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8/16 20:25:23
Name KOZE
Subject [질문] IMF 이후 한국경제가 호황이었던 적이 있었나요?

현대 한국사회와 경제는 IMF 이 전과 이 후로 나뉜다고 들어 알고있는데요, 
IMF 이후 한국경제는 질적이나 양적이나 괄목활 만한 성과를 이루었고 최근에는 GDP 상으로 일본도 추월하는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수치 상으로 보면 '중흥' 이라는 단어를 써도 된다고 생각이 되는데요, 
하지만 80년대 - IMF 이 전까지의 고속성장의 시기를 대부분 '호황의 시기' 기억하는 것에 비해 
IMF 이후와 지금까지 '호황'이라고 부를만한 시기가 있었나 생각해보면 '글쎄요' 인 것 같습니다. 
분명히 경제규모상으로는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만큼 성장했지만 여전히 대선후보들은 경제를 살리겠다고 말하고 있구요.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우두유두
21/08/16 20:26
수정 아이콘
양극화의 시대라 그렇지요. 대기업들 매출을 나날이 경신하는데 중소 자영업자들은 아니라고 생각하시깐요.
에이치블루
21/08/16 20:33
수정 아이콘
그 당시 최고의 호황이었던 것은 맞는데,
그건 우리 뿐 아니고 서구권 전체가 다 엄청난 호황이었죠.
(일본은 역사상 최대 호황)

게다가 당시에는 우리가 개도국이라 금리가 연리 12~15퍼센트. 경제성장률 8~10퍼센트.
저금해도 돈 벌고, 회사다녀도 매년 임금인상(중기업 이상) 해주고, 부동산은 더 벌고...

그리고 80년대 후반 쯤 해서 마이카 시대가 열리면서 집집마다 차 한대는 갖추게 되었지요.

그 당시의 기억으로 보면 지금은 그 "화려한 경제적 폭발"의 느낌은 더 이상 없죠.
이제는 뭘 더 살것도 없고 있을 건 다 있고 금리/물가는 내렸고
임금도 잘 안오르고...

분명히 80년대 대비 풍요롭지만
"내일은 오늘보다 더 잘 살게 될거야"라는 느낌이 없는 시대인 건 맞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21/08/16 20:41
수정 아이콘
경제와 경기가 다르죠

대선후보들이 경제 살리겠습니다 하는 건 경기를 부양하겠습니다라는 뜻으로 받아들이는게...
21/08/16 21:01
수정 아이콘
그 시대를 안 살아본 입장에서는 그때도 호황이란 생각은 안했을거라 봅니다...
21/08/16 21:11
수정 아이콘
GDP 증가로만 보면 IMF극복후 서브프라임 모기지때까지도 그전못지않게 급속성장이긴 합니다
IMF터지기전 한국 인당 GDP가 1만불이 넘었고 지금은 3만불이 넘는데 호황이 없었다는거도...
기업몰빵에 복지가 아닌 전체적인 파이가 늘어나서 삶의 질이 늘어난거야 이전이 더 심하면 심했지 지금이 더 심한거도 아니고요.

호황은 지나고 보니 호황인것 같습니다. 물론 체감이 덜 되는건 기술발전이 예전처럼 급격하지 않아서 그런거도 있는거 같고요
Je ne sais quoi
21/08/16 21:21
수정 아이콘
스스로 쓰셨네요. 수치 상으로 보면 '중흥'. 수치 상으로 보면 지금은 한국의 최전성기이고 아마 역사상 최고점이 될 가능성도 높습니다. 그게 개개인에게 어떻게 다가오느냐는 전혀 다른 문제이겠죠.
21/08/16 21:54
수정 아이콘
개인은 호황을 느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특히 인터넷이 발달한 요즘엔 자기의 상황과 더 잘 사는 사람과의 비교를 하는 사람이 더 많죠. 예능도 관찰이니뭐니 하면서 연예인들 호화롭게 애 키우던가 여유로운 싱글 라이프만 보여주고요.
21/08/16 22:52
수정 아이콘
옛날 광고보시면 뜬금없이 [웰빙]이 나오는 시기가 있습니다.

아마 그때가 정신적으로는 가장 호황이었을 겁니다.
술라 펠릭스
21/08/16 23:26
수정 아이콘
나라 전체가 돈을 버는 거지 '니가' 돈을 버는게 아니니까요.

실재로 고소득층을 위한 산업은 매년 최고점을 갱신하고 있습니다.

그게 '니가' 아닐뿐이죠. 소위말하는 빈부격차죠.

지금도 경제성장률은 선진국 중에서는 높은 편입니다. 쌍팔년도에는 그 부가 그래도 많은 사람에게 갔는데 지금은 그게 일부에게만 가서 문제지.

컴퓨터, 기계화 없애버리면 그 부가 노동에 많이 분배될겁니다. 그런게 그럴 수 없으니까 문제죠.
나리미
21/08/17 01:43
수정 아이콘
호황까진 없었고 IMF 이후로 쭉 우상향입니다.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모두 거시적으론 22년 연속 우상향이에요. 서브프라임 때 위기가 오긴 했는데 그것도 잘 극복한 편이죠.

그러면 비교를 위해선 디테일을 봐야 하는데 (빈부격차라든가 주거안정이라든가 양극화라든가 출산율이라든가) 이 부분에서 노무현 문재인이 이명박 박근혜보다 더 못했죠.
세크리
21/08/17 03:31
수정 아이콘
코스피 3000시댄대 불황이라고는 하기 어렵죠. 앞으로도 최소 20년은 경제성장률 자체는 우상향은 할거라 봅니다. 출산률 극복 하면 그 이후에도 괜찮고 아니면 박살나겠죠. 문제는 앞에서 다 말했듯이 부의 분배죠. 원래도 자본소득이 노동소득보다 앞서는게 문제였는데, 최근들어 더 심해졌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7620 [질문] 레이저 제모 해보신 분 계신가요? 후기 좀 들려주세요! [12] bifrost9055 21/08/20 9055
157619 [질문] 방역조치 중 대중교통 시간단축 효과에 대한 질문 [8] AKbizs20722 21/08/20 20722
157618 [질문] 이 시국에 부산에서 아이들이랑 갈만한 곳 질문드립니다. [5] 이리세10732 21/08/20 10732
157617 [질문] 면접시 비지니스 캐쥬얼 셔츠 단추에 대한 질문입니다. [4] 요한슨16401 21/08/20 16401
157616 [질문] 폴드3 케이스 및 악세서리 어떤걸 준비해야 할까요? [4] Secundo8887 21/08/20 8887
157615 [질문] 애플 에어드랍 질문드립니다. (아이맥->아이패드 pdf 전송실패) [7] 대왕세종20258 21/08/19 20258
157614 [질문] 방역 4단계 3인이상 집합금지 걸리면?? [5] AKbizs13498 21/08/19 13498
157613 [질문] 한 달 정도 공부해서 딸 수 있는 자격증 있을까요? [13] 실버벨10107 21/08/19 10107
157612 [질문] 구글 플레이어 결제 환불 가능한가요? (해킹) [1] 산울림9661 21/08/19 9661
157611 [질문] 평소 자주 먹는 음식 가운데 생각보다 더(?) 몸에 좋지 않은 음식은 어떤게 있을까요? [15] Closing10149 21/08/19 10149
157610 [삭제예정] 아이패드 프로5 vs 갤탭 7 + [20] 아니그게아니고10238 21/08/19 10238
157608 [질문] 오픈형 블루투스 이어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6] 류닌8940 21/08/19 8940
157607 [질문] 연석을 밟았는데 타이어 바꿔야 할까요? [5] I.O.I12535 21/08/19 12535
157605 [질문] 갤럭시 워치4 카톡 답장이 안돼요. 지금이대로9316 21/08/19 9316
157604 [질문] 사촌여동생에게 큰 도움을 받았는데 선물로 뭐가 좋을까요?? [26] kogang200118989 21/08/19 18989
157603 [질문] 윈도우10에 갑자기 테스트 모드라는 글자가 떴는데요 [5] 삭제됨10586 21/08/19 10586
157602 [질문] 투자관련 PGR 글 하나만 찾아주실 수 있으실까요?? [2] 인간성승헌8502 21/08/19 8502
157601 [질문] 신혼부부 부동산 재테크 질문입니다. [17] 부처13434 21/08/19 13434
157600 [질문] 저사양 노트북으로 게임할때 문제점 [8] 기동전사건담11892 21/08/19 11892
157599 [질문] 지금 칩셋 품귀현상이 심한가요? [1] 초갼8440 21/08/19 8440
157598 [질문] 외장하드 추천해 주실 거 있나요? [6] 겨울愛10662 21/08/19 10662
157597 [질문] 본의아니게 백신을 세번 맞을 것 같은데 문제는 없겠죠? [4] 프라이드랜드2112221 21/08/19 12221
157596 [질문] 취업시 연봉 언제 물어보세요? [10] 다이어트14603 21/08/19 1460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