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11/04 13:29:10
Name 휘군
Subject [질문] 주택담보대출을 미리 상환하는 게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아파트 대출 관련해서 여쭤볼게 있는데요.
현재 시세가 15억 정도 하는 아파트를 가지고 있고, 주택담보대출이 6억 정도 있습니다. (대출이 막히기 전에 막차를 탔습니다)
저는 돈이 생길 때마다 대출을 꾸준히 갚아나가자는 입장이고,
아내는 대출이 막혀 있으니 나중에 집을 팔 때 대출을 끼고 파는 게 거래가 쉽지 않겠냐고, 대출을 갚지 말자고 합니다.
즉 현금 9억 있는 분들이 6억의 주담대를 승계하는 조건으로 사면 매수가 쉬울 것이다라는 얘기인데요...
이게 가능한 얘기인지 저는 잘 모르겠어서 여쭤보고 싶습니다. 또 요즘 시국에 주담대를 갚아나가는 것이 도움이 될지도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60828
21/11/04 13:41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도 갚지 않는게 좋아보입니다.
21/11/04 13:48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조언 감사합니다!
이혜리
21/11/04 13:45
수정 아이콘
실물의 가치는 유지 혹은 증가하고, 화폐의 가치는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안 갚을 수 있다면 최대한 갚지 않는 게 맞습니다,
게다가 주담대 이자는 시중에 어떤 신용대출/마통 이자보다 저렴합니다,
21/11/04 13:48
수정 아이콘
조언주신대로 갚지 않기로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연어처리
21/11/04 13:59
수정 아이콘
참고로 주담대는 승계가 없습니다.
매수자가 따로 다시 주담대를 받는거에요. 그러므로 보유하신 집은 15억이 넘는 순간 어차피 현금박치기로만 살 수 있습니다.
21/11/04 15:02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21/11/04 14:03
수정 아이콘
잘 굴리세요.. 갚지말고
21/11/04 15:02
수정 아이콘
네 그래야 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21/11/04 14:05
수정 아이콘
정해진 원리금 납부가 있어서 그건 당연히 내야겠지만 그 이상을 갚을 필요는 없을거 같습니다. 그와 별개로 대출을 남에게 승계할 수는 없을겁니다. 즉 대출을 승계해서 집을 팔면 잘 팔릴거라는 말도 틀린 얘기가 되겠죠?
21/11/04 15:03
수정 아이콘
네 대출 승계가 안 된다는 것을 처음 배웠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냉이만세
21/11/04 14:29
수정 아이콘
저도 부동산 알못이지만 어느정도 적당한 금액의 대출이 남아있는 집이 처분하기 더 좋다는 말은 부동산에서도 많이 하시더군요.
21/11/04 15:03
수정 아이콘
저도 부동산이나 대출 같은 것을 잘 몰랐는데, 이번에 댓글 통해 배우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21/11/04 14:35
수정 아이콘
아내분 말씀은 어디서 그리 들으셨는지... 처음 듣는소리라서요
매도시에 그 금액 은행에 상환하셔야합니다. 그리고 다시 매수자가 대출 근저당 잡고요.
21/11/04 15:04
수정 아이콘
아내가 잘못 알고 있었던 모양입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21/11/04 14:38
수정 아이콘
잘모르지만, 대출을 안갚는게 낫다면,, 진짜 대출없이 내돈내산 사람들이 힘들겠네요.
21/11/04 15:04
수정 아이콘
대출 막차를 탄 게 천만 다행이었습니다...
21/11/04 14:40
수정 아이콘
???
대출을 승계한다뇨? 팔때 주담대는 전액 갚는겁니다..

전세대출 승계를 주담대 승계로 잘못 이해하신거 같은데요..
21/11/04 15:05
수정 아이콘
네 이번에 댓글 통해 배웠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위원장
21/11/04 18:14
수정 아이콘
그게 승계가 되면 대출대란이 없었을겁니다
하아아아암
21/11/04 19:08
수정 아이콘
이런 상황에서 주담대는 다시 늘리기가 어려우니 안갚는게 유리하긴 합니다. 갚는건 언제든 할 수 있지만 다시 되돌릴 순 없으니... 이사계획 등 돈쓸일이 앞으로도 없으시고 투자엔 자신없다 하시면 은행이자라도 줄이는게 나을순 있겠지만 저라면 그렇게는 안할듯합니다.
우도땅콩찰떡파이
21/11/04 20:39
수정 아이콘
30년에 3프로 이하면 푹 썩히시면 됩니다.

나머지돈으로 s&p500 만 사도 3%는 훌쩍 넘습니다.
공부맨
21/11/04 23:59
수정 아이콘
이자율/ 변동유무 /상환수수료 가 중요할듯 싶습니다.

저같으면 고정에 3프로 이하면 안갚고
4퍼센트에 변동금리라면 상환을 우선적으로 할것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9585 [질문] 조카가 쓸만한 스마트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그10번10915 21/11/09 10915
159584 [질문] 택배 배송 지연이 도난신고 접수가 될까요? [8] 신의주찹쌀두뇌9807 21/11/09 9807
159583 [질문] 롤 티원 경기 질문입니다 [2] 남자답게7598 21/11/09 7598
159582 [질문] 윈도우10 설치 마우스 멈춤 [13] 요들10221 21/11/09 10221
159581 [질문] 갤럭시/ PC <-> 갤텝. 클립보드에서 이미지 공유가 안 됩니다. [2] 어센틱9122 21/11/09 9122
159580 [질문] 아마존에서 같은 물건 두개를 구입했는데 [8] 시무룩7486 21/11/09 7486
159578 [질문] 컴퓨터 램 관련 질문있습니다 ! [5] 조현8857 21/11/09 8857
159577 [질문] 다른 색상의 전자 제품 2개를 합배송해도 되나요? [3] 귀여운호랑이9939 21/11/09 9939
159576 [질문] 고사양(?) 게임시 PC 전원이 나가는 현상 [17] 트와이스17559 21/11/09 17559
159575 [질문] PDF 개요 만드는 프로그램 추천 부탁드려요 [7] 대왕세종8446 21/11/09 8446
159574 [질문] 사소한/애매한 스포 당하면 저만 화가 나나요.. [35] 베요네타13698 21/11/09 13698
159573 [질문] 옷 환불시 옷 수선비용을 받을 수 있을까요? 채프8859 21/11/08 8859
159572 [질문] 멜론 총스밍량 확인할수 있는 방법이 궁금해요 망개떡7554 21/11/08 7554
159571 [질문] [디아블로2] 아마존 수수 vs 인내 질문입니다. [11] 아침11513 21/11/08 11513
159570 [질문] 요즘 PC 케이스는 펜이 많이 달려있는데 옛날 PC보다 더 시끄러운가요? [9] ESG8928 21/11/08 8928
159569 [질문] 컴퓨터 사양이 좋은데, 렉이 걸립니다ㅠ 어디를 손봐야 할까요? [5] Feitan10146 21/11/08 10146
159567 [질문] 등산복 발열내의에 대한 질문입니다. [1] 냠냠주세오8928 21/11/08 8928
159566 [질문] 광장시장을 제외한 서울 지역에서 육회나 육사시미를 맛있게 먹을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6] 행복을 찾아서8687 21/11/08 8687
159565 [질문] 게임기 하나 사볼려고 하는데.... [27] 닉넴길이제한8자9859 21/11/08 9859
159564 [질문] (지옥스포주의!!!!!!!!!!)지옥 스포일러 당한거같은데 확인 부탁드립니다 [8] 머나먼조상7022 21/11/08 7022
159563 [삭제예정] 폰이 멈칫하면서 뒤로가기 또는 홈버튼이 눌러지는 것 같습니다. 돈벼락8391 21/11/08 8391
159562 [질문] 간단한 선택사항 폼 만들기 [3] 사나없이사나마나6351 21/11/08 6351
159561 [질문] 대학병원에서의 라식... [5] 쿠쿠다스8813 21/11/08 88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