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1/20 14:42:03
Name 월터화이트
Subject [질문] 디젤차, 깡통차 괜찮을까요?
소렌토 디젤 2.2 트렌디(최하트림)에

드와랑 네비만 넣고 구매 고려중입니다

어지간한 옵션은 다 있어보이는데요

가격대도 큰 무리 없어보여서 끌리네요

대기도 몇달이면 될것같구요

그전차는 2천cc 가솔린 승용차였습니다

디젤선택 이유는 단순히 연비와 출고기간 때문입니다

자동차세도 한몫 하네요 ..

디젤이 요즘도 많이 덜덜거리고 시끄러울까요?

관리하는데 돈이 더 많이 들거나 그러진 않는지..

또한 최저등급의 차 사도 괜찮을까요?

어떠한 조언이라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신사동사신
23/01/20 14:48
수정 아이콘
연비라면 요즘 경유가 더 싸지 않나요??
3년전까지 싼타페 탔었는데, 예민한편이 아니라서 그런지
크게 신경쓰이지 않았습니다.
깡통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파노라마 썬루프 솔직히 잘 쓰지도않고
휠같은 부분도 신경 안쓰는 분들은
전혀 상관없는 부분이니까요.
옵션이 너무 많긴한데
사운드도 마찬가지죠.
backtoback
23/01/20 14:52
수정 아이콘
연간 주행거리 3만킬로 이상 고속도로 크루징 환경이면 디젤 매리트 있습니다.
위 조건아니면 추천안합니다.


2.0 가솔린에서 옮겨타시는거면 저속토크에서 큰 만족감을 얻으실겁니다.
진동은 새차는 없습니다. 10만 근처에 가야 정차시 진동 올라옵니다. 주행중엔 크게 못느낌
관리비는 뽑기운인데 가솔린보다 신경써야할 부분많고 뽑기 실패시 가솔린대비 정비비가 더 나옵니다.
옵션은 당연히 많으면 많을수록 좋지만 저 같은경우엔 없으면 없는대로 탑니다. 돈만있으면 옵션이고 뭐고 롤스로이스타는거죠
23/01/20 14:53
수정 아이콘
앞으로 환경 규제들이 디젤 엔진에 우호적이지 않을 가능성이 크고, 요소수 및 DPF 등 각종 정화장치 추가에 따른 정비비 증가 리스크 등으로 개인적으로는 회의적이긴 합니다만, 연간 2만 키로 이상을 다니시는 정도라면 연비 감안했을때 고려해볼만 한거 같고 그 이하라면 글쎄요?
23/01/20 14:53
수정 아이콘
디젤 비추입니다.

디젤값이 휘발유보다 더 비싼 지금은 유류비 절감 효과도 반감되는데다 관리 잘 안하면 그렇게 아낀 기름값도 수리비로 다 토해내는게 디젤차입니다.
소이밀크러버
23/01/20 14:54
수정 아이콘
그래도 프레스티지는 가야하지 않을까 싶어요
월터화이트
23/01/20 14:5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운행은 연 15000~20000정도 합니다
고민이 깊어지네요 ㅠ ㅠ
23/01/20 15:04
수정 아이콘
본인만의 확고한 취향이 있는게 아니라면 지금 디젤차를 살 이유가 없습니다.
무냐고
23/01/20 15:06
수정 아이콘
환경 때문에 몇 년 안가서 디젤은 어떤식으로든 철퇴맞을거라 봅니다.
23/01/20 15:21
수정 아이콘
중고차로 팔아넘기엔 (현기 브랜드 빼고) 최악의 조건들이네요.

일단 2~3년은 만족스러울겁니다.
백년지기
23/01/20 15:25
수정 아이콘
요즘은 휘발유가 휠씬 싸기 때문에 디젤차를 사야하는 이유가 거의 없습니다...
연비가 좀 좋아봐야 어차피 디젤차가 애초에 차가격이 휘발유보다 더 비싸기 때문에
경제적 이득은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무지개그네
23/01/20 15:43
수정 아이콘
고속주행이 80퍼 이상에 주행거리 연 3만정도 되면 고려할 만 하죠. 그게 아니라면 살 이유가 없음
23/01/20 15:45
수정 아이콘
고속 주행 위주 환경 이면 덜덜 거리는건 별로 신경 안쓰입니다. 아주 예민하신 분은 또 모르겠지만요.
깡통 풀옵션 이건 순수하게 취향이고요.
다만 연 15000~20000 이면 경유를 고려할 이유가 없습니다. 휘발유 사심이...
셧업말포이
23/01/20 16:41
수정 아이콘
전 SUV 디젤 괜찮아 보입니다.
지금이야 가솔린이 세금 빼줘서 더 저렴하다고 하지만 분명 또 올릴 것이고
예전부터 연2만 x 3년 정도가 디젤의 경제성의 경계라고 했으니, 그 이상 보유할 거면 좀 낫겠죠.
기왕이면 2.0이 나을 테구요.

뭣보다 SUV는 토크감 생각할 때 디젤이 장점이 되기도 합니다.
푸들은푸들푸들해
23/01/20 16:45
수정 아이콘
고속이든 시내든 사면 백프로 후회
고양이손
23/01/20 17:06
수정 아이콘
자동차세 2.5가솔린 65만원, 2.2 디젤 56만원으로 9만원 차이인데, 디젤 기본 가격이 175만원 더 비쌉니다.
출고기간은 1개월 정도 차이라고 하네요.
월터화이트
23/01/20 17:31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아무래도 디젤은 좀 무리가 있군요
휘발유 공인 연비가 11로 나오는데 실제로는 많이 덜나올까요 ? ㅠ ㅠ
23/01/21 09:27
수정 아이콘
고속도로위주에 연비운전하시면 13도 나오지만
시내운전위주면 6-7이더라구요.
저는 반반 쯤이라 10-11사이 나옵니다.
갓기태
23/01/20 19:51
수정 아이콘
STAY..
오늘 뭐 먹지?
23/01/20 23:29
수정 아이콘
디젤은 나중에 중고로 처분하기도 힘들꺼에요.
월터화이트
23/01/21 10:45
수정 아이콘
많은 분들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가솔린으로 가거나 마음 여유갖고 하브로 가도록 하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들 받으십시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8636 [질문] BMW 수리비 문의 [8] 원해랑10229 23/01/26 10229
168635 [질문] 정부 24 서류 출력해서 여쭤봅니다. [7] 프로 약쟁이7641 23/01/26 7641
168634 [질문] 자가 주택마련 절차가 아무리 생각해도 어려운 초보자가 여쭈어봅니다. [16] 에일리8418 23/01/26 8418
168633 [질문] 허리 통증 질문드립니다. [14] LG우승11077 23/01/26 11077
168632 [질문] 물리 VS 화학 인류사 기여 승자는? [13] 설탕가루인형9146 23/01/26 9146
168631 [질문] 스마트폰을 중고로 교체했는데, 유심이 안 맞으면 ㅜ [9] 안녕!곤7906 23/01/26 7906
168630 [질문] 깔창 질문입니다. [2] 여행가요8048 23/01/26 8048
168629 [질문] 대리운전하시는 분들이 주차도 해주시나요? [11] CastorPollux8572 23/01/26 8572
168628 [질문] 용평리조트-버치힐 가는길 제설 잘되어 있을까요? [6] GgNu7936 23/01/26 7936
168627 [질문] 안경테만 따로 사서 렌즈 맞추는 것도 일반적인가요? [15] 나혼자만레벨업10525 23/01/26 10525
168626 [질문] 5~6년은 사용할 사무용 컴퓨터 사양 좀 봐주세요! [15] phoe菲10362 23/01/26 10362
168625 [질문] 해외 장기간 나갈에 로밍은 어떻게 하시나요??? [9] 리얼월드7324 23/01/26 7324
168624 [질문] 내일 식사 가능한 서울 10만원선 호텔뷔페 추천 부탁드립니다. [7] 킹크랩무한리필10059 23/01/26 10059
168623 [질문] 가정용 혈압계 손목형은 비추인가요? [3] 바람의바람9949 23/01/25 9949
168622 [질문] 핸드폰 테더링으로 컴퓨터 연결해서 사용시 지연시간 줄일 방법이 있을까요 [2] 이민들레7817 23/01/25 7817
168621 [질문] 동영상 파일 용량을 줄이고 싶은데 어떤 방식이 좋을까요? [5] 키모이맨9409 23/01/25 9409
168620 [질문] G70 vs 스팅어 중에 고민입니다.. [16] 방탄노년단8770 23/01/25 8770
168618 [질문] 지하철역을 영어로 표기할때 의문나는 사항이 있는데요... [14] 잘가라장동건8829 23/01/25 8829
168617 [질문] 바빴던 명절 하루. 집에 오는 길에 차에서 깊게 잠든 아기들. 아침까지 푹 자는 경우의 가치는 어느 정도일까요? [17] 모나크모나크9598 23/01/25 9598
168614 [질문] 아파트 경비원 선임절차?? [5] 김리프9099 23/01/25 9099
168613 [질문] 점심 먹다가 생선가시가 걸렸는데요.. [13] 인왕7993 23/01/25 7993
168612 [질문] 동화패러디 게시물 질문입니다 [2] Violin8074 23/01/25 8074
168611 [질문] PC가 콘솔 게임기기 그래픽 넘어선 시점이 언제인가요? [17] 샤르미에티미8829 23/01/25 88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