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9/14 23:00:07
Name 가위바위보
Subject [질문] 매트릭스 질문이요!!
<매트릭스 4> 개봉하니 문득 떠오르는 질문 올려봅니다

매트릭스가 너무 어려운 영화라 이해 안되는 부분이 많은데, 가장 이해가 어려운 것이 영화 막판에 스미스 요원이 아키텍트의 통제를 벗어나는 점입니다. 매트릭스는 결국 프로그램일 뿐이고, 스미스 요원은 프로그램 속의 일종의 백신같은 존재로 알고있는데, 프로그램 내부에서 스미스가 폭주한다고 해서 기계들이 왜 쪼는거죠? 매트릭스라는 기획을 무산시킬까봐? 이렇게 적다보니 기계들이 이미 에너지원을 다 확보한 시점에서 매트릭스는 왜 필요한지도 의문이네요. 영화 본지 오래돼서 기억이 가물가물.. 무튼 고수분 있으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9/14 23:17
수정 아이콘
스미스가 폭주해서 매트릭스에 좋을 것이 없지요.
그렇게 되면 매트릭스가 그냥 못 쓰게 되겠죠.

물론, 매트릭스 영화 상에서는 인간들의 활용을 배터리를 가리키며 그렇게 사용한다고 표현하지만 본래 시나리오에서는 CPU라는 설정이었습니다.

아, 그리고 보셨는지 모르겠는데 생각보다 애니매트릭스에서 디테일한 설정 풀이가 많아서 애니매트릭스를 보지 않으면 매트릭스 전체를 이해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가위바위보
21/09/15 23:49
수정 아이콘
애니를 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네이버 시리즈온에서 애니 찾아보고 오겠습니다
해질녁주세요
21/09/15 01:24
수정 아이콘
오래된 영화라 세부내용은 잘 기억나지 않지만 스미스요원은 백신이 아니라 바이러스가 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자기복제로 무한증식하는 바이러스는 프로그램의 위협요소죠.
가위바위보
21/09/15 23:49
수정 아이콘
스미스가 백신에서 바이러스가 되었군요.!! 감사합니다
보라괭이
21/09/15 02: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1편에서는 시스템에 의해 통제받는 백신 같은 것이 스미스 요원이었지만, 1편에서 마지막 엔딩씬을 보면 네오가 스미스요원의 안으로 침투해 내부에서부터 스미스요원을 파괴합니다. 아마도 이것은 시스템상으로 설정해둔 요원의 '죽음'이 아니었던 같습니다. 즉, 총에 맞아 죽든 칼에 맞아 죽든 하면 토대가 된 시스템- 즉, 인간으로 돌아와야하는데, 그것조차 없이 그대로 파괴해버린 것이니까요.

그로 인해서 스미스 요원은 매트릭스 시스템에서 벗어난 프로그램이 되었고, 바이러스와 같은 존재가 되었습니다(스미스 요원뿐만이 아니라 이렇게 매트릭스 시스템에서 벗어난 일종의 프로그램들은 이후에도 몇 개씩 나옵니다. 3편 초반부에 나오는 인물들이 그런 인물들이죠).

시스템의 통제에서 벗어난 스미스 요원은 닥치는대로 시스템을 오염시키고 잡아먹어가면서 본인의 복제를 늘려나가기 시작했고, 이는 매트릭스 자체에 치명타를 입힌 상황입니다. 스미스 요원이 오염시킨 시스템은 현실의 인간들이며, 현실의 인간들의 인격이 없어지고 거기에 스미스 요원의 인격이 덧씌워지고 있는 상황이니까요. 심지어 스미스요원이 이 덧씌운 현실의 인간들의 육체를 끌고 현실로 나왔을 정도입니다. 3편에서 해당 묘사가 나오죠.

즉, 스미스요원의 폭주로 인해서 매트릭스 시스템 자체가 전부 붕괴될 위기에 처한 겁니다. 모든 인간들이 스미스요원으로 덧씌워지기 시작했으니까요. 현재 매트릭스 시스템을 구축한 기계들이 단순 에너지원이 아니라 특정한 목적을 위해서 인간들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상식적으로 기계들이 태양열 쓰지 못한다고 인간들 잡아다가 먹여가고 매트릭스 시스템 구축하면서 에너지원으로 쓰는건 지극히 비효율적이죠, 윗분 말씀대로 일종의 CPU로써 쓰려고 했다, 는 것도 있는데, 이것도 효율이 안 나오는 걸 생각하면, 다른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이건 생각하기 나름이죠), 매트릭스 시스템이 붕괴하는 건 기계들이 결코 원하는 바가 아닌 상황입니다.

사실 오염된 부분의 매트릭스를 초기화해버리고 부숴버리는 건 기계들에게 매우 쉬운 일이긴 합니다. 게다가 인간도 굉장히 많은 상태니까 사실 그 인간들을 전부 없애버리고 새로운 매트릭스를 구축하는 것도 방법이죠. 실제로 현재 메인스토리라인인 네오가 있는 매트릭스가 5번째인가 6번째 매트릭스니까요. 그러나 지금까지 만들어진 매트릭스 중 가장 성공적인 매트릭스 시스템이다보니 포기하기는 너무 아까운 상황이었죠. 골치아픈 상황에서 네오가 나타나 '스미스요원은 내가 처리하겠다'라고 제안한 거고, 기계들이 받아들인 겁니다.

결국 네오는 성공했고, 매트릭스 시스템은 복구되어 다시 이어지게 되었으며, 일시적이지만 기계와 인간들의 전쟁은 멎게 되죠. 4편 시놉을 못 봐서 모르겠는데, 일단 이렇게 평화가 찾아온 상황입니다. 그리고 4편이죠.
가위바위보
21/09/15 23:50
수정 아이콘
오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8281 [질문] 한우 선물세트 아침에 사서 저녁쯤까지 실내에 둬도 괜찮을까요? [5] monkeyD9325 21/09/17 9325
158280 [질문] 융자낀 아파트 전세대출 질문입니다. [2] 삭제됨7557 21/09/17 7557
158279 [질문] 음식관련asmr 유투버를 찾습니다. [3] 55만루홈런8903 21/09/17 8903
158278 [질문] 바이낸스에서 업비트로 송금 질문입니다 [11] 도널드 트럼프7398 21/09/17 7398
158277 [질문] 진짜 괜찮은 계곡 근처 펜션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ㅠㅠ [1] 원스7583 21/09/17 7583
158276 [질문] 백팩 고민중입니다 [2] 코바야시아이카8942 21/09/16 8942
158275 [질문] PGR에 쓴 제 예전 글을 찾을 수 있을까요? [3] 맑은강도6797 21/09/16 6797
158274 [질문] 토요일에 여의도 더현대 백화점 가면 사람 얼마나 많을까요? [10] 코시엔8043 21/09/16 8043
158273 [질문] 요즘 티맵 이상한 경로 알려주는데요 [11] sizzbye9074 21/09/16 9074
158272 [질문] 와인앤모어 와인 추천 부탁드립니다. [4] 기억의습작10163 21/09/16 10163
158271 [질문] 핸드폰 알뜰통신사 관련 다시 한번 질문드립니다. [6] 쏘군7430 21/09/16 7430
158270 [질문] SRT부산역에 유부주머니 포장할만한데가 있을까요 [2] 깐딩7238 21/09/16 7238
158269 [질문] 지인한테 PC본체를 하나 업어왔는데 중고가로 얼마정도할까요? [20] AKbizs9786 21/09/16 9786
158268 [질문] 의자 추천 부탁드립니다. [6] 라온하제9157 21/09/16 9157
158267 [질문] 남성 메신저백 브랜드 추천해 주세요 [9] 바밥밥바10268 21/09/16 10268
158266 [질문] 자전거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엘케인8219 21/09/16 8219
158265 [질문] 낮은 기계식 키보드 써보신 분 [8] 공백10354 21/09/16 10354
158264 [질문] 진거 결말이 개판인가요? [19] Cand13461 21/09/16 13461
158263 [질문] 끈적임 없는 남자 헤어왁스 추천 부탁 드립니다. [4] 벤틀리10019 21/09/16 10019
158262 [질문] 사용부주의로 인한 손상 [5] 나른한오후9814 21/09/16 9814
158261 [질문] 호주 브리즈번 질문입니다. 살고 계시는 분도 계실까요? [2] InYourHeart9137 21/09/16 9137
158260 [질문] 핸드폰(갤폴드2) 멀쩡한데 올갈이 할까요? [11] 아니그게아니고14041 21/09/16 14041
158259 [질문] 다이슨 에어랩 컴플리트 롱 싸게사는 방법? [12] 유니꽃8025 21/09/16 802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