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2/22 07:39:16
Name VictoryFood
File #1 1.jpg (53.1 KB), Download : 168
Subject [질문] 1월말일에 퇴사한다고 하고 연차 15일 모두 사용 가능한가요?


아니 제가 퇴사를 한다는 게 아니라 1월 달력을 보다가 갑자기 생각이 난 건데요.

설연휴를 빼니까 1월에 평일이 딱 4주 20일 이더라구요.

대부분 취업규칙에는 1개월 전 퇴사를 알리게 되어 있잖아요.

12월 말에 1월 말에 퇴사한다고 한 후에

첫주만 출근하고 2주차부터 말일까지 연차를 모두 사용한다고 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는 거겠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22/12/22 07:55
수정 아이콘
이론상으로는요?
정공법
22/12/22 07:55
수정 아이콘
네 상관없죠
어차피 못쓴건 돈으로 나와요
르크르크
22/12/22 08:17
수정 아이콘
못쓴거 퇴직금과 같이 나옵니다
지대호
22/12/22 08:34
수정 아이콘
이론상 가능하긴한데 회사에서 좀 곤란해할겁니다. 이런 경우 보통 1월 말까지는 근무하면서 인수인계하고 그 이후에 연차 소진하는게 일반적이에요
22/12/22 08:44
수정 아이콘
이론상으로야 가능한데, 이후 그 회사랑 엮일일이 단 1도 없으며, 업무관련자랑도 엮일일이 단 1도 없으면야 뭐...
유목민
22/12/22 08:48
수정 아이콘
동종업계 재취업할 생각이 전혀 없다면 가능한 이야기이지 싶은데요..
하늘이어두워
22/12/22 09:06
수정 아이콘
그 기업문화에 따라 인정되는 경우가 있긴하다고 봅니다.

여자친구 회사가 1월에 퇴사하고, 연차15일 다 소진,
그리고 그 달 급여 전액 수령하는것이, 일반적인 퇴사자 프로세스였던 경우였습니다.
배고픈유학생
22/12/22 09:06
수정 아이콘
윗분들이랑 좀 다른데
연차 다 쓰고 명절 상여까지 받고 나가도 신경1도 안쓰던데요.
도라지
22/12/22 09:16
수정 아이콘
연차 쓰는게 회사 입장에서는 좋을겁니다.
안쓰면 돈으로 줘야 하니까요.
이혜리
22/12/22 12:22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 돈으로 주는게 회사입장에서 더 이득입니다. 잘 모르는 분들이 있는데 연차 15개 돈으로 받으면 월급의 절반인데 연차 다 소진하면 최대 22일 더 근무 한걸로 월급의 22/30을 추가 수령할 수 있어요.

즉 퇴사는 월요일에 연차는 다 소진하고.
해버지
22/12/22 09:19
수정 아이콘
2022년도에 사용하지 않은 연차가 남아있으면 가능하고, 2022년도에 연차를 다 사용했으면 2023년도 연차사용은 불가능합니다.

왜냐면 연차라는 게 1년 만근했을 때를 기준으로 지급되는 거라, 2023년 1월 말 퇴사면 2023년에 발생하는 연차 자체가 없게 되거든요.
흐르는 별
22/12/22 09:46
수정 아이콘
제가알기론 전년도(2022) 만근했을때 연차가 발생되고 그 연차는 금년도(2023)에 쓸수 있는것으로 아는데
제가 잘못 알고있는건거요?
블레싱
22/12/22 10:00
수정 아이콘
해당 인원에 언제 입사했는지에 따라 다르겠죠 22년에 입사했으면 해버지님 말씀대로고 21년 이전 입사면 23년 되는순간 리필되겠죠
22/12/22 10:01
수정 아이콘
잘못알고 계신겁니다.
2022년 중에 입사해서 '근속년수가 365일이 안되었을 경우 에만 연차 발생이 안되는거고
2021년 또는 그 전에 입사해서 근속년수가 366일이 넘었다면. 2023년에 연차가 전부 발생합니다.
365일을 근무하고 나서 '366일째에 연차가 생기는' 거라서

2021년 입사면 23년에 바로 리필됩니다.
해버지
22/12/22 10:15
수정 아이콘
어, 그, 그렇네요. 잘못 말씀드려서 죄송합니다.
22/12/22 18:17
수정 아이콘
근로기준법 바뀌어서 1년전에도 만근기준으로 연차가 생깁니다
프랑켄~~
22/12/22 09:48
수정 아이콘
회사마다 다를 수도 있지만, 공무원의 경우 실제로 일한 달까지만 월할 계산하여 연가를 산정하고..(1월까지 근무했으면 1년 총 연차일수의 1/12만 인정) 그것을 초과하여 사용하고 퇴직할 경우 초과한 부분은 결근으로 처리 할겁니다.
해버지
22/12/22 10:17
수정 아이콘
저도 이건 줄 알았는데, 근로기준법과 공무원 기준과는 차이가 있네요.
22/12/22 11:13
수정 아이콘
공무원은 근로자가 아니라서.. 근로자법을 안따릅니다..
(그래서 52시간 적용도 안받고, 근로자의 날에 쉬지도 않고, 최저임금 적용도 안받는..)
22/12/22 09:57
수정 아이콘
충분히 가능하죠.
업계나 회사에 따라 천차만별이지만, 인수인계 문제만 잘 해결하면 인사팀입장에서는 연차 모두 소진하고 그 월 급여 다 주고 하는 등의 부분은 당연한 거라 크게 생각도 안합니다. 그냥 하나의 과정일뿐이죠.
이게 싫다면야, 사전에 퇴사 의지 확인해서 12월에 퇴사하게끔 유도하는건데, 굳이 그렇게 할 필요가..
회전목마
22/12/22 10: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1월까지 하고 2월초 퇴사했는데
오래다니지도 못하기도 해서 퇴직의사를 10월쯤에 말씀드렸는데
대표님이 다른데 가더라도 2년은 채우고 가는게 좋다 하셔서
1월 말까지 풀 근무하고 딱 2년 채우니까
퇴직금+연차비까지 많이 받은적이 있었어요
근데 보통은 1월 15일쯤 출근하다가 연차를 쭉 소모하더라고요
The)UnderTaker
22/12/22 11:06
수정 아이콘
그냥 막무가내로 우기는거 아닌이상 동종업계든 뭐든 신경도 안씁니다;
오히려 더 쓰라고 하는데가 더 많을걸요
22/12/22 11: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다들 대기업 및 공기업, 공공기관 등을 기준으로 말씀해주시다보니
좋은 복지 기준으로 말씀해주셨는데
중소기업의 경우는 약간 얘기가 약간은 달라집니다
일단 근로기준법 상 가능은 합니다.
근로기준법 내세우면 회사 입장에서 싫어도 사용 안한 연차는 연차수당으로 지급해줄 수 밖에 없고요
대신에 서로 쿨하게 분위기 좋게 끝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어느정도 있을 수 있습니다
속으로던 겉으로 표출하던 겁나 사장이나 경영진 입장에선 욕할 가능성이 어느정도 있을 수는 있습니다
그래서 댓글 중 어떤 분이 동종업계가 좁은 경우나 그 쪽과 직간접적으로 얽힐 일이 거의 없다 판단된다면 이라고 언급하셨던거 같습니다~
근로기준법이 그러니 지켜야겠지만 고용주 입장에선 근로자가 몇일, 몇주 조금 더 일 안 하고 하고 차이로 연차수당 챙겨주고 안 주고가 갈리는게 겁나 싫긴 싫을겁니다.
그렇다고 너무 눈치 볼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근로기준법이 그러니 받을 건 받아야죠~
아 그리고 언제 입사했는지를 안 밝혀주셨는데 1년 만근이 되어야 연차가 발생하는거지
새해가 됐을 때 연차가 발생하진 않습니다
(그럼에도 중소기업에선 연말 지나면 남아있는 연차 소멸 시키는 시스템 있는 건 아이러니 하네요 -_-...
연말 지나면 연차 소멸되는 시스템은 연차 사용 독려 안내를 구두가 아닌 이메일 등으로 한달 전쯤에 보내면 법적으로 문제 없다고 알고 있음 -_-)

-----
[TMI]
저의 실예를 들면 3~4년전 쯤이던가..
어떤 분이 퇴사를 했는데 딱 칼같이 입사일에 맞춰서 퇴사를 하길 원했고 연차수당 다 처리해달라 라는 과정에서
그 사람 vs 사장+경영지원 겁내 싸우더라고요 크크. 원래 그 이전에도 프로젝트 관련하여 마찰이 많았어서 서로 감정이 심하게 상했던 상황이였죠
그회사는 경영지원 실장이 사장 와이프였습니다 크크
여기서 뇌피셜이지만 이 언쟁땜에 사장이던 사장와이프던 노무사한테 물어봤을 것 같은데 결국 이 언쟁에 대해 본인들이 질 각이 나와
꼬리 내렸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리고 그 같은 회사에서 이후에 저도 결국 퇴사를 하게 되었는데 2년+ 2주 가량 일 하고 퇴사했던것 같습니다
사장 와이프 이사람의 '회사돈이 곧 내돈' 마인드를 많이 봐왔기에 혹시나 하고 연차수당 언급 없이 지켜봤는데 역시나 더라고요....크크
퇴직금만 주고 연차수당만 쏙 빼고 주는거 있죠 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킄
까먹었을 확률도 적은게 그 사람이 경영업무 초짜도 아니였을거고
또 저와 거의 비슷한 타이밍에 퇴사한 사람이 있는데 그 분은 저보다 그 회사에서 더 오래 (4~5년 정도) 일 했었고
1년단위로 끊었을 때 6개월 정도가량 더 일했던 거 같습니다 (4년 6개월, 5년 8개월 이런 식)
그분께 안부차 카톡 연락 하면서 넌지시 물어봤는데 연차수당 받았다네요 크크크킄
'아 역시 까먹은게 아니라 일부러 띵궈먹은거구나' 판단 후 그쪽회사에 전화 걸어봤더니
역시나 까먹었다며 핑계 대며 보내주더라고요....크크
'내가 연차수당 놓칠 줄 알았냐 이놈들아!!! 크크'
22/12/22 12:08
수정 아이콘
법적으로 문제 없습니다. 현실적으로 보자면 업무 인수인계가 1주일만에 가능한 상황이라면 문제 없습니다. 인수인계가 1주일 안에는 불가능함에도 그런 식으로 진행하면 무책임하다는 평가를 받을 것 같은데, 그렇게 돼도 상관 없다면 그것도 문제 없습니다.
22/12/22 20:28
수정 아이콘
동기 연차 26개인데 12월에 출근 하루도 안하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8032 [질문] 부고 연락 관련 질문드립니다 [2] 다크템플러8454 22/12/25 8454
168031 [질문] 오라클 고수님들 계신가요....(프로시저 관련) [8] 오렌지 태양 아래7559 22/12/25 7559
168030 [질문] [컴퓨터]업그레이드 질문입니다. [7] vorhandensein8555 22/12/25 8555
168029 [질문] 장기적으로 사진 백업할 솔루션은 뭐가 있을까요? [5] 알렉스터너8624 22/12/25 8624
168028 [질문] 자동차 긁힌거 수리하는 방법 문의 드립니다. [3] HesBlUe8560 22/12/25 8560
168027 [질문] 약국약을 많이 먹으면 건강에 안 좋을까요? [10] 외계소년9319 22/12/25 9319
168026 [질문] Pc 중고가 문의 [2] 봉그리6731 22/12/25 6731
168025 [질문] 견적 짜는중인데 4k 60hz vs qhd 144hz 고민입니다. [18] 훈타11648 22/12/25 11648
168024 [질문] 재벌집 막내아들 시작해도 될까요? [10] 백도리8769 22/12/25 8769
168023 [질문] 아이 방수스티커 추천 부탁드립니다 [1] 사이시옷6526 22/12/25 6526
168022 [질문] 게임 제목이 기억안나서 질문드립니다... [2] 하카세8253 22/12/25 8253
168021 [질문] 코로나 인후통에 마약성 진통제 먹어도 되나요? [8] 기사조련가8872 22/12/24 8872
168020 [질문] 클스마스 이브에 감기? 코로나? 죽겠습니다ㅠ 헬프요청 [8] 맥주귀신7820 22/12/24 7820
168019 [질문] 이 컴퓨터 견적이 괜찮을가요?(엘든링을 하고 싶어요) [22] 아스트랄12473 22/12/24 12473
168017 [질문] [스위치] 게임 한번 추천 받아봅니다. [10] 연애잘합니다9429 22/12/24 9429
168016 [질문] 전세 세입자 계약기간 보다 먼저 나간다고 합니다. [6] lefteye8402 22/12/24 8402
168015 [질문] 경기 침체에서 취할 수 있는 쉬운 전략은 현금 보유일까요? [3] 알렉스터너10958 22/12/24 10958
168014 [질문] 구인난 vs 구직난 뭐가 더 심각하다고 봐야하나요?? [9] 하늘운동8953 22/12/24 8953
168012 [질문] 악력에 문제가 있는 경우엔 어떻게 해야 하나요? [5] 개떵이다7625 22/12/24 7625
168011 [질문] 암보험, 치아보험 가성비 좋은 상품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2] melody10207518 22/12/24 7518
168010 [질문] 닌텐도 오버쿡드 가족과 하기 어떤가요? [20] 유니꽃10061 22/12/24 10061
168009 [질문] 사진 보정프로그램 루미나르 사양에 관한 질문입니다. [12] 안경10335 22/12/24 10335
168007 [질문] 플스5 용 파이널판타지7 은 어떤 것을 사야하나요? [4] 독주8878 22/12/24 887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