로 단일화로 해택을 다 받아 먹었죠.
세크리
23/07/18 07:50
수정 아이콘
2000년대 이후로는 유로화 사용이 큰 영향을 미치긴 했겠지만, 원래 한강의 기적 전에 라인강의 기적이 있었죠. 미국으로부터의 원조+제조업 푸쉬+국민들의 근명성실, 사실 거의 한강의 기적과 궤를 같이하는 경제성장을 60-70년대에 이루었습니다.
윤니에스타
23/07/18 09:04
수정 아이콘
세계에 퍼진 물건들 중 독일산이 프랑스산, 영국산보다 많은 거죠. 개인적으로 누구나 불호가 거의 없는 독일산 자동차가 깡패라고 생각합니다.
김꼬마곰돌고양
23/07/18 23:22
수정 아이콘
괜히 전세계를 상대로 2번이나 전쟁을 일으킨 나라가 아니죠.
래이시안
23/07/20 11:19
수정 아이콘
19세기 말, 20세기 초 2차 산업 혁명 (전기전자, 석유 내연기관 등) 때 독일이 미국이랑 같이 앞서나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거기서 제조업 격차가 벌어진 스노우볼 효과 아닐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1787 [질문] Pc 메인으로 쓸 ssd 선택 질문입니다 [3] BlueSKY--8563 23/07/25 8563
171786 [삭제예정] 피싱문자인지 궁금합니다 [6] 마제스티5593 23/07/25 5593
171785 [질문] 분당근교 맛집 추천부탁드립니다. [32] 의문의남자6805 23/07/25 6805
171784 [질문] 춘천 카페나 야경 명소 추천부탁드립니다 [4] 요하네6408 23/07/25 6408
171783 [질문] 스토커랑 사귀다 헤어지고 스토커가 되는 만화? [2] O6811 23/07/25 6811
171782 [질문] 코로나 증상중에 두드러기도 있나요? [5] 유자마카롱7661 23/07/25 7661
171781 [질문] 얼마전 비행기에서 있던 일인데 궁금합니다 [4] 삭제됨6894 23/07/24 6894
171780 [질문] 정형외과 실비보험 질문드립니다 [7] 알렉스터너7780 23/07/24 7780
171779 [질문] 신혼여행 코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스페인, 포르투갈) [18] 냉면8978 23/07/24 8978
171778 [질문] 속초에서 사갈만한 선물 [14] Grundia7810 23/07/24 7810
171777 [질문] 서울역 인근에 어른 모시고 갈만한 음식점 있을까요? [4] 삭제됨7142 23/07/24 7142
171776 [질문] 캐리어 세 변길이 157cm 꼭 지켜져야 하나요? [4] 7236 23/07/24 7236
171775 [질문] 중계동 영어학원 비용 궁금합니다. [2] 교자만두7631 23/07/24 7631
171774 [질문] 넘어져서 무릎이 아픈데 회복할때까지 운동 안되겠죠? [18] 대출 30년7922 23/07/24 7922
171773 [질문] 가디언 테일즈 질문드려요 [5] hobbang6341 23/07/24 6341
171772 [질문] 미국 넷플에서 볼 만한 것? [1] 캡틴리드6668 23/07/24 6668
171771 [질문] 청약통장에 대한 질문입니다. [7] Restar6136 23/07/24 6136
171770 [질문] 공유기 연결 시 이미지 로딩이 너무 느려집니다. [4] 행운아6632 23/07/24 6632
171769 [질문] 허그전세보증보험 질문입니다 [2] 손연재7748 23/07/24 7748
171768 [질문] 전병(센베이) 잘하는 곳 추천해주세요. [5] 쿨럭5548 23/07/24 5548
171766 [질문] 제목을 찾습니다.....................!! [9] 구상만6908 23/07/24 6908
171765 [질문] 핸드폰을 구매하는 성지는 어떻게 찾는건가요? [9] Alcohol bear7974 23/07/23 7974
171764 [질문]  스타크래프트 캠페인 같은 스토리 쩌는 게임 추천 부탁 드립니다. [14] 농심너구리7823 23/07/23 782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