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8/08 13:49:42
Name 티타늄
Subject [질문] 하루종일 높은 집중력을 유지하는 사람들의 비밀은 뭔가요? (수정됨)
롤 게이머 도파를 보면서 어떻게 저렇게 하루종일 게임을 하는데도 집중력이 전혀 떨어지지 않는거지 하는 궁금함이 생겼는데요.

금쪽같은 내새끼로 유명하신 오은영선생님도 방송에서 하루종일 일해도 거의 지치지 않는 편이라고 말씀하시더라고요.

예전에 수학공부를 잘하던 어떤 친구가 아침부터 밤까지 하루종일 매우 어려운 수학문제를 푸는데도 거의 동일한 집중력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걸 보면서 너무 신기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푸는 속도도 일정한데, 피곤하면 놓치기 쉬운 사소한 조건도 꼼꼼하게 챙기면서 계산도 깔끔하게 해내더라고요.


도대체 이런사람들의 비밀은 뭘까요?
어떻게 이런 수준의 멘탈을 갖는걸까요?


본인생각
1. 휴식 : 저는 지치지 않으려면 중간중간 휴식을 계속 해줘야한다고 생각했는데, 여러 반례인 사람들을 보면서 그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오히려 이런사람들은 중간에 쉬는시간 없이 쭉 연달아 몇시간씩 집중하기도 하고요.

2. 뛰어난 실력: 특정 분야에 실력이 있으면 지치지 않는다고 막연하게 생각했는데, 실력이 필요한건 맞지만 실력만 있어서 되는건 아닌것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최정상급 실력을 가진 사람들도 집중력이 널뛰는 경우를 주위에서 여럿 봐서요.

2. 흥미나 동기: 제가 흥미도 있고 실력도 있는 분야에서 작업을 수행하는걸 보면 연달아 몇시간을 한 뒤의 결과물 차이가 큰걸보면 이것도 결정적인 차이는 아닌것같습니다.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롤스로이스
21/08/08 13:56
수정 아이콘
집중한다는거 자체가 재능의 영역이라고 생각하고 예를 드신분들은 집중의 결과물에 대한 믿음 & 성취감 & 보상을 본능적으로 캐치하고 파고드는거 아닐까요?(본능=결국은 지능)

IQ로 퉁치기엔 넓은 범위지만 뇌의 능력차이가 삶의 차이를 만드는거 같아요 ㅠ 알면알수록 불공평하지만요
해질녁주세요
21/08/08 13:59
수정 아이콘
어떤 분야를 잘 하게 되면 집중력이 덜 필요합니다.
이세돌 기사 인터뷰 보니까, 바둑대회에서 바둑 두면서도 오늘 점심은 뭐먹지라는 생각을 한다고 합니다.
뭔가에 온전히 집중하는 지 아닌지는 사실 본인도 잘 모르고 다른 사람은 더 모르죠.
티타늄
21/08/08 14:03
수정 아이콘
저도 이 생각은 해본적이 있는데, 그러면 비슷한 실력을 보여주더라도 빨리 지치는 사람과 잘 지치지 않는 사람간에는 후자에 잠재력을 훨씬 크게 쳐줘야하는건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근데 이러면 또 좀 반직관적인것 같기도 하고요.
해질녁주세요
21/08/08 14:15
수정 아이콘
두명이 비슷한 실력이고 결과물도 동일한데 A는 일 끝나면 넉다운이고
B는 일 끝내고 쌩쌩하게 투잡 뛰러 간다면 일반적으로는 B의 잠재력이 더 크다고 봐야겠죠.

하지만, 정신력의 대부분은 체력에 달렸다고 보는 입장이라 만약 트레이닝을 통해 A의 체력을
높여준다면 B를 능가하는 정신력을 보여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티타늄
21/08/08 14:17
수정 아이콘
체력이란건 심폐력을 의미하는건가요? 유산소성 운동으로 개발가능한..?
혹은 그 분야에서 오랫동안 집중하는 연습을 의미하시는건가요?
해질녁주세요
21/08/08 14:24
수정 아이콘
정신력은 체력에 달렸다라는 말에서의 체력은 신체적 체력입니다. 유산소 운동도 될 수 있고요.
푹 자고 난 아침의 집중력과 하루종일 노가다하고 퇴근 후 저녁의 집중력의 차이 생각하면 될 듯 합니다.
티타늄
21/08/08 14:27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드립니다.
21/08/08 14:06
수정 아이콘
초보 운전자는 시내 한바퀴만 돌아도 지치지만
숙련자는 그렇게 크게 안 지치죠.
티타늄
21/08/08 14:14
수정 아이콘
운전으로 생각해보니 또 이게 맞는것같기도 하네요 크크
21/08/08 14:13
수정 아이콘
2번이요....... 실력이 되니까 남들보다 에너지를 덜 쏟아도 되지 않을까요
오클랜드에이스
21/08/08 14:32
수정 아이콘
2번.

자기가 실수할만한 구간과 실수가 안 나오는 구간을 아니까 집중을 적재적시(?)에 할 수 있겠죠.
부기영화
21/08/08 14:33
수정 아이콘
개개인의 체력(운동능력)도 천차만별이듯, 두뇌의 성능과 성능유지시간도 차이가 클 거에요. 물론 운동해서 체력을 키우듯이 두뇌의 능력도 키울 수 있을 거고요.
This-Plus
21/08/08 14:49
수정 아이콘
레벨이 올라갈 수록 동기부여 측면이 커지는 것 같습니다.
그 닉네임
21/08/08 15:07
수정 아이콘
최상급들간의 경쟁에서는 실력은 다 엇비슷하니 흥미나 동기, 인생모토 같은게 중요하더군요.
롱런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하는 일 자체를 좋아해서,
남들은 성과가 안나올거 같으면 대충하는데,
이 사람들은 매사에 최선을 다해요.
친구중에 공부랑 연구를 너무 좋아해서, 군대 휴가 4일나오면 3일을 연구실에 있다가 들어간놈 생각나네요. 사지방에서 논문쓰고...
두둥등장
21/08/08 15:18
수정 아이콘
정신과 약 먹으면 저런 집중력부분도 향상시킬수 있다던데요.그런면에선 어느정도 훈련이나 도핑으로 향상가능한것도 같고요
21/08/08 15:32
수정 아이콘
습관화의 영역이라 봅니다.
일종의 루틴같은거요
잘 보시면 집중 잘 하는 사람만 계속 집중 잘해요
21/08/08 19:54
수정 아이콘
자기가 재능 있고 잘하는 분야에서 일하는 게 최고의 비결이지 싶네요
Mephisto
21/08/08 23:16
수정 아이콘
하나만 가장 큰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고 그걸 찾으려고 하니까 그런거죠.
님이 말씀하신 3가지가 다 어우러져야 합니다.
그 중에서 더 효율 좋은걸 찾으려고 하니까 오히려 언벨런스해져서 집중력이 떨어지는거에요.
21/08/09 02:34
수정 아이콘
돈(동기)하고 체력인 것 같슴다. 재미는 따라오더라고요 저거 충족되면
21/08/09 14:06
수정 아이콘
집중하는 것도 재능의 영역입니다..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게 아니라고 봅니다..
그냥 습관화 되서 일정 이상 집중하는 것을 말하는게 아니라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7356 [질문] 피부관리 화장품 추천 좀 부탁드려요 [6] 이지금19347 21/08/09 19347
157355 [질문] 냉동 식품(너겟 등등)류에 어울리는 소스 추천부탁드립니다 [25] Cand14898 21/08/09 14898
157354 [질문] foldersync 동기화 질문입니다. [4] 탄야13583 21/08/09 13583
157353 [질문] 핸드폰 통신사를 LG 로 바꿨는데 인터넷 결합이 가능할까요? [1] -Aka12602 21/08/09 12602
157352 [질문] 모니터 질문드립니다. [2] 365일10368 21/08/09 10368
157351 [질문] 얀센 백신 맞은 30대는 이번에 신청 대상 아닌건가요? [7] 치카치카11533 21/08/09 11533
157350 [질문] 상가 임대사업자 회계사무소에 월 회비내고 관리받기 필요할까요? [6] 얼티멧클론10019 21/08/09 10019
157349 [삭제예정] 코로나 백신 부작용 검사비 관련 질문입니다. [4] MaillardReaction10509 21/08/09 10509
157348 [질문] 혹시 이 사무용품 이름이 뭔지 알 수 있을까요? [3] 산양12002 21/08/09 12002
157347 [질문] 기막힌 이야기 실제상황과 비슷한 프로그램 뭐가 있을까요? [3] WhiteBerry8885 21/08/09 8885
157346 [질문] 도서관 장서 정기구입 주기 [10] ELESIS11136 21/08/09 11136
157345 [질문] 치아 스케일링도 의사가 잘하나요? [15] 어바웃타임10825 21/08/09 10825
157344 [질문] PC 유튜브 화면 깨짐 저만그런가요? 윤정9788 21/08/09 9788
157343 [삭제예정] 유게에 네이버 풀매수글? [30] 만두13685 21/08/09 13685
157342 [질문] 2년전 전체리모델링후 천장도배(사진유) 뜯어졌는데 비용청구 문의드립니다. [3] Mamba8196 21/08/09 8196
157341 [질문] 여권 재발급 vs 만료 후 신규발급 [6] 한량기질10124 21/08/09 10124
157340 [질문] 지금 스타1인기가많을까요? 스타2인기가 많을까요? [16] 시오냥11756 21/08/09 11756
157339 [질문] 중고차 판매시 서류 [8] 모르는개 산책10352 21/08/09 10352
157338 [질문] 대출해서 우량주 or 배당주 투자하기? [23] 난할수있다11024 21/08/09 11024
157337 [질문] 제주도 가족 여행 사회적 거리두기 [6] 쉽지않다13582 21/08/09 13582
157336 [질문] 자전거 바지 질문입니다. [2] 바람의 빛8894 21/08/09 8894
157335 [질문] 자동차 보혐료 할증관련 질문드려요. [2] 언니네 이발관9562 21/08/09 9562
157334 [질문] 일하다가 멘붕왔네요...하하... [3] 나른한오후9106 21/08/09 910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