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6/11 01:21:55
Name 잠이온다
Subject [질문] 컴퓨터 공학,구조 공부와 프로그래밍과의 관계 질문드립니다
프로그래밍을 공부를 해보고자 여러방면에서 정보를 찾아보고 있습니다. 프로그래밍에 대해서는 거의 문외한이구요, 기껏해야 컴활1급때 엑셀 하면서 비쥬얼 베이직이란게 있구나 접해본 정도입니다.

이왕하는거 제대로 공부를 해보고싶은데, 대학 컴퓨터 공학과에서 프로그래밍쪽이 주류가 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공학(컴퓨터 구조, 알고리즘, 운영체계 등등)을 배우는거보면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이런 부분을 배워보는게 좋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더라고요. 단순한 코딩이 아니라 제대로 쓰려면 기초가 있어야 되지 않을까 생각들이 들어서요.

그래서 질문은...

1. 컴퓨터 공학, 구조를 배우면 프로그래밍을 익히는데 얼마나 좋은가요?

2. 이런 저런 책들을 찾아봤는데 추천되는 책들이 대학 교재급이던데, 이런 부분을 혼자 읽었을때 독학이 가능한지요? 완벽하지는 못하더라도 이런 개념들을 알고 있는 것이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입문에 도움이 되는지요?

찾아본 책들은 대략 이렇습니다.

Introduction to Algorithms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aver?bid=7820969
운영체제 공룡책?  -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91185475578&orderClick=LOA&Kc=
컴퓨터 구조와 프로그래밍  -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barcode=9791189909284&orderClick=JAj
컴퓨터 구조 및 설계  -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barcode=9788964214244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에이치블루
22/06/11 01:30
수정 아이콘
이런 고민은 일단 프로그래밍을 먼저 "필요에 따라서" 해보시고 하심이 좋을 듯 합니다.
홈페이지 작성이나, 또는 간단한 앱 작성이나, 아니면 취업을 위한 모델 코딩 등 실제적 목적이 없이는 코딩은 늘지 않습니다.
즉... '공부'보다는 '실습'이 훨씬 중요한 분야입니다. 약간 외국어랑 비슷합니다...

컴퓨터 구조는 컴퓨터 구조대로 공부가 또 필요한 부분입니다. 기본은 전자/전기공학이고요.
컴퓨터 구조와 프로그래밍이 연동되는 것에 대한 고민은 그야말로 CPU나 GPU 설계자들이 할 고민입니다.

그냥 최신지식이나 얼리어댑터로서의 지식을 알고싶어하시는 거라면 그런 기사나 읽을 거리를 찾아보시는 게 좋습니다.

프로그래밍은... 일단 언어를 고르셔야 하고요.
저는 C++로 시작했었고 자바까지 했습니다만, 요새는 파이썬과 AI가 대세입니다.

이렇게 시작하시고 구조는 그냥 일반인 수준으로 아셔도 충분하고 또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물론 시간이 많으시면 많이 알면 알 수록 모든 일에 좋습니다...
세크리
22/06/11 04:23
수정 아이콘
예를들어 간단한 사이트나 앱을 만든다고 하면 컴구/OS는 아무 관련이 없다고 보면 됩니다. 임베디드에서 레이턴시를 줄이고 싶다 또는 HPC에서 코드를 조금이라도 더 최적화 시키겠다 이런거 아니면 거의 쓸모없다고 봐야죠. 구글/페북같은 회사에서도 매우 소수 인원만 그런 최적화를 진행합니다. 기존 컴파일러를 포크해서 비즈니스 로직에 맞는 새로운 최적화를 넣는다든지 데이터베이스 접근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하드의 외곽부분을 먼저 쓴다던지 하는거고요, 이렇게 얻는 이득은 기껏해야 5% 내외입니다. 그런데도 그런 큰 회사들은 성능을 5% 향상시키면 전체 회사 데이터센터 유지비용이 5% 주는거니 기를 쓰고 하려고 하는거고요. 대부분 일반인이 하는 레벨에서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죠.
22/06/11 07:01
수정 아이콘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성장차이가 이러한 세부 지식들을 공부했느냐 안했느냐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프로그래밍을 어느 정도 알고 이러한 공부를 해야지 머리에 쏙쏙 들어옵니다. 어릴때부터 프로그래밍하던 친구들이 대학 컴공가면 날라다니는 이유이기도 하고요. 따라서 반드시 필요한거는 아니지만, 업계에서 일하려면 3~4년차 정도에는 공부해보는게 나쁘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실무로 여러 코드들 접하다보면 많은 부분이 저절로 익혀지게 됩니다.
비오는풍경
22/06/11 09:55
수정 아이콘
개발자로 먹고 살려면 당연히 알아야 하는 건데 그런 목적이 아니라면 굳이 알아야 할 지는 의문이네요.
22/06/11 12:12
수정 아이콘
윗분들께서도 말씀하셨지만

어느정도 프로그래밍을 익힌 다음에 익혀야 할 내용들이 저것들입니다.

대학교의 커리큘럼에서도 그렇게 진행이 되어있는데 괜히 그렇게 커리큘럼을 짜는게 아니거든요
22/06/11 12:42
수정 아이콘
일단 질문에 대한 답변은 윗분들이 잘 해주셨는데요.
만약 개발자가 되고 싶으시다면, 그리고 잘 하는 개발자가 되고 싶으시다면 저는 저 세부 지식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컴파일러나 cpu설계를 하지 않는다고 해도 말이죠.
구글에 제프 딘이라는 분이 2010년에 스탠포드에서 강의한 적이 있었는데, 그 때 인상깊던 부분이 있었습니다.
효율적인 시스템을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만들어보기 전에 성능을 가늠할 줄 알아야 하고, 그를 위해서 이정도는 알아야 한다 라면서 데이터를 보여줬었는데 아래 링크입니다.
https://gist.github.com/jboner/2841832
L1 캐쉬에서 불러오는 속도부터 다른 대륙과 핑을 찍고 돌아오는 레이턴시까지 머리속에 담아놓고 디자인을 할 수 있다면 문제를 해결할 때 있어서 좀더 효율적인걸 찾기 쉽겠죠. 그를 위해 OS나 시스템 구조를 완전 깊게 파진 않는다 하더라도 적어도 고수준의 추상화 레벨에서는 익혀놓고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죽전역신세계
22/06/11 14:03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서 컴구조 깊게 들어가는 회사는 삼성, 현대 정도 밖에 없을꺼에요. 그게 아니고 심화학습을 하고 싶으신거면 알고리즘 공부하시면 좋을것 같아요. 백준 같은데서 문제 2~300개 정도 풀어보시는거 추천합니다. 그정도 푸시면 왠만한 아이티대기업 정도 서류 통과는 쉬우실꺼에요
잠이온다
22/06/11 17:39
수정 아이콘
답변해주신 분들 모두 답변 감사드립니다!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쉬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7983 [질문] 대출금을 갚을지 말지 고민이 됩니다. [22] 짱짱걸제시카10540 22/12/22 10540
167982 [질문] PS4 위쳐3 무료 업그레이드 질문입니다 [2] 회전목마10487 22/12/22 10487
167981 [질문] 휴대폰 바꾸려는데요 [16] wish buRn12215 22/12/22 12215
167980 [질문] 셀털글 삭제합니다. [86] 삭제됨12569 22/12/22 12569
167979 [질문] 웰치스 제로 너무 사기 아닌가요? [44] This-Plus13351 22/12/22 13351
167978 [질문] Nono라는 음악가 아십니까? [2] 니체10715 22/12/22 10715
167977 [질문] 제주 현지 날씨 궁금합니다. [4] 야호발동동씐나!!10127 22/12/22 10127
167976 [질문] 엑셀 고수님들 질문 있습니다 ㅠㅠ [9] 오렌지 태양 아래9103 22/12/22 9103
167975 [질문] 1월말일에 퇴사한다고 하고 연차 15일 모두 사용 가능한가요? [25] VictoryFood13176 22/12/22 13176
167974 [질문] 아주 저렴한 가성비 pc 추천 부탁 드려요. [9] 신촌로빈훗14741 22/12/22 14741
167973 [질문] 열혈강호 보고 싶습니다. 어디서 보나요? [10] 리얼월드11088 22/12/22 11088
167972 [질문] 예능에서 여자 탱커하면 누가 있을까요? [37] 샤르미에티미10464 22/12/21 10464
167971 [질문] 서울 24시간 국밥 맛집 [12] Avicii12893 22/12/21 12893
167970 [삭제예정] 마른비만 탈출 조언 부탁드립니다. [2] Rays8571 22/12/21 8571
167969 [질문] 컴퓨터 완본체 견적 질문드립니다 [10] funk10188 22/12/21 10188
167968 [질문] 어린이집 크리스마스 행사 옷 괜찮을까요..? [4] 제라스9450 22/12/21 9450
167967 [질문] 22년 자동차 보험인상이 있었나요? [6] Le_Ciel7318 22/12/21 7318
167966 [질문] 스마트폰 원격제어 승인없이 하는게 있을까요? [2] 바람의바람8196 22/12/21 8196
167965 [질문] 이미지 캡쳐 화질열화 관련 질문입니다 [2] 로각좁6619 22/12/21 6619
167964 [질문] 이직 문제 고민 [3] DoubleB8493 22/12/21 8493
167963 [질문] 부모님 핸드폰 바꿔드리려는데 이거 믿어도 될까요? [11] 무한도전의삶8471 22/12/21 8471
167962 [질문] [vue js] button에 클릭이벤트로 일반좌클릭과 컨트롤+좌클릭 같이 넣는법 알려주세요~ [6] Mindow10019 22/12/21 10019
167961 [질문] 갤럭시 s23 이 출시되면 s22의 가격이 많이 다운될까요? [6] 노래하는몽상가9175 22/12/21 917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