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3/19 20:54:06
Name 꿀깅이
Subject [질문] 장남 한명에 딸 두명일 때 호칭이 궁금합니다 (수정됨)
첫째 아들
둘째 딸
셋째 딸 일경우


둘째를 지칭할 때

둘째딸이라고 하는건가요? 아니면 첫째딸이라고 하는건가요?



비슷한 느낌으로다가

아버지 형제들을 지칭할 때

형제관계가
첫째 형
둘째 형
아버지인 경우

제가 아버지의 둘째 형을 부르는 큰아버지인가요 작은아버지인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3/19 21:01
수정 아이콘
둘째고 첫째딸이지 않나요?
그리고 큰아버지들은 첫째는 그냥 큰아버지, 둘째큰아버지라고 하면 될거구요.
23/03/19 21:02
수정 아이콘
1. 첫째 : 장남, 둘째: 장녀, 셋째: 차녀
2. 첫째 : 큰아버지, 둘째 : 큰아버지, 셋째 : 아버지

2에서 큰 아버지와 작은 아버지를 가르는 기준은 내 아버지 위냐 밑이냐 뿐입니다.
미카엘
23/03/19 21:11
수정 아이콘
첫째딸
스토리북
23/03/19 21:41
수정 아이콘
딸 중에서만 고려하기에 꼭 맏이가 아니어도 위로 언니가 없으면 남자형제가 있는 둘째, 셋째, 심지어 막내여도 장녀이다. - 나무위키

그렇다네요.
꿀깅이
23/03/19 21:43
수정 아이콘
답변 해 주신분들 감사합니다!
분해매니아
23/03/19 22:16
수정 아이콘
큰 아버지, 작은 아버지라는 호칭은 보통 결혼을 하셨을 경우에만 사용합니다. 결혼을 안하셨으면 큰 삼촌, 작은 삼촌이라고 브르죠.
카루오스
23/03/19 22:31
수정 아이콘
큰딸 작은딸?
마음속의빛
23/03/19 22:59
수정 아이콘
단순하게 집안에서만 부른다면, 첫째야, 둘째야, 셋째야 라고 태어난 순서대로 부르는 게 맞지만,
아들과 딸로 구별하려면, 첫째아들(장남이니 굳이 첫째라고 할 필요없이 아들이라고만 해도 충분), 첫째딸(장녀), 둘째딸(차녀)라고 호칭할 수 있겠네요.
23/03/20 02:33
수정 아이콘
아들 큰딸 막내, 첫째큰아버지 둘째큰아버지
동굴곰
23/03/20 05:51
수정 아이콘
아들, 큰딸,작은딸
저희 아버지가 3형제 중 셋째신데 저희 집은 큰큰아버지, 작은큰아버지라고 불렀습니다.
서쪽으로가자
23/03/20 06:51
수정 아이콘
예전에 웹소설 재벌집막내아들 댓글에서 잠시 논란이 있었던적이있는데,
둘째분에게 작은아버지라고 부르는 집안도 있는 것 같습니다. 정작 저희집안도 그렇고.

아마 백부 -> 큰아버지, 숙부 -> 작은아버지로 보냐,
아버지보다 위면 큰아버지로 보냐의 차이인것 같은데,
후자 경우가 훨씬 많은거 아닌가 싶네요.
하아아아암
23/03/20 09:55
수정 아이콘
아버지보다 위면 다 백부 아니였나요?
백부/숙부와 큰/작은 아버지 사이에 한자냐 한글이냐 차이 외에 개념상 차이는 없었던거 같아서요.
서쪽으로가자
23/03/20 10:30
수정 아이콘
백(伯)자가 맞백 자라 첫째만 백부라고 하는게 맞는 표현으로 보입니다.
(사실 저도 최근에야 알아봤습니다. 저희 집안에서는 첫째만 큰아버지라고 해서)

네이버 사전 백부, 큰아버지
https://ko.dict.naver.com/#/entry/koko/a76712a1740b43cc9e3dc685a75bb476
https://ko.dict.naver.com/#/entry/koko/03e3444ad3c64baba3c57a89b4a79907
하아아아암
23/03/20 10:44
수정 아이콘
와우....그러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9729 [질문] 제갈량의 군재는 삼국지에서 몇 위정도 되나요? [37] itzy11097 23/03/24 11097
169728 [질문] 노트북(예산 130 정도) 저렴하게 구매하는 시기가 있을까요?(+제품추천) [16] 모나크모나크12213 23/03/23 12213
169727 [질문] 중고차 사고이력 차 구입해도 될지 여쭤봅니다 [10] 사하라9557 23/03/23 9557
169726 [질문] 모니터 추천 부탁드립니다! [1] 토끼회사6983 23/03/23 6983
169725 [질문] 안녕하세요. 이렇게 생긴 감자칼 찾고있습니다 [3] Endor8680 23/03/23 8680
169724 [질문] 과자 이름을 찾습니다. [3] 김하성MLB20홈런7653 23/03/23 7653
169723 [질문] 디아3 맨처음 하면 뭐부터하나요? [7] 천우희8652 23/03/23 8652
169722 [질문] 프로게임으로서 롤은 수명이 얼마나 될까요? [18] 상록일기9145 23/03/23 9145
169721 [질문] 인터넷 스카이 라이프 쓰시는분 계실까요? [4] 리코타홀릭6821 23/03/23 6821
169720 [질문] 영화 '침묵의 퍼레이드' 볼 수 있는곳 있을까요? [3] 카오루10293 23/03/23 10293
169719 [질문] 해외여행 가시는분들께 공항까지 교통편 문의드립니다 [11] 쉬군7199 23/03/23 7199
169718 [질문] 현금영수증 자체를 조회할 수 있나요? (사용내역 말고) [1] beloved7463 23/03/23 7463
169717 [질문] 공시지가 질문입니다! [5] 꽃보단노인7888 23/03/23 7888
169715 [질문] 담금주 종류 추천해주세요 [3] 대출 30년10167 23/03/23 10167
169714 [질문] 청량감 좋은 맥주 추천해 주세요 [28] Sebastian Vettel9624 23/03/23 9624
169713 [질문] 콧털정리기 추천해주세요. [7] 언니네 이발관9447 23/03/23 9447
169712 [질문] 구형폰 중에 추천 부탁드립니다(질문 연속글 죄송해요) [13] 바람기억8043 23/03/23 8043
169711 [질문] 어깨를 근본적으로 고칠 방법이 없을까요? [17] Aiurr11618 23/03/23 11618
169710 [질문] 현 시점에서 갤럭시 S22로 가도 괜찮을까요? [38] 바람기억9418 23/03/23 9418
169709 [질문] PC 견적 질문 드립니다.(케이스, 쿨러) [6] 은빛사막8995 23/03/23 8995
169707 [질문] 실비보험에서 외래 진료 청구시 일일 지급한도 관련 [8] 조과장10360 23/03/23 10360
169706 [질문] 명확한 기준 하에 업무를 하는 직무가 있을까요? [20] 사람되고싶다10223 23/03/22 10223
169705 [질문] 아이폰을 PS5로 충전가능한가요? [2] 쥬리8023 23/03/22 802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