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8/01 17:50:30
Name 양말발효학석사
Subject [질문] 외국에 갈때 해당국가 좀 똘똘한 7세 수준의 언어능력을 얻을려면 어느정도 공부해야 하나요?
좀 똘똘한 7세 수준이면

어른들 말 웬만한건 다 알아듣고,

어려운 문장빼곤 1초만에 다 대답 가능하고,

쓰는것도 기초적인건 가능하고요.

어른들하고 20분 이상 필요하면 하루정도도 말 할 수 있는 수준이라 보는데요.

하루 꼬박 말하는 수준이면 해당 국가 사람이니 그냥 30분 정도는 계속 말 할 수 있는 수준으로 보고요.

외국인 7세 수준의 언어능력을 얻을려면 어느정도 공부해야 하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8/01 20:09
수정 아이콘
사람마다 다르고, 언어에 따라서도 다르고, 베이스 수준에 따라서도 다르니 어느 정도라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한국인이라면 영어나 한자가 완전히 노베이스이긴 어려운데, 베이스 수준이야 당연히 사람마다 천지차이입니다. 그런데 어느 언어에 어느 정도 베이스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해당 언어는 물론이고 다른 언어를 배우는 속도 역시 크게 달라집니다. 가령 한자를 많이 알고 있으면 일본어를 전혀 모르는 상태라 하더라도 어려운 일본어 텍스트는 어느 정도 내용을 알 수 있고, 그게 심지어 자기가 기존에 많이 아는 분야라면 읽을 수 있는 것과 거의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내용을 알아먹을 뿐 소리내어 읽지는 못하고, 쉬운 텍스트는 한자 비중이 낮아져서 내용을 알아먹기도 어렵습니다. 타겟이 7세 수준이라면 사실상 회화만 하면 되는데, 일본어는 한국인 기준으로 가장 쉬운 언어 중 하나라 7세 정도 수준은 그다지 오래 안 걸립니다.

마찬가지로 유럽 언어들도 몇 개를 얼마나 할 수 있었느냐에 따라서 다른거 배우는 속도가 천지차이입니다. 유럽 언어에선 어려운 개념/단어 같은걸 서로 살짝씩 바꿔 돌려쓰는 경우가 많고, 좀 많이 다르다 싶은 단어도 예전엔 여기서도 쓰다가 더 이상 잘 쓰지 않는 단어를 거기서는 쓰고 있는 경우, 뿌리를 짐작할 수 있는 경우 등 뜻을 알 수 있는 경우가 많아서, 두어개라도 깊게 알고 있는게 있으면 완전 처음 접할 때에도 이건가? 싶은게 꽤 있습니다.

이건 그나마 서로 차이가 좀 나는 언어 기준이고, 원래부터 서로 유사성이 높은 언어들은 쉬운 단어까지도 돌려쓰기를 많이 해서, 이런 언어를 쓰는 국가들 사이에서는 원래부터 대화도 통하고 서로의 글을 읽고 쓸 수도 있는 경우도 있고(사실상 방언 수준), 그 정도까지는 안 되더라도 또박또박 쉽게 말하면 한 50-70%쯤 알아들을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이미 두어개 정도 잘 하는 사람과, 아무 것도 못하는 사람 사이에는 당연히 아주 큰 속도 차이가 납니다.

똑같이 생노베이스여도 언어 느는 속도는 사람마다 10배 정도는 차이날 수 있고, 천장도 차이가 많이 납니다. 위에 언급한 베이스나 모국어와의 유사성에 따라서도 속도가 10배쯤 차이날 수 있기 때문에 합치면 천배 차이입니다. 그래서 어느 정도가 없습니다.
피터린치77
21/08/02 05:30
수정 아이콘
오늘도 명쾌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양말발효학석사
21/08/02 09:43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드립니다.
타츠야
21/08/01 20:58
수정 아이콘
케바케입니다. 1년 동안 Intensive course 충실히 해서 독일 사람 성인 수준으로 구사하는 친구도 봤고 10년 넘게 살아도 별로인 사람도 봤고.
양말발효학석사
21/08/02 09:43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드립니다. 원어민 강사 중에서도 그런 사례가 많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7218 [질문] 아침마다 피곤하고 속이 쓰립니다. 어디가서 어떤 검사를 받아야할까요? [5] 따루라라랑6777 21/08/04 6777
157217 [질문] 박정희 정권때 육참총장은 어떤자리였나요? [5] 뵈미우스11100 21/08/04 11100
157216 [질문] [컴퓨터 구매] 와이프가 컴퓨터를 사준다고 합니다. [30] 실버벨13410 21/08/04 13410
157215 [질문] 계약한 집에 곰팡이가 있는거 같네요 [5] 호아킨8425 21/08/04 8425
157214 [질문] 제주 서부에 가볼만한 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하얀마녀8477 21/08/04 8477
157213 [질문] 투자-채권 거래 관련 [10] akroma8703 21/08/04 8703
157212 [질문] 일반전화 해지관련 질문 [1] 금빛구름5955 21/08/04 5955
157211 [질문] 부산에서 프라모델 살 만한 곳이 있을까요? [2] 95명9481 21/08/04 9481
157210 [질문] 코로나 집단 면역에 대해 제가 이해하는게 맞나요? [1] 여기8009 21/08/04 8009
157209 [질문] 20년전에 가입한 청약예금 해지 해도 될까요? [5] CastorPollux10464 21/08/04 10464
157208 [질문] 크래프톤 공모가 망했다 해도 회사는 영향 없는거 아닌가요? [12] 떡국떡9683 21/08/04 9683
157207 [질문] PGR은 구인 게시판 그런건 따로 없나요 [5] Polkadot10112 21/08/04 10112
157206 [질문] QHD에서 FHD 영상소스를 보면 화질이 더 나빠 보일까요? [5] 김보노10137 21/08/04 10137
157205 [질문] 컴퓨터가 절전 모드에서 복귀할 때 디스플레이가 안 들어옵니다. [9] 고란고란7901 21/08/04 7901
157204 [질문] 59세신데 화이자맞고 열이 안 날수도 있나요? [23] 교대가즈아12221 21/08/04 12221
157203 [질문] 더운 여름 피부관리 어떻게 하시나요? [5] 트와이스정연8397 21/08/04 8397
157202 [질문] 이직 시 레퍼런스 체크 관련 [2] FRAN9331 21/08/03 9331
157201 [질문] 이 여자가방 어디건지 아시는 분 있을까요? [5] 마늘식빵11579 21/08/03 11579
157200 [질문] 수도권에서 갈만한 해안가 드라이브 코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5] 가슴에비수가9370 21/08/03 9370
157199 [질문] 컴퓨터 전원이 안켜집니다. [12] 아스날7792 21/08/03 7792
157197 [질문] 외국영화 제목을 찾습니다. [6] 12041 21/08/03 12041
157196 [질문] 신용카드 혜택 계산시 "할인받은 금액은 이용실적에서 제외"가 무슨 뜻인가요? [14] 코시엔11575 21/08/03 11575
157195 [질문] 복싱장 가기전에 줄넘기 [6] 티타늄14495 21/08/03 1449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