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8/06 11:24:54
Name 불굴의토스
Subject [질문] 배구, 탁구, 배드민턴도 서브하는 쪽이 유리한가요?
테니스는 서브하는 쪽이 압도적으로 유리한것은 알고 있습니다.


배구,탁구,배드민턴도 서브권이 있어야 유리한가요?

경기를 보면 잘 체감이 안 돼서, 퍼센트같은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탁구는 서브치는 쪽이 조금 유리해보이긴 하더군요. 체감상..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8/06 11:28
수정 아이콘
제가 잘 아는 건 아니지만, 가장 덜 유리한 종목으로 줄 세우자면
배드민턴 < 배구 < 탁구 아닌가요?
醉翁之意不在酒
21/08/06 11: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탁구는 서브하는쪽이 조금이 아니라 많이 유리하죠.
그래서 서브기술에 여러가지 제한을 두는거구요.

배드민턴은 탁구정도는 아니지만 그래도 서브에 여러가지 제한조건을 거는걸 보면 역시 서브가 유리하죠.
어찌됐건 서브하는 쪽이 경기 흐름을 주도하면서 시작할테니

배구는 당연히 받는 쪽이 선공을 하게 되니까 받는 쪽이 유리하구요.
봄날엔
21/08/06 11:36
수정 아이콘
탁구가 테이블 테니스 라서 테니스랑 비슷한 정도로 서브가 유리한 듯요..?
Extremism
21/08/06 11:42
수정 아이콘
테니스, 배구는 남자부에서 서브 득점으로 끝나는 경우가 꽤 있어서 유리한데 여성부 쪽은 조금 유리하지 그게 그거... 탁구는 남녀를 떠나 서브가 압도적으로 유리
21/08/06 11:45
수정 아이콘
다른 종목은 모르겠고 배구는 강한 서브, 까다로운 서브를 강조하기 시작하면서 양상이 바뀌었지만 원래는 서브권 가진 쪽에서 득점내기 어려웠습니다.

배구의 흐름이 어떻게 변화했냐면
서브권 가진 쪽에서 득점하기 어렵기 때문에 강한(또는 까다로운) 서브를 넣기 시작하니 그에 따라 리시브가 어려워졌고,
리시브가 제대로 안 된 공을 느린 오픈 공격으로 연결하면 2-3인 블로커가 따라와 막힐 확률이 높아졌죠.
그래서 소위 스피드 배구라고 하는 리시브가 거지같이 올라와도 세터가 최대한 빠르고 낮게 보내주고
좌우 C퀵과 파이프를 활용한 4인 공격 체제(좌, 우, 중앙, 백어택)를 통해 블로커가 붙기 전에 공격하는 패턴이 유행하기 시작합니다.
醉翁之意不在酒
21/08/06 11:49
수정 아이콘
지금도 리시브하는 쪽이 득점이 더 높지 않나요?
한쪽이 서브만하고 한쪽이 리시브만 한다면 아마 더블 스코어 나올거같은데
21/08/06 11: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결론은 그래도 리시브가 유리하다고 생각한다 입니다.
강한 서브를 구사할 수 있는 선수는 한정적인데다 2번의 기회가 있는 테니스에 비해 배구는 한 번이니까요.
또 강한 서브에 대항하여 소위 스피드 배구를 통해 리시브가 헤쳐나가고 있구요.

다만 과거에 비해 서브 쪽에서 해볼만 해 졌다는거죠.
나의규칙
21/08/06 11:54
수정 아이콘
옛날 배구나, 지금 한국 여자 배구는 확실히 리시브 쪽이 더 유리한 것 같은데

현재 세계적 수준의 남자 배구 같은 경우에는 잘 모르겠습니다. 서브를 -앞에 블로킹 없이 제대로 스파이크 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여기는 선수들이 워낙 많아져서 서브 좋은 선수가 계속해서 서브 넣을 수 있다면, 계속 서브권 선택하는 팀도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Rorschach
21/08/06 11:52
수정 아이콘
서브가 그냥 규칙적으로 바뀌는 경우 (테니스/탁구/배드민턴)의 경우 서브 넣는 쪽이 좀 더 유리하고,
이긴 쪽이 서브를 하는 배구는 반대라고 보면 될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강한 서브에 의한 득점과 블로킹 득점이 큰 의미를 가지는 거죠.
욕심쟁이
21/08/06 12:33
수정 아이콘
https://www.donga.com/news/Sports/article/all/20200203/99513757/1
정확한 링크 가져왔습니다.
탁구>배드민턴>배구 입니다.
티모대위
21/08/06 14:41
수정 아이콘
배드민턴이 서버 쪽이 불리한건 처음알았네요
서버가 조금 유리할거라고 생각했는데, 큰 차이가 나진 않네요.
달달한고양이
21/08/06 12:43
수정 아이콘
남녀 다를 것 같은데 테니스는 여자도 서브하는 쪽이 위기일 때가 많은터라…남배구 서브 보니까 살벌하긴 하던데요 크
JP-pride
21/08/06 13:18
수정 아이콘
배드민턴도 경험상 서브넣는쪽이 선공권을 갖는경우가 많은거같아요
21/08/06 13:30
수정 아이콘
배구 서브에이스가있지만 서브범실도있고 받아내서 스파이크 때리는게 더 좋아서 불리하다고봄
싸구려신사
21/08/06 13:30
수정 아이콘
윽.. 이거보니 10여년전 영어 본문이 떠오르네요.

기억은 안나지만 어느종목에서 (아마 테니스였던듯) 강한서비스 후에 겨우 공받아 넘기면 스매싱을 날려버려서 서브한쪽이 넘나 강했었더라.. 라는 글을 해설지를 통해 확인하고서 속이쉬원했던...
아웅이
21/08/06 13:40
수정 아이콘
저도 봤어요 크크크 수능특강이었지 싶은데
테니스가 서브포함 3번만에 모든 경기가 끝나는 양상이라 재미없어졌다고..
ANTETOKOUNMPO
21/08/06 17:16
수정 아이콘
1. 서비스가 유리한 경우 : 서비스를 순서대로 번갈아 함.
2. 서비스가 불리한 경우 : 득점한 팀이 서브 함.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물론, 배구같은 경우 강한 서브를 구사하는 경우 유리한 부분도 있지만 실패확률도 꽤 되어서 아직까지는 리시브 측이 유리하다고 보는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몇몇 종목에 대해서는 테니스, 탁구는 1번의 사례이고, 배드민턴, 배구는 2번의 사례네요.
불굴의토스
21/08/06 17:36
수정 아이콘
모두들 답변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7296 [질문] 임대차 3법. 임대차 만료 후 2~3개월 합의 연장에 대한 질문입니다. [7] 기억의습작11252 21/08/07 11252
157295 [질문] 혹시 게시판 위치 저만 이런가요 ㅠㅠ [4] 유자농원8609 21/08/07 8609
157294 [질문] 디아블로3 질문입니다. [5] backtoback7816 21/08/07 7816
157293 [질문] 화상면접용 웹캠 추천 부탁드립니다. [1] 색마13403 21/08/07 13403
157292 [질문] 신축아파트 분양가의 적정가격 [7] style9042 21/08/07 9042
157291 [질문] 스타2 캠페인, 멩스크가 어디까지 알고 있었던 건가요? [3] 샤르미에티미7385 21/08/07 7385
157290 [질문] 유재석이 주차장에서 자동차 잠글때 삑삑거리는 걸로 장난치는거... [8] 공실이9403 21/08/07 9403
157288 [질문] 멸균우유 보관법 질문입니다. [11] 네오크로우11478 21/08/07 11478
157287 [질문] pc-phone 상호연동되는 할 일 목록 관리어플 어떤 게 좋은지요...? [6] nexon10736 21/08/07 10736
157286 [질문] 유튜브 8k를 끊기지 않고 볼 수 있다면 넷플릭스 4k도 가능할까요? [17] 코기토9994 21/08/07 9994
157285 [질문] 기계식주차 잘아시는분 계실까요? [9] 큐브큐브13403 21/08/07 13403
157284 [질문] 미국 주식 단체 소송 해보신 분 있나요? [3] Alynna8862 21/08/07 8862
157283 [삭제예정] 이런 경우에 법률 상담은 어디서 받는지 궁금합니다 [3] 삭제됨10300 21/08/07 10300
157282 [질문] 대장내시경 원래이런가요?(응가얘기) [16] 유니꽃12909 21/08/06 12909
157281 [질문] 스연게에 있던 여자배구 분석글 다른곳에서 볼 수 있을까요? [4] Dreamlike11261 21/08/06 11261
157280 [질문] 드라이버 부스트라는걸 써봣는데요. [2] 스핔스핔11943 21/08/06 11943
157279 [질문] 매제한테 존댓말 쓰는 게 이상한가요? [21] roqur11099 21/08/06 11099
157278 [질문] 방역수칙에 대한 도덕적 잣대는 어느정도세요? [23] 푸끆이8308 21/08/06 8308
157277 [질문] 요새 프린트 없어도 살만한가요? [4] Right8751 21/08/06 8751
157276 [질문] 닌텐도 ds lite 수리 질문이요 [4] 원장7490 21/08/06 7490
157275 [질문] 오랜만에 데스노트가 다시 보고 싶어졌습니다. [6] 달달한고양이7838 21/08/06 7838
157274 [질문] 책상에 앉아있을때 목이 결립니다. [2] 熙煜㷂樂6417 21/08/06 6417
157273 [질문] 토요일에 북악스카이웨이 가보려고하는데 주차관련질문. [7] 티맥타임6637 21/08/06 66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