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9/11 20:52:19
Name 차라리꽉눌러붙을
Subject [질문] 모기도 자아가 있을까요?
https://cdn.pgr21.com/humor/432917
이 글 보다가 든 생각입니다만...
모기도 자기가 세상에 존재하는 걸 알고 주변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까요?
아니면 단지 화학과 전기작용으로 자극에 반응하는 유기기계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1/09/11 20:57
수정 아이콘
뭐 자아라는거 자체가 화학과 전기작용으로 형성되는거로 봐야하느냐 마느냐일거라...의미가 있나요?
차라리꽉눌러붙을
21/09/11 23:36
수정 아이콘
이것도 맞죠 아랫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나 이외의 모든 주체의 자아가 있느냐 없느냐도 평생 모를 문제고 스미스 요원이 자아가 있느냐 없느냐도 내 생애에는 평생 모를 문제이긴 하지만...
아랫님이 써 주신 글에 의하면 일단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봐야 겠네요...흐흐
쁘띠도원
21/09/11 21:01
수정 아이콘
엘리베이터 타는거 보니 자아 있는 듯...
사축은웃지않는다
21/09/11 21:42
수정 아이콘
모든 생물들이 그저 세포의 집합에 불과한데 동물의 자아가 고등하고 하등하고를 따진 들 무슨 큰 의미가 있을 까용. 다만, 사는 동안에는 종의 우월을 자랑스럽게 느끼며 살아갈 뿐이지. 영혼론에 비추어도 같은 삶을 사는 동물인데 모기는 영혼이 없고 인간은 영혼이 있고도 우습고, 둘다 영혼이 존재하더라도 영혼의 우위가 존재하는 것 또한 우습고 차라리 불교론 적인 관점에서는 모르겠습니다만, 결론은 모기도 자아가 있을 순 있는데 그런 걸 따진들 아무런 의의가 없으니 무의미 하지 않을까란 생각입니다.
21/09/11 21:51
수정 아이콘
https://www.independent.co.uk/news/science/insects-are-conscious-claims-major-paper-could-show-us-how-our-own-thoughts-began-a7002151.html

2016년에 출간된 논문에 따르자면, '네. 곤충 또한 자아가 있습니다.' 뇌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들에게는 단기기억, 장기기억, 음식취향, 후각취향, 통각 및 통각을 피하려는 사고 등이 존재합니다. 또한 앞서 말한 요소에는 개체에 따른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성격차이' 및 '지능차이' 역시 존재합니다.

동물의 자아에 대한 초기 연구의 대부분의 결론은, '동물은 자각이 없는 잘 만들어진 기계'였습니다. 인간보다 뇌가 작고 제한된 행동만 하기에, 마치 잘 만들어진 로봇처럼, 주어진 환경에 따라서 배고프면 먹고, 졸리면 자고, 급하면 물며, 발달된 자아가 없다는 것이었지요.

뇌과학이 발달하면서, 지금의 동물학 이론은, 사람의 뇌 뿐만이 아니라 동물, 심지어, 곤충을 포함한 무척추동물의 뇌 (지렁이의 '신경 몇가닥'이라고 부르는게 더 올바를 것 같은 뇌까지) 또한 쓸때 없는 공간과 신경으로 가득차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잘 만들어진 기계'인걸 치고는, 아까 일어난 사소한 일을 죽는 순간까지 떠올리는 부분이나, 좋아하는 냄새를 저장하는 공간, 무슨 소리를 입으로 낼지 끊임없이 생각하는 공간 등 같은게 뇌라면 일단 존재했습니다. 다만 논문을 소개한 뉴스기사에 따르자면, 뇌가 작기 때문에 곤충은 오감의 감지수준도 작았고, 기억력의 기간이나, 판단 등에서 더 저열한 성능을 보여주는 경향이 있다고 했습니다. 예를 들어, 벌은 자외선으로 꽃을 구별하지만, 볼 수 있는 색의 종류는 인간이 가시광선으로 보는 색보다 적습니다. 이는 자외선과 가시광선의 특징이 다르기 때문이지만, 더 중요한건 벌의 뇌 자체가 인간 수준으로 풍부한 색감을 애초에 제공해줄 수 없다네요 (무슨 그래픽카드를 보는 것 같지 않나요 흐흐)

다만 인간이 대답하지 못하는 마지막 문제는, '인간보다 수준 낮은 자아는 어떠한 수준의 인지가 가능한가?'라는 것입니다. 이건 아무래도 인공마음, 인공지능을 만들고나서야 (이걸 알아야 먼저 만들 방법을 떠올릴 것 같다는 사소한 문제가 있지만요) 대답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사실 사람은, '자신'을 빼고는 다른 사람의 인지적 결과물 만을 봅니다. 복잡하고 철학적인 이야기이지만, 말 그대로입니다. 우리는 남들이 생각하는걸 느끼지 못하고, 판단의 결과만을 보지요. '점심 뭐 먹을까?'라는 질문에 상대는 '음'이라고 했고, 우리는 '음'을 듣지만. 음이라는 소리와 함께 알 수 있는 것은, '국밥 먹을까?'라는 다른 소리에 불과합니다. 이 존재가 왜 그런 생각을 했는지, 과연 진짜 생각이라는걸 했는지는 알 수가 없죠. 인간 사이도 그런데, '인간보다 수준 낮은 자아는 어떤가?'라는 질문은 시작할 염두도 내지 못합니다. 이걸 알았다면 동물을 대하는 태도가 더 확실하게 정해질 수 있을텐데 말이지요.
골드똥
21/09/11 22:30
수정 아이콘
와우 굉장히 흥미롭네요...질문자는 아니지만 답변 잘 읽고 갑니다
차라리꽉눌러붙을
21/09/11 23:37
수정 아이콘
그 조그만 애들도 사고를 하고 기억도 하고 성격이 있군요...
실제로 자아가 있는 지 없는 지는 평생 모를 문제이지만, 그래도 많은 부분에 대해서 대답이 된 것 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아니그게아니고
21/09/22 16:04
수정 아이콘
모기 고문하러갑니다
차라리꽉눌러붙을
21/09/11 23:39
수정 아이콘
다들 답변 감사드립니다!
오신 김에 이것도 한 번 보고 가시라고 링크를...
https://namu.wiki/w/%EA%B0%90%EA%B0%81%EC%A7%88
마음속의빛
21/09/12 08:11
수정 아이콘
자아는 있겠죠. 짝짓기 할 때, 파트너를 선택하잖아요. 취향이 있다는 의미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8187 [질문] 안경과 마스크에 관한 질문입니다. [11] 좋은마음11363 21/09/13 11363
158186 [질문] 아까 저녁에 올라온 유게 글 질문입니다. (격투 게임 한일전) [4] Zakk WyldE10741 21/09/13 10741
158185 [질문] bgm 제목을 찾습니다!!! (파일첨부) [3] 굼치14595 21/09/12 14595
158184 [질문] 퇴근하면 완전히 잠수타는 직원 [49] 검정머리외국인20478 21/09/12 20478
158183 [질문] 10년전 모니터는 FHD모니터가 아닌가요? [5] 삭제됨14320 21/09/12 14320
158182 [질문] 카운터 사이드 트로피 관련.. [1] 에린의음유시인14244 21/09/12 14244
158181 [질문] 아파트에서 주방 후라이팬 말고 배란다에서 고기 구울 수 있을까요 [21] 농심너구리9687 21/09/12 9687
158180 [질문] 여자친구랑 자꾸 싸웁니다. [21] 종이컵19299 21/09/12 19299
158179 [질문] s10e vs 12미니 배터리타임 [6] Neoguri10193 21/09/12 10193
158178 [질문] 모더나 화이자 백신 알레르기반응 관련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4] HamaHama8533 21/09/12 8533
158177 [질문] 라이젠 4세대 이륙 가능한가요? [12] 자두삶아9713 21/09/12 9713
158176 [질문] 부산 > 강원도 동해. 휴게소 추천 좀 해주세요. [1] 실버벨7849 21/09/12 7849
158175 [질문] 폐업 편의점에서의 재난지원금 사용가능여부 [3] 스핔스핔9123 21/09/12 9123
158174 [질문] 고혈압 환자가 화이자 코로나 백신 맞아도 되나요? [6] 그게무슨의미가9301 21/09/12 9301
158173 [질문] 이 건물에 튀어나와있는건 뭔가요? [5] 패스파인더10727 21/09/12 10727
158172 [질문] 베스트바이에서 물건 사보신 분 계실까요? [4] 인생은아름다워11486 21/09/12 11486
158171 [삭제예정] 대기업 근무 기회가 생겼습니다. [37] 삭제됨11907 21/09/12 11907
158170 [질문] 레버리지 상품의 원리 [4] Albert Camus8279 21/09/12 8279
158169 [질문] vlookup 결과물의 바로 위에 셀값을 찾을 수 있을까요? [4] 그랜드파일날6000 21/09/12 6000
158168 [질문] 롤 방송 재밋게 볼정도 실력을 가지고 싶습니다!! [20] intothe_random6967 21/09/12 6967
158167 [질문] 폴더 크기 보여주는 탐색기 프로그램 있을까요? [4] 부기영화8035 21/09/12 8035
158166 [질문] 영어 스피킹 독학으로 학습하신 분 계신가요? [2] 부기영화7467 21/09/12 7467
158165 [질문] 삭제합니다. [5] 삭제됨8744 21/09/12 87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