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2/14 23:25:02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대한민국이 금융 후진국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2/14 23:31
수정 아이콘
저는 금융은 잘 모르지만 관치금융, 국가자본주의, 아시아의 힘 정도 생각나네요
Old Moon
22/02/15 00:27
수정 아이콘
경제 사범들에 대한 방지와 대처도 문제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긴 하루의 끝에서
22/02/15 00:50
수정 아이콘
금융이란 시장에서 연료, 촉매제, 윤활제의 성격을 띠는데 한국은 기본적으로 시장 규모가 작으면서 지리적으로도 하필이면 거대 시장이 근접해 있어 중간 다리 역할을 할 형편도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금융 시장이 발달하는 데 구조적으로 큰 제약이 존재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부수적으로는 정부든 민간이든 사회적으로 딱히 시장 친화적이거나 시장에 대한 이해가 높지 않다는 점도 한몫하고요.
StayAway
22/02/15 01:14
수정 아이콘
일단 학교에서 경제학이나 투자에 대한 지식을 거의 가르치지 않는다는 점..
22/02/15 06:57
수정 아이콘
재벌들 양도세 상속세 생각하면 주가 오르는 것보다 유지되는 게 이득이니
그러 이유들로 주식쪽으로 재미보기 힘들단 시선도 많죠
안올리려고 마음먹고 안올려줘버리니..
신류진
22/02/15 09:15
수정 아이콘
윗분 말씀대로, 학교에서 경제학에 대해서 가르치지 않는게 제일 문제라고 봅니다.

인생에서 국영수보다 훨씬 중요한게 경제학인데, 이걸 안가르치는게 말도 안된다고 봐요
22/02/15 10:09
수정 아이콘
금융 후진국인지는 모르겠지만 윗 댓글처럼 자본주의나 금융 전반에 대해 고등학교까지는 잘 못배우고 오히려 저는 어릴 때부터 학교에서 주식 거래는 도박 내지 노동으로 돈을 버는 게 아니므로 나쁜 것이라는 인식을 가지게 끔 배운 것 같긴 합니다. IMF를 성장 과정 속에 정통으로 겪어서 그럴 수도 있겠습니다만..
Ainstein
22/02/15 10:49
수정 아이콘
주변국이라고 해서 딱히 경제지식이나 투자같은 걸 가르쳐서 금융선진국이 된 것 같진 않고요(특히 일본 국민들의 자산투자에 대한 공포는 한국보다 훨씬 심하죠). 현실적으로는 투자하기에 마땅찮아서 그렇죠. 원래부터 부자여서 해외금융자산을 사모은 일본, 대만도 아니고(게다가 일본은 통화 파워까지 준기축통화로 강하죠) 구 대영제국의 인프라를 물려받은 홍콩이라든가, 중화권 시장에 접근이 용이하고 역시 물려받은 유산이 대단한 상하이에 비교하면 후발 선진국인 한국이 도통 경쟁력이 있을 부분이 없다 봅니다.
회색사과
22/02/15 10:51
수정 아이콘
일단 자본주의 사회에 살면서

자본 소득 / 금융 소득 / 레버리지 에 대해 전혀 가르쳐주지 않는게 큰 것 같습니다.

존 리가 한 말 중에… 다른 건 사람들마다 생각이 다를 것 같지만
“돈이 일하게 하는게 자본주의다” 라는 말은 대부분 이견이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걸 경제 주체가 되고 (사회에 나오고) 나서야.. 늦은 사람은 결혼할 때 되서야 깨닫는다는게 문제인 거 같아요.
썬업주세요
22/02/15 13:28
수정 아이콘
돈이 일하는건 자본의 속성중에 하나로 보이고 자본주의의 정의와는 거리가 멀어 보이네요.
회색사과
22/02/15 13:56
수정 아이콘
아 옙 제가 말을 잘못 옮긴 것 같네요.

돈이 돈을 벌게 해야 한다 였나 ..
(자본주의란 이런 것이다 - 나 정의를 얘기하는 건 아니었던 것 같아요)

그런 뉘앙스였던 것 같아요 흐흐

지적 감사합니다
썬업주세요
22/02/15 13:32
수정 아이콘
단순히 금융산업이 발전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닐까요?

'무작정 저축'을 벗어난 것만 봐도 금융에 대한 일반인들의 생각은 많이 진보되고 있고 이미 꽤 됐다고 봅니다.
공모주 청약 건수가 돈되는건 찾아서 한다는 방증이죠.
22/02/15 17:12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watch?v=6UUePe6mwws
https://www.youtube.com/watch?v=qtISRMRLhp4
https://www.youtube.com/watch?v=ez2aYrDN7ZY

금융시스템의 근간은 신뢰죠. 사람과 기업과 정부를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후진국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1869 [질문] 지금 컴퓨터 바꾸는 시기로서 좋은가요? ​ ​ [10] 그때가언제라도6781 22/02/20 6781
161868 [질문] 직장선배 선물 고민입니다. [8] ykssh6164 22/02/20 6164
161867 [질문] 이현중 NBA 드래프트 가능성이 현재 어떤가요? [15] 휵스6538 22/02/20 6538
161866 [질문] 초기사업자에게 팁을 좀 주실 수 있을까요? [4] 고요5999 22/02/20 5999
161865 [질문] 롤 칼바람 유저 레나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인생은서른부터5132 22/02/20 5132
161864 [질문] 롤챔 1라운드 2라운드 차이가 뭔가요? [10] 주식을마시는새5034 22/02/20 5034
161863 [질문] 뭔가 조증같은 기분 들게 해주는 약같은건 없을까요? [13] 기술적트레이더4605 22/02/19 4605
161862 [질문] 가정용 에스프레소머신 추천해주실만한거 있을까요? [8] Restar5578 22/02/19 5578
161861 [질문] 코로나 신속항원검사 질문입니다. [13] Arya Stark6622 22/02/19 6622
161860 [질문] 사랑니 십몇년만에 발치해보려고 하는데 질문 드립니다. [5] wersdfhr5542 22/02/19 5542
161859 [질문] 갤럭시 S20 FE 해외직구버전 액정 수리될까요? [5] 삭제됨5457 22/02/19 5457
161858 [삭제예정] 환율계산기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8] 마법사장인6357 22/02/19 6357
161857 [질문] S22 울트라 개통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5] 서울4730 22/02/19 4730
161856 [질문] 주택옥상에 중계기 설치해도되냐고 연락옵니다. [15] 굿리치[alt]5381 22/02/19 5381
161855 [질문] 방역패스 관련 질문입니다 [18] 니체6044 22/02/19 6044
161854 [질문] 30인치 이하의 삼성 또는 LG 스마트 TV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사다드4865 22/02/19 4865
161853 [질문] 남자향수 추천부탁드립니다! [5] 토끼회사5405 22/02/19 5405
161852 [질문] 이 경우에 비용 어떻게 분할 할거 같으세요? [31] 레너블7323 22/02/19 7323
161851 [질문] 검색결과에 저작권법이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20] 멜로7052 22/02/19 7052
161850 [질문] 스마트워치 중에 통화되는 제품이 있나요 [4] 외계소년5840 22/02/19 5840
161849 [질문] 백신접종 당일예약 질문입니다 [3] 빅픽쳐4375 22/02/19 4375
161848 [질문] 산후조리원 질문드립니다. [37] 신의주찹쌀두뇌5973 22/02/19 5973
161847 [질문] 핸드폰 액정이 조금 깨졌는데 수리 vs중고폰 구매? [8] rDc665752 22/02/19 575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