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3/10 13:14:34
Name Lord Be Goja
File #1 Screenshot_20230310_130627_Samsung_Health.jpg (152.1 KB), Download : 141
File #2 Screenshot_20230310_130711_Gallery.jpg (686.4 KB), Download : 131
Subject [질문] 최근 수면 불안정이 심해졌습니다 (수정됨)




전에는 1-2달에 한번 정도 그랬는데 점점 빈도가 늘어나더니 이제는 1주일에 2-3일씩 그러는데요

음 잠에 처드는건 전혀 문제가 없는데,자면 1시간정도 후에 잠이 깨버리고,심장이 두근거리는 느낌이 강하게 옵니다.그리고 몸이 뜨거운 느낌이 들어서 잠을 몇시간동안 못자고, (핸드폰 꺼도 마찬가지)억지로 자면 잠이 설 들어서 가위나 악몽에 시달립니다.


이게 수면 무호흡증세인가 하고 코골이 기록을 보면 오히려 6-7씩 안깨고 잔날에 코를 30분정도 골고 수면장애가 발동한 날에는 전혀 코를 골지 않았어요
또한 수면무호흡증세때는 맥박과 혈압이 올라간다는데 깬직후에 재보면 오히려 평소보다 약간 낮은 수준입니다.


그리고 오늘은 8시쯤에  잠이 다시들었다가 늦잠을 자는바람에 빠르게 걸었는데(1킬로미터거리),평소에 달리가나 빨리 걷기를 하는편인데도 도착한후에 갑자기 심박이 급등하고 어지러운 증세가 나타나서 쓰러질뻔했네요.(구역질 증세도 있었어요)

DLEJDMJ.jpg



수면 다원검사?라는걸 슬쩍검색해보니 비용과 거리와 시간이 상당히 부담스럽던데요..그래도 해보긴 해야할거같은데 현재도 증상이 날마다 나오는게 아니라 막상 가서 꿀잠 잘거같기도 하고..

혹시 이런게 무슨증상인지 아시는분이 계신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is-Plus
23/03/10 13:23
수정 아이콘
수면은 둘 째 치고,
단순 빨기 걷기 후에 쓰러질 뻔 한 거면 일단 건강에 뭔가 문제가 있나 의심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Lord Be Goja
23/03/10 14:17
수정 아이콘
네 저도 좀 무서워져서 질문을 드렸어요
덴드로븀
23/03/10 13:34
수정 아이콘
최근에 업무 등으로 스트레스가 많이 있었는지 잘 생각해보시고 정신과 상담 예약도 해보시는걸 추천해봅니다.
Lord Be Goja
23/03/10 14:16
수정 아이콘
제 아침-낮시간 월도 빈도를 보시면 알겠지만,두목님이 속터지시는 경우는 좀있는데, 저는 편하게 일하는중이라..
아 얼마전에 대인관계일 때문에 그럴수도 있을거 같긴한데 여기서 풀긴 좀 부끄럽군요
덴드로븀
23/03/10 14:37
수정 아이콘
의심가는 스트레스 상황이 있고 운동수준이 아닌데도
두근거림 어지러움 구역질 등 불안증상으로 의심할만한 증상도 있으니 고민한번 해보세요.
특히 최근들어 비슷한 증상들이 자주/ 강도가 심하게 발생하고 있다면 빨리 가보시는게 좋습니다.
화서역스타필드
23/03/10 13:36
수정 아이콘
저도 그랬는데 양압기 쓰고 부터 완전히 사라졌어요
Lord Be Goja
23/03/10 14:17
수정 아이콘
말씀보고 알아보니 구매하려면 (가격)장벽이 좀 있군요
렌탈을 알아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제랄드
23/03/10 17: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 경험담을 말씀 드리면

코골이가 심해서 대학병원에서 수면 다원검사 실시, 수면무호흡 진단
1주일 후 다시 병원 방문, 의사가 양압기 렌탈 허가(?)
바로 옆옆 사무실이 양압기 렌탈 회사 직원 상주, 렌탈 시작
규칙이 까다로움. 한달 최소 20회 이상 사용 + 5일(?) 연속 무사용시 렌탈 정지 + 매달 양압기의 메모리 카드 들고가서 잘 사용했나 확인하고 연장
2달 쓰다가 답답해서 때려 치움;;; (규칙 위반 시 1년간 렌탈 안 되고 1년 후 다시 의사랑 상담해서 허가서 같은 걸 받아야 됨)

자체 해결 도전 (...)
쇼핑몰을 통해코골이에 좋다는 기구 다 써 봄. 코에 넣는 실리콘, 입을 막아 코로 숨쉬게 하는 대일밴드, 치과에서 15만원 주고 산 마우스피스 등등

현재 가끔 쓰는 건 애기가 무는 실리콘 기구(이름이 뭐였더라) 같이 생겼는데 혀를 밀어넣고 자는 거.
근데 옆으로 누으면 틈새로 침이 흘러 나오고 수면 중 무의식적으로 뱉기 때문에 위의 대일밴드로 밀봉
처음에는 괜찮았는데 역시나 귀찮아짐

... 포기 ㅡ,.ㅡ)

그냥 양압기를 사서 쓰고 싶을 때 쓸까도 생각해 봤으나 가격이...
게다가 입마개, 호스 등등이 소모품인데 가격이 제법 됩니다.

한 때 코골이 수술도 고려했었는데 맨 위의 의사께서 그 수술은 몇 달 후 원상복귀 가능성도 높고, 제 구강 구조상 성공 확률 반반 소견이라서 안 했습니다. 의료보험이 되는 것도 아니라서 돈도 제법 들더군요.

일단 수면다원검사는 받아보시기를 권합니다만 고려사항이 있습니다. 검사 시 일부 보험사에서는 그걸 진료 이력으로 보는 건지 보험 신규가입이 거부되거나 특정 옵션이 안 되는 경우도 있... 다고 합니다. 그래서 전 실비 가입 때 좀 번거로왔습니다. 이미 가입되어 있을 경우 어떨지는 모르겠습니다.
Lord Be Goja
23/03/10 17:33
수정 아이콘
으으 보통일이 아니네요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인생을살아주세요
23/03/10 14:07
수정 아이콘
수면다원검사 자가부담금 얼마 안합니다. 자고 오는 게 귀찮을 뿐이지 이번 기회에 해보시는 것도 괜찮을 거 같아요. 저는 양압기 써도 효과를 못봐서 신경정신과 쪽으로 넘어왔지만, 양압기 효과가 많이 좋다고들 하더라고요.
Lord Be Goja
23/03/10 14:15
수정 아이콘
60정도에 뚜렷한 증상없이 실비불가라고 적혀 있던데 옛날정보인가보군요
감사합니다
SAS Tony Parker
23/03/10 14:28
수정 아이콘
쾌차하십쇼
Lord Be Goja
23/03/10 15:3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3/03/10 15:23
수정 아이콘
일단 의사와 한 번 상담해보시고 결정하시는게 좋지않을까 싶습니다. 전문가와 얘기해보는게 최고죠.
Lord Be Goja
23/03/10 15:33
수정 아이콘
네 그래야겠네요 감사합니다
23/03/10 15:28
수정 아이콘
비슷한 증상 경험자입니다. 오만 검사 다해도 원인이 파악되지 않아 결국 정신과를 찾아갔네요. 약치료 받고
지금은 많이 좋아졌습니다.
개인의선택
23/03/10 15:30
수정 아이콘
저도 결국 심장 신경 수면과 갔다가 정신과 갔습니다.
Lord Be Goja
23/03/10 15:35
수정 아이콘
글을 쓸때는 비염증상(만성이고 약3달째 복용중)때문에 그런가했는데 댓글을 보니 정신쪽같기도하네요.감색해본 증상도 너무 비슷하고...해결할수 없는 인간관계라 의사선생님을 만나야겠습니다.감사합니다
모나크모나크
23/03/10 19:16
수정 아이콘
수면다원검사 해보세요. 실비보험 있으면 실비 지원도 됩니다. 전 수면 무호흡이 하도 심해서 낮잠 잠깐 잘 때도 양압기 씁니다.
꿀깅이
23/03/10 20:34
수정 아이콘
실비 세대랑 상관없이 되나요?
혹시 양압기도 실비항목인지도 궁금합니다!
모나크모나크
23/03/10 20:40
수정 아이콘
양압기는 청구해본적이없는데 한 번 문의해봐야겠네요. 알게되면 댓글 달아드릴게요.

수면다원검사는 일단 진단이 수면 무호흡으로 나오면 되는걸로 아는데... 실비 세대까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꿀깅이
23/03/10 20:5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모나크모나크
23/03/11 06:49
수정 아이콘
병원가기전에 검색해보니 양압기 대여비는 실비 불가능한것 같네요. 참고하세요.
Lord Be Goja
23/03/10 23:3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실비되면 걱정없겠네요
Lord Be Goja
23/03/10 23:32
수정 아이콘
여러분 걱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9645 [질문] 장남 한명에 딸 두명일 때 호칭이 궁금합니다 [14] 꿀깅이11717 23/03/19 11717
169644 [질문] 회사법인카드 부가세 관련 [14] 너이리와봐7687 23/03/19 7687
169643 [질문] 부정맥 진단 받으려면 증상 왔을때 응급실 가야 할까요? [12] 영소이7873 23/03/19 7873
169642 [질문] 현재 한국 기술로 ChatGPT 같은걸 계발 가능할까요? [7] 모르골9476 23/03/19 9476
169641 [질문] 전업 데이트레이더 해도 될까요? [30] MoonWatch9775 23/03/19 9775
169640 [질문] 요즘 타블렛pc 어떤 제품 사용하시는지요..? [7] nexon6817 23/03/19 6817
169639 [질문] 여러분들이 부모라면 이 상황에서 어떻게 하실건가요?? 궁금합니다... [14] 잘가라장동건10018 23/03/19 10018
169638 [질문] 모니터 간헐적 꺼짐 문제 [11] DogSound-_-*8536 23/03/19 8536
169637 [질문] 시가총액과 주가지수가 차이가 나는 까닭? [4] 상록일기9779 23/03/19 9779
169636 [질문] VGA 교체 관련 고견을 구합니다. [7] 레이오네9934 23/03/19 9934
169634 [질문] 요즘 컴퓨터(데스크탑) 사기 좋은시기인가요? [12] 포커페쑤11436 23/03/19 11436
169633 [질문] 노트북 가성비, 가격 관련 질문입니다. [7] 데프톤스10530 23/03/19 10530
169632 [질문] 디아4 플랫폼 뭐로 사는게 좋을까요 [6] LeNTE9269 23/03/18 9269
169631 [질문] 에어프라이에 구어 먹기 편한 닭고기 상표나 회사 제품좀 알려주세요. [4] 자가타이칸7862 23/03/18 7862
169630 [질문] 선물거래 하시는 분 질문드립니다. [19] 애플댄스8369 23/03/18 8369
169629 [질문] 개그 웹툰/웹소설 추천해주세요~ [19] 나혼자만레벨업10734 23/03/18 10734
169628 [질문] 스타크래프트가 튕깁니다. [4] 저무는오후17607 23/03/18 17607
169627 [질문] 삼국지 시대에 지역별로 언어가 통했나요? [8] 상록일기9391 23/03/18 9391
169626 [질문] PGR에서 본 군대 괴담 글을 찾습니다. [2] 지금이대로7770 23/03/18 7770
169625 [질문] 여동생이랑 볼 만한 애니나 영화 뭐 없을까요? [9] 실제상황입니다7572 23/03/18 7572
169624 [질문] 아파트 건물 철거시 포크레인 사용 [4] 2'o clock9557 23/03/18 9557
169623 [질문] PGR21 글쓸때 오류가 많이 발생해요. [4] 오후2시8679 23/03/18 8679
169622 [질문] 곰팡이 제거 업체 관련 문의드립니다 코지마7997 23/03/18 79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