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8/10 13:40:25
Name 알마
Subject [질문] 코로나 백신 맞아야 하는 이유 / 맞지 말아야 하는 이유 글을 찾아볼수있을까요? (수정됨)
코로나 백신 맞아야 하는 이유 / 맞지 말아야 하는 이유

두가지 주장에 대해서 각각
어느정도 주장에 근거가 있고(카더라 말고..)
합리적으로 이야기하는 글이나 영상이 있을까요?

(근거가 없더라도 대표적으로 주장하는글 이라면 보고 싶습니다)

알고계시는 좋은 글이 있다면 양쪽다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덴드로븀
21/08/10 13:45
수정 아이콘
맞지 말아야 하는 이유에 합리적 근거가 있는건 찾기 난이도가 너무 높은데요?... 크크크

https://cdn.pgr21.com/freedom/0?sn=on&keyword=%EC%97%AC%EC%99%95%EC%9D%98%EC%8B%AC%EB%B3%B5
맞아야 하는 이유는 피지알 자게에서 여왕의심복님 글만 검색해도 수두룩하게 나오니 그리 어렵진 않구요.
21/08/10 13:4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크크
글 내용 추가 했습니다..
라이언 덕후
21/08/10 14:20
수정 아이콘
맞지 말아야 하는 글은 모르겠지만 그런 주장이라면

젊은 층은 치사율도 중증도 낮다. 어리면 어릴수록

그에 비해 코로나 백신으로 부작용이 나서 잘못될 확률은 유의미하게 있다.

그런고로 아주 젊다면 안맞는것도 전략이다.

뭐 이런 내용의 댓글이나 주장은 제법 본것으로...
피지알러
21/08/10 14: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모더나 또는 화이자 백신을 맞을 예정이므로 해당 백신들을 맞지 말아야 하는 이유를 재미삼아 써 봤습니다.
근데 찾다 보니까 저도 화이자는 별로 맞고 싶지 않네요 워낙 사망 신고가 많아서..

[모더나는 혈전증 검사를 거부하므로 맞고 혈전증 걸릴 경우 보상이 불가능]
* 모더나 접종 후 혈전증 검사 거부한 질병청…20대 끝내 숨져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2589429

[화이자는 접종 후 사망 신고가 가장 많이 접수된 (AZ보다도 많음) 가장 위험한 백신]
[전체 백신 누적 사망 신고 사례는 448명이며, 다른 증상으로 먼저 신고됐다가 상태가 악화해 사망한 경우
(191명)까지 포함하면 사망자는 639명(화이자 372, AZ 257, 얀센 9, 모더나 1)이다.]

* 건강했는데 화이자2차 맞고 다음날 사망했습니다
* 화이자 접종 5분 만에 쓰러져 혼수상태…국가 믿은 잘못
* 포항서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사망 잇따라…이달에만 3명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8&aid=0004628836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16&aid=0001846771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4561277
나파밸리
21/08/10 15:08
수정 아이콘
주변에 주저하시는 분들 말을 들어보면 지금까지 나온 백신에 비해 초고속으로 만들어진 거라 장기적 안정성에 우려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더군요
21/08/10 15:16
수정 아이콘
여왕의 심복님 후배라고 하신 군의관? 분이 자게에 올린 글이 일반론과 조금 달랐던 거 같네요. 백신 맞지 말라는 글은 아니었습니다만... 닉네임을 몰라 검색은 못하겠네요.
라이언 덕후
21/08/10 16:02
수정 아이콘
찾아보니까 글이 삭제되었네요.
쿠키루키
21/08/10 15:37
수정 아이콘
재미삼아 적어보자면
국가 정부 입장에서는 백신 부작용으로 몇명 죽더라도 국민들보고 무조건 백신 맞아라고 하겠죠. 국가 정상화를 위해서요.
하지만 개인 입장에서 보자면 자신의 신체 건강하다면 코로나보다 백신으로 죽을 확률이 더 높을지도???
코로나 발생 1년반동안 20-30대는 코로나로 인한 사망자보다 백신으로인한 사망자가 더 많은 느낌적인 느낌입니다.
물론 뇌피셜입니다.
상록수
21/08/10 17:03
수정 아이콘
20-30대의 백신접종 후 사망률과 코로나 감염 후 사망률의 비교가 있는 지 궁금하네요.
HA클러스터
21/08/10 17:07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20-30대 코로나 누적 사망자가 총 15명(오늘기준)인데 백신으로 인한 사망자는 20-30대 각각 1명씩 총 2명입니다.
이제 뇌속 정보를 정정하시는게 좋겠습니다.
나파밸리
21/08/10 18:02
수정 아이콘
일본정보를 보면 백신접종후 사망자가 7월말기준 919명으로 나오더군요
물론 백신부작용으로 인한 사망으로 인과관계가 인정된건 아니고 그냥
접종후 죽었다는 정보이기는 한데 불안해 하시는분들 기분도 이해가 되기는 합니다
https://news.yahoo.co.jp/articles/e7b4f212c1981e11346760399e3af2091e2239ba
21/08/10 18:15
수정 아이콘
이건 확률로 비교할 문제가 아니라 선택의 문제겠죠. 접종 비접종 어느쪽이 확률적으로 더 안전하냐는 문제와는 별개로 코로나 사망은 운이나 개인 방역의 영역인데 백신으로 인한 죽음은 어쨌든 안 맞으면 0%니깐요. 그리고 사망자와 별개로 2~3일 이후로도 백신 후유증을 상대적으로 오래 겪고 그로 인해 일상생활에 영향이 가거나 큰 병원에서 검사를 받는 분 사례도 적지 않게 있고요. 그럼에도 사회적 이익이 훨씬 크니깐 다들 권장하는 거겠지만 아주 낮은 확률이라도 사망자나 심각한 부작용을 겪는 사람이 있는 걸 부정할 순 없습니다. 어떻게 보면 공익을 위한 희생자죠.
21/08/10 23:25
수정 아이콘
백신 부작용이야말로 운(확률)이고 접종 시 중증, 사망률은 급격히 낮아지는데 확률로 비교할 문제가 아니라는 건...
이야기하신 대로라도 코로나 사망도 확률(운)로 비교할 수밖에 없는 문제인데요
내가 개인 방역을 철저히 하면 부작용 확률보다 감염 후 중증, 사망 확률이 낮지 않겠냐는 논리를 주장하시는 것 같기도 한데 사실 이것도 부작용 확률은 매우 희박한데 비해 감염률 및 치명률은 높아서 맞지 않는 주장입니다.
백신 부작용 확률은 매우 낮은데 중증, 사망률은 매우 낮아지니까요 결국 사회적 이익도 이익이지만 개인의 이익에도 백신 맞는 게 무조건 좋습니다.
21/08/10 23: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말씀하신 건 너무 당연한 말씀이고 그래서 저도 백신 맞았습니다. 저는 코로나 감염과 백신 부작용을 비교해서 둘 중 어느게 낫다는 주장을 하는 게 아니고 단순히 백신 부작용은 안 맞으면 0%라는 말을 한 겁니다.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변수라는 거죠. 여기에 대한 가치 판단은 논외로 하고 쓴 댓글입니다. 애초에 질문자분의 질문은 백신 맞아야 하는 이유만 물어보신 게 아니니까요. 백신 접종이 사회적 이익 뿐 아니라 개인의 이익도 된다는 말씀도 너무 당연한 말씀인데 뭐 어쨌든 소수라도 사망자가 있는 건 사실이니까요. 옳은 일이고 더 나은 선택이더라도 그 이면에 그늘도 있는 거죠. 아무튼 제 댓글은 백신 접종할 필요 없다고 주장하는 댓글은 아닙니다.
21/08/11 00:17
수정 아이콘
아 알겠습니다. 제가 너무 넘겨 짚은 부분이 있네요 죄송합니다.
진짜진짜라면
21/08/10 17:22
수정 아이콘
접종자 개인적으로도 백신 부작용의 희박한 확률보다(언론에서 하도 부작용을 보도해서 과대표되긴 하지만) 감염률, 중증, 치명률이 줄어드는 장점이 더 크구요, 사실 백신은 사회 구성원으로서 이웃을 위해 맞는것이기도 합니다.
감염률이 떨어지니 고생하는 행정인력이 덜 고생하게 되고, 걸려도 중증으로 발전할 확률이 떨어지니 지친 의료진에게 주는 부담을 경감시키고 기타 의료서비스가 필요한 환자들의 침상을 확보해줍니다. 큰 견지에서는 바이러스의 변이확률이 줄어들고 아직 접종받지 못한 기저질환자들에게 전파될 확률도 줄어들겠네요.
21/08/10 18:43
수정 아이콘
저는 백신 부정적으로 보는데
빨리나온 백신이라..당장 괜찮을지 몰라도 장기적인 부작용도 봐야겠죠.. 지금 당장도 사지마비,사망 같은것도 나오구요 저희부모님 백신예약 해드렸는데 불안합니다 나는 백신맞고 괜찮다 라는 분은 많지만 당장 내가족이 저런 부작용이 생긴다면 무섭습니다
지금보면 백신이야기가 많은데 변이가 계속나오는 상황에서 코로나초기에 나온 백신이 어디까지 대응할지..
또 변이에 다른 백신이 나온다고 해도 또 언제 맞을수 있을지.. 이제는치료제 라고 생각합니다
21/08/11 10:56
수정 아이콘
답글달아주신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7490 [질문] k팝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11] 캡틴골드9207 21/08/14 9207
157489 [질문] 신혼여행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10월말) (제주vs동해안vs남해안) [13] 여의10345 21/08/14 10345
157488 [질문] 게임에 비유해 바이러스와 백신을 설명하려면 이러면 될까요? [2] VictoryFood10422 21/08/14 10422
157487 [질문] 이런 영상 효과를 뭐라고 하나요? [2] RookieKid9733 21/08/14 9733
157486 [삭제예정] 키보드 키가 바뀌었어요(한글말고 영어만) [2] 아니그게아니고7145 21/08/14 7145
157485 [질문] 직장인이면서 상가 월세 받는 분 있으신지요...? [8] nexon9295 21/08/14 9295
157484 [질문] 이 장난감 이름이 뭐죠??? [24] 에이핑크7987 21/08/14 7987
157483 [질문] 롤 지배룬과 아이템 질문있숩니다. [1] 김솔12982 21/08/14 12982
157482 [질문] 제주도 렌트카 어디서 빌리셨나요? [11] Stylish8658 21/08/14 8658
157481 [질문] 예전 스타리그 경기 고화질로 볼수 있는 곳이 있나요? [1] 삭제됨7045 21/08/14 7045
157479 [질문] 청주에서 바다 보러 가고 싶습니다. [8] 고요10428 21/08/14 10428
157478 [질문] 기존 쓰던 ssd자료 옮기기 질문. [2] 북극곰이크앙해따9222 21/08/14 9222
157477 [질문] 로아 복귀 뉴비 질문 몇개 던져봅니다. [3] Euphoria10921 21/08/14 10921
157476 [질문] 컴퓨터 문제때문에 수리 맡길곳을 찾고 있습니다 [8] 노래하는몽상가10680 21/08/14 10680
157475 [질문] 재개발 관련 질문입니다. [4] 메디락스10807 21/08/14 10807
157474 [질문] 이인제 방지법의 회피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8] 이라세오날9496 21/08/14 9496
157473 [질문] 구글 G Suite 쓰면서 그룹메일 어떻게 쓰나요? [5] 앗흥9058 21/08/14 9058
157472 [질문] 네스프레소 에센자미니 첫사용 중 문제가 생겼어요 [2] Dončić9361 21/08/14 9361
157471 [질문] 보건소 선별진료소 연결이 원래 어려운가요? [3] 블리츠크랭크9975 21/08/14 9975
157470 [질문] 코로나백신 접종 후 진통 질문입니다 [1] 루엘령12634 21/08/14 12634
157468 [질문] 진지하게 QM6 어떤가요? [23] 마오카이13878 21/08/14 13878
157466 [질문] 다이슨 드라이기 vs 에어랩 [24] 천우희12016 21/08/13 12016
157465 [질문] 노션 페이지 잠금, 비밀번호 [2] 기나35853 21/08/13 3585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