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7/05 17:47:02
Name 꽃보단노인
Subject [질문] 이번 정책(부동산)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부린이여서 이번 정책 관련 궁금증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미리 말씀드리면 저는 디딤돌대출이 가능한 가구이며, 부동산에서 우선으로 연락주셔서 원하는 가격에 집 매매를 시도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비싼곳도 아니고 올해 하반기에서 내년 초 생각합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어제 뉴스보면서 들은 생각인데..

이번 부동산 정책에서 역전세 관련 대출은 세입자 보호면도 있지만, 집주인의 또 다른 갭투자를 가능할 것 같고

이러한 이유가 대출로 이자 부담이 될 수도 있지만, 오히려 대출이 가능하고 매도가 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정부에서 말하는 완만한 우하향 보다 오히려 가격을 올리는 정책 같은데(매매 관련 실거래가 없기 때문입니다.)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서 질문 남겼습니다!

부동산을 잘 몰라서 여러 의견을 듣고 싶어서 남긴 글이고 폭락론자, 폭등론자는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7/05 18:53
수정 아이콘
점심 먹다가 뉴스가 나와서 팀원들과 이야기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아니지만 6명은 모두 집값 올리는 정책 이라고 생각했습니다.
23/07/05 19:16
수정 아이콘
정책의 목적이 세입자의 보증금을 인질삼고 있는 임대인들한테 호흡기를 달아줘 깡통전세 피해자들을 양산하지 않기 위한건데
지금당장 집값을 폭등시키진 않을거에요.
그런데 집값 상승기가 도래할경우 집값폭등의 장작중 하나가 되겠죠.
셧업말포이
23/07/05 19:52
수정 아이콘
어차피 당분간 상승 분위기가 오지 않을 거기 때문에
안팔고 버틸 수 있다는 거지, 이걸 오르는 신호라고 생각하면 안될 겁니다.
대세 상승장은 이번 정권에서는 안 올거라 생각하는 게 편합니다.
글로벌비즈니스센
23/07/05 19:58
수정 아이콘
집값 방어죠. 같은 말이지만, 떨어질 집값을 올린다도 맞다 보고요...
꿀깅이
23/07/05 20:16
수정 아이콘
역전세 관련 대출을 해주는 것 자체가 시장의 분위기를 암시한다고 생각하고 큰거 온다고 생각합니다
(하락론자 아님!!)
하아아아암
23/07/05 21:46
수정 아이콘
올린다기보단 내리는걸 막아주는?
NoGainNoPain
23/07/05 22:20
수정 아이콘
만약에 원하는 지역의 주택매매에 관심있으신 거라면 대세상승이니 대세하락이니 하면서 거시경제 차원에서 논하는 말들은 싹 흘려버리셔야 합니다.
대세상승장 대세하락장은 평균 차원에서 이야기하는 거지, 그게 내 관심지역이 오르고 있고 내리고 있다라는 것을 이야기해 주는 건 아닙니다.
매매 타이밍을 잡으려면 내 관심지역의 시세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현재 매수매도 분위기는 어떤지 직접 임장 돌아다니면서 확인하는게 젤 정확합니다.
임장이 어렵다면 각 지역 부동산 카페에서 올리는 기사나 통계자료들을 보는 게 맞구요.
꿈트리
23/07/06 09:45
수정 아이콘
총선까지는 어떻게든 집값 방어하겠다는 정책이죠.
FED가 올해까지 금리를 내리지 않기때문에 계속 혼조세일거라 봅니다. (한국은행도 금리 못내리죠. 불경기인데도 불구하고...)
23/07/06 11:34
수정 아이콘
상승기에는 올리는데 큰기여를 하겠죠. 다만 지금은 올리려한다보다 방어하려한다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추가로 적어보면 절대 인터넷과 주변의 얘기들에 휘둘리지마세요. 그 쉬운 아파트도 잘모르는 사람이 부지기수입니다. 하물며 빌라나 오피스텔로 넘어가면 더 심하죠.
꽃보단노인
23/07/06 14:43
수정 아이콘
다들 여러 좋은 의견들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1576 [질문] pc견적 질문입니다. [7] 가진자8824 23/07/11 8824
171575 [질문] 생마늘 먹을때마다 입 안쪽이 땡기고 아픕니다.. [5] 슬라임6526 23/07/10 6526
171574 [질문] 잠깐 잠깐씩 할 수 있는 모바일 게임 추천 부탁드려요 [21] Alcohol bear7916 23/07/10 7916
171573 [질문] 최근에 핫하고 재밌는 만화(일본) [5] 구승빈과김종인7095 23/07/10 7095
171572 [질문] 발톱 무좀 치료 성공하신 분 계신가요? [11] 어제본꿈8725 23/07/10 8725
171571 [질문] 살이 너무 안빠져요 어떻게해야하죠? [38] Lachata9896 23/07/10 9896
171568 [질문] 차대차 사망사고에서 가장 빈번한 유형이 무엇일까요? [16] Rays8998 23/07/10 8998
171566 [질문] 무료관리 기간 지난 정수기 어떻게 할까요? [5] 귀여운호랑이8826 23/07/10 8826
171564 [질문] 양주 장식장 추천 부탁드립니다 [6] Anabolic_Syn7003 23/07/10 7003
171562 [질문] PC 견적 문의 드립니다. [3] 보급보급7302 23/07/10 7302
171560 [질문] 쏘렌토 구매 대기중인데 페이스리프트 의향을 묻네요 [27] 8859 23/07/10 8859
171559 [질문] 엑셀 문의드립니다. [9] 조과장6828 23/07/10 6828
171557 [질문] 소방공무원 근무형태? [1] 흰둥6389 23/07/10 6389
171556 [질문] 부모님이 사용 할 자급제 폰 추천 부탁 드립니다. [14] 루키8751 23/07/10 8751
171555 [질문] 해외축구시장 한국선수 이적설이 어느정도급인가요? [10] 오타니7661 23/07/10 7661
171554 [질문] 폴바셋 무료 쿠폰(오늘까지) 쓰실 분 있으신가요? [7] CastorPollux7023 23/07/10 7023
171553 [질문] 비행기표 예매 문의입니다. [6] 완성형폭풍저그6888 23/07/10 6888
171552 [질문] 무선 마우스만 쓰다보면, 금방 정확도가 낮아지는 건 왜 그럴까요? [4] LG의심장박용택6611 23/07/10 6611
171551 [질문] 헝그리앱 게임 계정 거래시 주의사항 문의드립니다 [6] 595007613 23/07/10 7613
171550 [질문] 애플뮤직 좋아요 목록 보는 방법이 있나요? [7] Valorant7524 23/07/10 7524
171548 [질문] 제가 차를 사는게 맞을까요? [46] 포이리에8651 23/07/09 8651
171547 [질문] 히라가나 가타카나 외우는 팁이 있을까요... [16] 깐프7702 23/07/09 7702
171546 [질문] 무선선풍기 제품 추천해주세요. [4] 기억의습작8036 23/07/09 803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